• 제목/요약/키워드: soy food

검색결과 1,426건 처리시간 0.028초

대두혼합식빵 제조시 대두첨가량에 따른 반죽과 식빵의 물성 변화 (Rheological Changes of Dough and Breadmaking Qualities of Wheat Flour with Additions of Soy Flour)

  • 김인호;하상철;이인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8-424
    • /
    • 2002
  • 식물성 단백질의 주요 급원이며 isoflavone계의 우수한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대두를 첨가해서 소비자의 기호성 및 기능성을 갖춘 대두 혼합 식빵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대두는 증자하여 열풍 건조하고 분쇄한 후 분말로 만들어서 소맥분에 0, 5, 10, 20, 30% 되게 각각 첨가하여 반죽을 제조하여 제빵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빵 실험 결과에서 대두분을 10% 까지 첨가해도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파리노그래프의 결과에서 보면 대두분의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수분 흡수율이 증가하고 반죽 형성 시간이 길어졌으며 안정도가 낮아지고 약화도가 커졌다. 익스텐소그래프의 결과에서 보면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신장 저항도 및 신장도가 감소하고 소맥분만 사용한 대조구에 비해서 가스 보유력과 발효 내구력이 저하되는 반죽 물성을 보였다. 아밀로그래프의 결과에서 보면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 개시 온도가 높아졌으며 최고 점도와 최고 점도온도는 감소하였다. 빵 단면의 색도에 있어서는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b(yellowness)값이 뚜렷하게 증가 했고 L(lightness)값은 감소하여 어두워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a(redness)값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빵의 관능 검사에서는 대두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외관, 내관 및 식감 특성이 전체적으로 점차 열등하였다.

한국 전통 간장의 숙성중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성분의 변화 -아미노산성질소, 아미노산 및 색도를 중심으로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 김종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2-28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amino nitrogen, total amino acids, free amino acids, and color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kan-jang) during the ripening and storage for 12 month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All of the preparation methods for soy sauce followed the recommendations of the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The components of soy sauce were analyzed at 0,6, and 12 months. The contents of amino nitrogen of soy sau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oybeans or meju (soybean cakes) at the initial stage of storage (p<0.05), and decreased during the storage. The content of total amino acids of soybean sauc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oybeans, and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was higher than that of soybeans (p<0.05). The contents of total and free amino acids decreased in soy sauce after 12 months of storage (p<0.05). The composition of total and free amino acids and their ratios of soy sauce were changed during the storage. The ratios of free to total amino acids of soybeans, meju, and soy sauce were 0.8%, 17.3%, and 53.1-59.8%, respectively. Glutamic acid, which represents the savory taste, was detected the most abundantly in soy sauce during the storage. The ratios of free to total amino acids of glutamic acid were 42.9-59.5% in soy sauce. Lightness of Hunter color of soy sauce decreased over time (p<0.05).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ratios of free to total amino acids of soy sauce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soybeans, although its contents of total amino acids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soybeans.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his comes from the preparation and fermentation of meju. It was suspected that th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derived from the 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might be inferior over 1 year of storage time. However, more detail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nterpretate this characteristics more accurately.

Antitumor Activity of Peptide Fraction from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 Lee, Hong-Jin;Lee, Ki-Won;Kim, Kyoung-Heon;Kim, Hyun-Kyung;Lee, Hyong-J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628-630
    • /
    • 2004
  • Antitumor activities of a peptide fraction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SSP) were investigated in vitro and in vivo using cancer cell lines and F9 teratocarcinoma-bearing BALB/c mice. SSP exerted a dose-dependent antiproliferative effect on P388D1 mouse lymphoma, F9 mouse teratocarcinoma, and DLD-l human colon cancer cells with $IC_{50}$ values of 11, 50, and $50\mug/ml$, respectively. Tumor growth in F9 teratocarcinoma-bearing BALB/c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80 and 200 mg/kg/day of SSPs, was inhibited 10.3% and 52.4%, respectively, and survival days increased by 11.9% and 22.1%,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antitumor activities exerted by SSP in vitro and in vivo suggest the feasibility of using SSP as an antitumor agent.

MS-전자코를 이용한 유채유의 진위 여부 판별 (Authentication of Rapeseed Oil Using an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ry)

