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 food

검색결과 1,424건 처리시간 0.022초

스피루리나와 대두단백을 첨가한 도토리묵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Acorn Starch Mook Added Spirulina and Soy Protein)

  • 오혜림;양기현;박송이;윤준화;심은경;이근종;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15-1520
    • /
    • 2012
  • 본 연구는 식품 중 지용성 항산화 물질인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피코시아닌이라는 수용성 항산화 물질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스피루리나를 도토리묵에 첨가하여 영양이 풍부하고 기능성이 우수한 도토리묵을 개발하여 상품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 것으로 스피루리나 및 대두단백을 첨가한 도토리묵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pH는 스피루리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스피루리나 0.5%에 대두단백 3%를 첨가하면 pH가 증가하지만 1%와 1.5%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도는 스피루리나 양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대두단백을 첨가한 경우에도 증가하였다. 색도는 스피루리나 첨가량 증가에 따라 L값과 a값은 감소하였으나, b값은 증가하였다. 물성 중 경도는 스피루리나 양이 1% 첨가되었을 때 스피루리나를 넣은 것과 스피루리나에 대두단백을 첨가한 것 모두에서 높았다. 탄력성은 스피루리나를 첨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대두단백을 첨가하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DPPH와 페놀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스피루리나 양이 증가할수록 항산화성이 컸으며, 대두단백첨가에서도 스피루리나만 첨가했을 때보다 항산화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에서는 스피루리나 1.5%와 대두단백 3%를 첨가했을 때 2,901 mg/mL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스피루리나 1.5%만 첨가했을 때 2,667.2 mg/mL였다. 관능평가의 결과 색상은 스피루리나를 첨가할수록 진해지며, 스피루리나에 대두단백을 함께 넣은 경우 대체적으로 스피루리나만 첨가했을 때보다 연하였다. 탄력성은 스피루리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대두단백 3%와 스피루리나 1% 첨가한 시료에서 가장 탄력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도가 가장 높은 시료는 스피루리나만 0.5%를 첨가한 것이었으며 대두단백을 혼용하여 첨가한 경우에서는 스피루리나만 첨가한 시료보다 대체적으로 선호도가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최근 들어 기능성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스피루리나를 첨가하여 도토리묵을 제조할 경우 첨가량은 0.5%가 적당하다고 생각되며, 스피루리나 첨가 요구르트의 제조(27)에 있어 최적 첨가량은 스피루리나 0.25%로 나타난 연구와 0.8%를 첨가한 식빵의 관능적 기호성 향상(9)에서 볼 수 있듯이 0.5%의 스피루리나를 관능적 기호도 향상과 항산화성이 증가된 도토리묵으로 제조한다면 상품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리 대두단백의 용해도와 소화율에 미치는 Phytate의 영향 (Effect of Phytate on the Solubility and Digestibility of Soy Protein Isolates)

  • 조희환;윤재영;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86-290
    • /
    • 1991
  • 대두의 영양 저해인자로 알려진 phytic acid를 pH를 조절하는 각기 다른 방법으로 제거할 low-phytate soy protein isolate(SPI)와 high-phytate SPI를 얻어 이들 분리 대두단백의 용해도와 소화율에 미치는 phytic acid 함량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리 대두단백의 phytic acid 함량은 high-phytate SPI에서 2.48%이었고, low-phytate SPI에서는 0.72%이었다. 분리 대두단백의 용해도는 모든 pH에서 low-phytate SPI가 high-phytate SPI 보다 높았으며 phytic acid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용해도가 떨어져 침전되었다. 분리 대두단백의 소화율에 미치는 phytic acid의 저해적 영향은 phytic acid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더 컸으며, low-phytate SPI 보다 high-phytate SPI에서 그 저해효과가 약간 크게 나타났다.

  • PDF

3-Monochloropropane-1,2-diol(3-MCPD) 저감화를 위한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조건 (Preparation Conditions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Soy Sauce for the Reduction of 3-Monochloropropane-1,2-Diol (3-MCPD))

