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 food

검색결과 1,426건 처리시간 0.022초

숙성 기간에 따른 대두콩과 검은콩간장의 특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Soy Sauce and Black Soy Sauce according to the Ripening Period)

  • 김지상;김현오;문갑순;이영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81-988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functional black soy sauce with (S2) and without (S3) an outer skin and then compare these products to a control soy sauce (S1). In addition, the effects of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s on the pH, buffering power, titratable acidity, total acidity, salt content, and browning and Lab value were evaluated. Furthermor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black soy sauce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soy sauce based on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lud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il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the thiobarbituric acid value (TBA value). The pH and buffering power of S2 were lower than of S1 and S3, while the titratable acidity and total acidity were higher. The salt content of all samples decreased after 60 days of fermentation, after which it increased slightly for up to 180 days. Additionally, the browning intensity of all samples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eriods increased, with the browning intensity at 420 nm of S1 being the highest followed by S3 and S2. After 150 days of fermentation, the L value of S1 was higher than that of S2 and S3, but the while a value of S2 was higher than those of S1 and S3 and was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eriods. Moreover, the b value of S1 was the highest at the end of the fermentation period, followed by the b values of S3 and S2. The amount of total phenolics in S1 was greatest, followed by S2 and S1. Convers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2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3 and S1. Finally, the TBA value increased rapidly from day 30 to day 180 of the fermentation period, and the TBA value of S2 was lower than those of S1 and S3.

  • PDF

두유와 전두유 가수분해물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Hydrolysate Soy Milk and Whole Soy Milk)

  • 장세영;신경아;박난영;방광웅;김정훈;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61-366
    • /
    • 2008
  • 본 연구는 두유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자 효소 가수분해 방법으로 저분자화에 따른 기능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두유액(SM), 두유액 가수분해물(HSM), 전두유액(WSM) 및 전두유 가수분해물(HWSM)의 일반성분은 비지 제거의 유무에 따라 성분함량 차이를 보였으나 저분자화 효소처리에 따른 변하는 거의 없었다. 색도는 대두의 비지 제거 유무에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가수분해 처리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유리당과 올리고당의 총함량은 SM이 1,389.88 mg%, HSM 1,013.51 mg%, WSM 1,539.51 mg%, HWSM 1,331.13 mg%로 효소 가수분해 처리 후 감소하였다. HSM과 HWSM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49.26%, 45.34%로 SM과 WSM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ACE 저해활성도 약 1.6배 높게 나타났다.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HSM과 HWSM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구, 원료 콩에서 비지제거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 두유액 가수분해물(HSM) 및 전두유 가수분해물(HWSM)은 영양성분이나 기능적 특성이 두유액(SM)과 전두유액(WSM)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다양한 기능성 강화 소재로 활용이 기대된다.

항알레르기에 대한 Pediococcus inopinatus Y2 유산균 발효 두유 커드의 치료 효과 (Therapeutic Antiallergy Effect of Fermented Soy Curd by Pediococcus inopinatus Y2)