  • 홍은정;손희진;최진영;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05-109
    • /
    • 2011
  • 본 연구는 유채유에 타기름이 혼합되었을 때 그 혼합 비율에 따른 차이를 전자코로 분석하였다. 대두유와 옥수수유를 0, 3, 6, 9, 12, 15, 20%를 유채유에 각각 혼입하여 전자코로 분석한 결과 DF1의 영향을 주로 받아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DF1이 음의방향으로 일정한 경향을 보이며 이동하여 나타났다. 이를 혼합비율에 따른 DF1값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결과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DF1값이 감소하여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유채유에 대두유를 혼합할 경우 DF1= $-0.170{\times}conc.$(대두유 혼합비율)+0.431 ($r^2=0.989$)과 같은 상관관계식을 얻어 유채유에 타 기름이 혼합될 경우 그 함량의 예측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자코를 이용하여 유채유의 위조판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다른유지를 비롯한 다양한 식품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두유 커드를 생산하는 김치 유래 젖산균의 동정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Soy Curd-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 김로의;안순철;유선녕;김광연;성종환;이영근;김한수;김동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5-2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두유 curd를 형성하는 미생물을 분리하는 것이다. 두유 curd를 형성하는 미생물은 채소를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전통적인 한국의 음식, 김치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 196개 중 10개의 균주(strain No. 2-2-2, 2-15-2, 2-18-1, 2-19-2, 3-4-1, 3-4-2, 3-8-1, 3-8-3, 3-17-1, 4-39-5)가 단단한 두유 curd를 형성하였고 분자생물학적 생화학적 분석법에 의해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는 16S rDNA 지역의 PCR 증폭을 위한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GenBank 데이터로 16S rDNA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분리 균주들은 Leuconostoc mesenteroides group과 Lactobacillus sakei group으로 동정되었다. 두유 curd를 형성하는 균주들의 계통 발생학적 위치와 분류군은 neighbor-joining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L. mesenteroides group은 생화학적 특성에 의해 L.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으로 동정되었다. 하지만 L. sakei group은 생화학적 특성 비교시 다양성을 보여 Lactobacillus sp.로 명명하였다.

실험쥐를 통한 콩과 콩나물 Isoflavones의 생체이용성 비교 (Bioavailability Assessment of Isoflavones between Soybean and Soybean Sprout in Rat)

  • 김은미;김경진;최진호;지규만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5호
    • /
    • pp.335-343
    • /
    • 2005
  • 쥐에게 콩과 콩나물, 순수한 genistein을 함유되어 있는 genistein함량을 기준으로 동일하게 급여 (20mg/kg) 시켰을 때, 체내에서 흡수가 되는 속도는 soy, soy sprout, pure genistein군의 순이며 일반소화율은 soy sprout, pure genistein, soy군의 순이었다. 이로써 soy의 genistein은 쉽게 흡수되고 배설되며, 또한 전혀 흡수되지 않고 배설분으로 나오는 양도 세 그룹 중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담즙 등으로 재순환되지 않는 양이 다른 그룹보다 많기 때문이라고 추정되었다. 따라서 생리기능상의 목적으로 isoflavone을 섭취하고자 할 때에는 콩보다는 콩나물형태로의 섭취가 타당할 것으로 생각되며 정확한 결과를 위해서도 사람이 섭식하는 상태의 콩과 콩나물의 isoflvones의 흡수율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간장의 제조방법에 따른 품질 특성 비교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s by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 최지미;이춘복;김학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7-65
    • /
    • 2016
  • 본 연구는 재래간장, 양조간장 및 산분해간장 등 제조방법에 따른 색도, 유리당 및 유리아마노산 함량 등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의 경우, 산분해 간장 및 양조 간장이 재래 간장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재래 간장의 경우 제조 후 시간이 지날수록 L 값이 높아졌다. 또한, 재래 간장의 단맛 함량이 개량식 간장보다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재래 간장의 경우 제조 후 시간이 지날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쓴맛의 지표가 되는 아미노산 총 함량의 경우, 제조 후 시간과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산분해 간장이 다른 간장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감칠맛과 가호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glutamic acid의 함량은 양조 간장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산분해간장, 제조 2년 후 재래 간장, 제조 당해 재래 간장의 순으로 나타났다. 개량식 간장이 재래 간장보다 glutamic acid 함량이 높았으며, 재래 간장에서는 제조 후 시간이 지날수록 glutamic acid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GABA는 재래 간장보다 개량식 간장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재래 간장의 경우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Effects of The Soy Protein Level on Plasma Glucose, Lipids, and Hormones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 Choi, Mi Ja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7권9호
    • /
    • pp.883-891
    • /
    • 1994
  • The number of diabetics in Korea is about 3 to 5 percent of the population, and the incidence is increasing yearly due to changes of life style and food intake. Diet is a key element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yet the appropriate diet for diabetes remains controversial. We have recently shown that a diet rich in protein of animal origin(casein) seems beneficial to controling plasma glucose and lipid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It therefore seemed desirable to find out whether the beneficial effect of high casein diet in experimental diabetes could also be reproduced with a vegetable source of protein(so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se results with the results of our previous study. In the present study, non-diabetic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ere studi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altering the level(20% vs 60%) of dietary soy protein on blood glucose, lipids, and hormone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a high soy protein diet decreased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diabetic rats. However, diabetic rats fed a high soy protein diet were not hypocholesterolemic compared to rats fed a control diet. Moreover, diabetic rats fed a high soy protein diet had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compared to rats fed a control diet. This study was not able to discern a specific effect of dietary protein level on insulin, glucagon, or insulin/glucagon ratio. Except for the hypotriglyceridemic effect, the results were not similar to the findings of our previous study which showed a beneficial effect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fed a high casein diet.

  • PDF

Antithrombotic Soy Peptides

  • Lee Kyung-Ae;Kim Seung-Ho
    • 한국식품영양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년도 Annual Meeting and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85-87
    • /
    • 200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