  • 정용일;이지수;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22-52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3-MCPD의 함량을 신뢰할 수 있는 결과값의 도출을 위하여 HFBI 유도체화 방법을 이용하였다. 3-MCPD가 검출되지 않은 양조간장에 3-MCPD를 0.020과 $0.200{\mu}g/mL$의 농도로 spiking하여 그 결과 값을 측정한 결과, 회수율이 95%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분석의 재현성 및 정밀성 또한 우수하였다.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 조건 중 3-MCPD의 함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조건 즉, 알칼리 처리시의 pH와 온도, 그리고 유지 시의 온도와 시간을 다양하게 하여 시료를 제조 한 후, 3-MCPD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처리시의 pH와 온도가 높고, 유지 온도와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3-MCPD의 함량이 감소되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알칼리 처리 온도와 유지 온도에 대한 영향보다는 알칼리 처리시의 pH가 3-MCPD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특히 pH 10.0 이상에서 알칼리 처리를 하였을 경우는 알칼리 처리 온도나 유지시간 및 유지온도 등의 다른 조건들에 상관없이 3-MCPD의 함량이 $0.020{\mu}g/g$ 이하로 현저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인 아미노산 간장의 제조 공정 조건에 변화를 줌으로써 실질적으로 생성되는 3-MCPD의 함량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아미노산 간장의 3-MCPD 저감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Konjac, Isolated Soy Protein, and Egg Albumin on Quality Properties of Semi-dried Chicken Jerky

  • Han, Doo-Jeong;Choi, Ji-Hun;Choi, Yun-Sang;Kim, Hack-Youn;Kim, Si-Young;Kim, Hyun-Wook;Chung, Hae-Kyung;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3-190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dding various humectants (konjac, egg albumin, and isolated soy protein) on the properties of semi-dried chicken jerky. Jerky samples were prepared as follows: control with no humectants and treatments with 0.05, 0.1, and 0.2% of added humectants. Adding the humectants influenced the increase in pH, processing yields, moisture contents, water activity, mechanical tenderness, and sensorial properties (tender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chicken jerky. Additionally, the konjac treatment most improved the yields, tenderness, and sensorial traits, among the humectant treatments tested. Furthermore, adding 0.1% konjac during jerky manufacture resulted in similar quality properties as adding 0.2% konjac.

두유(豆乳)에서 젖산균의 생육(生育)과 산생성(酸生成)에 관한 연구 (Study on Growth and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in Soy Milk)

  • 김경희;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1-156
    • /
    • 1987
  • 대두, 탈지대두, 농축대두단백 또는 분리대두단백으로 각각 두유를 만들고 여기에 Lactobacillus acido-philus, L.bulgaricus, L.casei,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eptococcus lactis 를 각각 접종하여 이들 대두단백질이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관찰하였다. 산생성도를 보면 L.acido-philus의 경우는 두유에서 산생성이 가장 높았으나, 나머지 4종의 젖산균에서는 탈지두유에서 산생성이 가장 높았으며, 5종의 젖산균 어느 경우나 SPI두유에서는 산생성이 현저하게 낮았다. 두유에 yeast extract (0.5%)를 첨가했을 때 대두단백질의 형태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에서 젖산균에 의한 산생성이 촉진되었으며, 5종의 젖산균 가운데 특히 L.acidophilus에 의한 산생성이 현저하게 촉진되었다. 두유의 고형분 농도를 증가 시킴에 따라 L.acidophilus와 L.bulgaricus의 생육과 산생성이 대체적으로 촉진되었다.

  • PDF

식이단백질조성이 흰쥐의 성장과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on Growth and Lipid Metabolism in Growing Rats)

  • 김유숙;김화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2호
    • /
    • pp.119-128
    • /
    • 1982
  • The effect of dietary protein on growth and lipid levels of plasma and liver was studied in weanling male rats fed diets differing protein sources and amino acid balance. Rats were devided into 9 experimental diets which were grouped into 3 categories ; 1) Simple protein category includes gluten-, soy protein isolate-, and casein-containing diet groups, 2) Supplemented category includes casein supplemented with methionine, soy protein isolate supplemented with methionine, and gluten supplemented with lysine and methionine, 3) Mixed protein category includes diet groups containing gluten (2/3), casein (1/3), soy protein isolate (2/3) and casein (1/3), and casein (1/3), soy protein isolate (1/3) and gluten (1/3). The experimental diets composed of 15% protein, 65.8% carbohydrate, 10% fat and 1% cholesterol. The body wt. gain and P.E.R. were greater in rats of supplemented and mixed protein groups than simple protein group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plasma cholesterol among gluten, soy protein isolate and casein groups. Consumption of diets supplemented with limiting amino acid to gluten or soy protein isolate reduced the plasma cholesterol level by 23.2% and 34.2%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asein and the supplemented casein groups. The mixed protein groups shows relatively high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low liver cholesterol levels. On the other hand gluten group showed low plasma cholesterol and high liver cholesterol levels, which means body cholesterol pool may not have been changed by the dietary protein. Feeding soy protein meal and the supplemented soy protein isolate resulted in lower plasma cholesterol, plasma triglycerides, liver cholesterol and liver triglycerides levels. This hypolipidemic effect is considered to see unique to soy protein isolate. Rats in gluten and the supplemented gluten groups showed lower plasma protein levels and a tendency of fatty liver.