  • 강문선;이영근;김한수;정헌식;황대연;김동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78-483
    • /
    • 2019
  • 본 실험에서는 Pediococcus inopinatus Y2 (P. inopinatus Y2)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 두유커드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알레르기 유발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4주간 경구투여한 이후, 마우스의 체중, 귀 두께, IgE 농도, 면역 기관 중량 및 혈청 IgE 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동물실험 군은 적당한 체중 증가를 보였다. 귀 두께에서, 아무처리를 하지 않은 그룹(No group)이 가장 낮은 두께를 나타냈고, PA 처리 그룹이 알레르기가 유발되어 두꺼워졌다. PA로 유도된 AD 마우스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발효 두유커드 투여그룹(FSC group)의 피부 상태는 더욱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유산균에 의한 발효 두유커드가 피부염을 회복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우스의 비장과 림프절의 무게와 IgE 농도를 비교 한 결과, 두유를 투여한 그룹(SM group)도 치료 효과를 보였으나 발효 두유커드의 알레르기 치료 효과가 더 우수 하였다. 결과적으로 발효 된 두유커드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을 개선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뇨쥐에서 올리고당 첨가 콩아이스크림이 산화스트레스와 장생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ligosaccharide-Supplemented Soy Ice Cream on Oxidative Stress and Fecal Microflor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허보영;성혜영;최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36-154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당뇨환자를 위한 아이스크림을 개발할 목적으로 아이스크림의 주원료인 우유단백질, 유지방과 설탕의 일부를 노란콩과 검정콩, 대두유 및 프럭토올리고당으로 대체한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여 동물실험을 통하여 산화스트레스 완화와 장 미생물생태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동결건조한 아이스크림을 AIN-93 식이의 $30{\%}$수준으로 첨가하여 실험식이를 제조하였다. 5주령 된 Sprague Dawley 종 수컷 쥐를 당뇨를 유발하지 않은 정상군과 당뇨군 5군으로 나누고,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하고, 실험식이를 자유롭게 4주 동안 섭취시켰다. 희생된 쥐의 장기와 혈액을 취하고, 항산화능 및 장내미생물생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혈장의 지질과 산화물 농도는 당뇨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당뇨군 중에서 콩아이스크림군과 올리고당첨가 검정콩아이스크림군이 우유아이스크럼군에 비해 혈장 지질과산화물의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올리고당 첨가 우유아이스크림과 올리고당 첨가 노란콩아이스크림을 섭취한 군도 낮은 경향을 보였다. 간에서의 지질과산화물 농도는 우유아이스크림군만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올리고당 또는 콩 첨가 아이스크림군 모두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적혈구의 SOD 활성은 콩아이스크림군이 우유아이스크림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적혈구에서의 GSH-Px 활성과 catalase 활성은 올리고당첨가 검정콩아이스크림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유익한 혐기성균인 Latobacilli 균수와 Bifidobacteria 균수가 올리고당첨가 콩아이스크림군에서 분변 중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콩아이스크림과 올리고당첨가 아이스크림도 우유아이스크림에 비해 유익한 세균의 증식을 촉진시켰다. 결론적으로 올리고당 첨가 콩아이스크림은 당뇨쥐에서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하고 장생태를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농축 콩단백질 분리 및 추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ed soy protein)

  • 차서희;신경옥;한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59-466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대두, 녹두, 적두 및 완두 4종의 콩 원물을 선발하여 단백을 추출한 후 얻은 농축콩단백의 영양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분석하여 4종 단백 소재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4종 농축콩단백의 영양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단백질 함량은 72.58-78.69%로 나타났고, 아미노산의 함량은 4종 농축콩단백 모두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ysine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났으며, 농축녹두단백의 총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3종 농축콩단백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4종 농축콩단백의 기능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pH와 겉보기 밀도는 농축녹두단백과 농축적두단백이 다른 농축콩단백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5), 수분흡수력은 농축완두단백이, 유지흡수력은 농축대두단백이, 유화 활성은 농축녹두단백이, 유화안전성은 농축녹두단백과 농축완두단백이 다른 농축콩단백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따라서 본 연구를 종합해 볼 때, 4종 농축콩단백의 각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체육 제품 산업에 적용한다면, 식품소재로서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utritional Quality of Fermented Soy Foods in Thailand

  • Cheong, Hyo-Sook;Choi, Hee-Sun;Kang, Ok-Ju;Manochaiand Benya;Hong, Jeong-Hw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3호
    • /
    • pp.262-266
    • /
    • 2005
  • Soybean has been favored by many Thai people and it has been prepared by numerous different methods. Collected samples are as follows: Thua-nao paste from Chiangrai province, dried Thua-nao for Jatujak Market, Bangkok, 3 types of commercial soybean paste, soybean sauce and 2 types of fermented soybean curd cakes with other ingredients. Moisture contents of fresh and dried Thua-nao were 68.5 and $7.6\%$, respectively; therefore the shelf-life of dried Thua-nao can be extended to 1 year with proper packaging. The remainder of the soy foods had moisture contents of 55.4 to $64.4\%$. Fat contents of fresh and dried Thua-nao were 7.4 and $19.7\%$, respectively, whereas other samples contained less than $3\%$. Dried Thua-nao had the highest CHO (carbohydrates) content $(37.4\%);$ in contrast, soybean sauce contained only $4.5\%$. Calcium content was highest in dried Thua-nao followed by fresh Thua-nao; the other fermented soy foods had less than 44.7 mg/l00 g. Salt was added to samples other than Thua-nao resulting in high Na contents. Free and total daidzein contents of dried Thua-nao were 355 and 676 ug/g; similarly free and total genistein contents were 293 and $616.5\;\mug/g$, respectively.

시판 간장 중의 biogenic amine의 함량 조사 (Survey of Biogenic Amine Contents in Commercial Soy Sauce)

  • 김재현;박현진;김미정;안현주;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5-328
    • /
    • 2003
  • 국내에서 시판 유통되고 있는 9개$(A{\sim}I)$의 간장제품 중의 biogenic amine(BA) 함량을 조사하였다. 시판 간장에서 검출된 biogenic amine은 putrescine, cadaverine, tryptamine, ${\beta}-phenylethylamine$, spermine, histamine 및 tyramine으로 총 7종류가 검출되었으며, 각 제품에 따라 그 종류 및 함량 차이를 나타내었다. PUT은 6 제품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가장 높은 제품과 낮은 제품에서의 함량차이가 약 16 mg/kg이상으로 나타났다. 6개의 제품에서 7종류의 BA이 모두 검출 된데 반해 한 제품(I)에서 5종류의 BA만이 검출되었다. I 제품은 putrescine을 제외한 모든 BA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함량 수준을 보였으며, B 제품의 경우 7종류의 BA이 모두 검출되었고 함량도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간장의 화학적 유해요소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함량조사를 포함한 다양한 저감화 연구 등이 필요하다.

변형대두 단백질의 기능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Modified Soy Protein Isolate)

  • 김영숙;황재관;조은경;이신영;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83-388
    • /
    • 1985
  • 분리대두단백질을 succinic anhydride 및 acetic an-hydride와 반응시켜 화학적으로 변형시켜 기능성을 조사한 결과, 대두단백질의 등전점이 pH4.5에서 4.0으로 내려가면서 등전점이상의 영역. 특히 PH4.0-6.0영역에서 용해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Ca^{2+}$이 존재할 때 용해도는 변형시킨 경우 분리대두단백질에 비하여 4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유화특성 및 기포특성 또한 크게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대두단백질의 고유점도를 측정한 결과 변형에 의하여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희석용액으로부터 추정되는 입자간의 interaction coefficient는 감소하였다.

  • PDF

탈지 대두박 소재 가식성 생고분자 필름의 개발 (Defatted Soybean Meal-Based Edible Film Development)

  • 이한나;백희정;민세철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05-31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DSM을 이용하여 단백질 추출이나 정제없이 식품에 적용 가능성이 있는 가식성 필름을 개발하였다. HPH 처리는 표면이 매끄럽고 균일한 형태의 필름을 형성시켰고, 필름의 WVP값을 감소시켜 수분 방벽 효과를 높였다. 필름 내 글리세롤 농도 증가는 WVP값을 전반적으로 높였다. 농산물 가공 부산물인 DSM으로 제작된 가식성 필름은 새로운 식품 소재로서 상업적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콩나물의 지방산 및 식이섬유 함량 분석 (Analyses of Fatty Acids and Dietary Fiber in Soy Sprouts)

  • 김세영;이경애;윤홍태;김정태;김욱한;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9-34
    • /
    • 2011
  • 전통식품인 콩나물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우량 나물콩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특성이 다른 5종의 장려품종 나물콩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지방산 및 식이섬유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콩나물과 데친 콩나물의 지방산 조성은 큰 차이가 없어 가열 처리가 지방산 조성에는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2. 전체 콩나물과 콩나물의 자엽 부위 지방산 조성은 원료콩과 비슷하였으나 배축 부위는 원료콩에 비해 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았으며 변이도 자엽 부위보다 컸다. 3. 가열 처리된 콩나물이 생콩나물보다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4. 지방산 조성과 식이섬유 함량은 품종별로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