  • PDF

효소 처리와 초고압 처리에 의한 콩나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Soy-sprout Extracts Prepared by Enzyme and Ultra High Pressure)

  • 성혜미;김숙정;김경미;윤수경;정현정;김태용;위지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228-1235
    • /
    • 2014
  • 본 연구는 콩나물 처리방법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능 평가를 위해 콩나물을 초고압 처리, 효소 처리 및 무처리 후 물 추출하여 유리아미노산, 총 페놀, 이소플라본 함량을 확인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과 HepG2 세포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콩나물 처리방법에 따른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및 이소플라본의 함량은 효소 처리 추출물> 초고압 처리 추출물> 물 추출물 순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 또한 효소 처리 추출물> 초고압 처리 추출물> 물 추출물 순으로 나타나 페놀 함량과 이소플라본 함량이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HepG2 세포에서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해서는 콩나물 효소 처리 추출물과 콩나물 초고압 처리 추출물이 콩나물 무처리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콩나물을 효소 처리한 추출물과 초고압 처리한 추출물은 콩나물에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고 물 추출한 것보다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방어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콩나물의 효소 처리 및 초고압 처리 후 물 추출하는 것은 콩나물의 항산화 성분의 추출을 증대시키고 항산화능 및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방어하는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콩나물을 효소처리하는 것이 더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콩나물을 효소 처리하거나 초고압 처리하여 추출하는 것이 항산화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얻은 콩나물 추출물은 항산화능을 갖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황기 및 표고버섯 첨가 간장의 숙성 기간별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maruration period of the soy sauce containing Astragalus memvranaceus an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 김화선;임지민;권혁진;유지연;박필상;최윤희;최지호;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67-474
    • /
    • 2013
  • 본 연구는 전통간장에 표고버섯 및 황기를 첨가하여 30일간 숙성시킨 간장의 이화학실험, 항산화실험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간장 식염변화에서 TK을 제외한 실험군 모두 염도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기간별 뚜렷한 식염 함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H 변화에서 TK를 제외한 모든 간장의 pH가 다소 감소하였는데, 이는 첨가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총산도 변화에서 TK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MK과 AMK은 기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의 변화에서는 TK에 비해 AK 및 AMK의 함량이 높았다. AK의 환원당이 TK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지만, MK의 환원당 변화는 기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미노태 질소 변화에서는 AK가 0.50~0.98%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MK는 1.15~0.67%로 감소하였고 AMK도 0.78~0.64%로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 변화에서 AK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15일 이후 증가하였으며 25일에 52.24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역시 15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5일에 210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TK를 제외한 모든 간장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AK가 향, 짠맛, 구수한맛, 단맛, 쓴맛, 신맛, 전체기호도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서, 표고버섯과 황기 첨가 간장이 일반 전통 간장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고 기호도가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황기 간장이 기능성 간장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국 전통 간장과 된장의 숙성 중 미생물상의 변화(제1보) -Bacillus sp.를 중심으로-

  • 김종규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5년도 가을학술대회
    • /
    • pp.101-103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Bacillus sp.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kan-jang) and soybean paste (doen-jang) during the ripening and storage for 12 months. All of the preparation methods for soy sauce and soybean paste followed the recommendations of the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The soy sauce and soybean paste were analyzed at 0, 6, and 12 months. The numbers of Bacillus sp. of meju (soybean cakes) or soy sauce and soybean paste at the initial st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oybeans (p<0.05). The number of Bacillus sp. increased i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after 12 months of ripening and storage. This study indicates that this comes from the preparation and fermentation of meju. It is suspected that th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and soybean paste might be inferior over 1 year of storage time. Therefore, more research fur overall microbiological quality changes of soy sauce and soybean paste during the storage period should be conducted to interpretate this characteristics more accurately.

  • PDF

유과의 품질향상 및 조리과정 표준화를 위한 연구 (Study for the Quality Improvement and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of Yukwa)

  • 김향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9-159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ole soy milk in the preparation of Yukwa, possibility of substitution of soy milk to isolated soy protein and the effect of drying condition of Yukwa dough on the quality of Yukwa for the purpose of standardization of Yukwa preparation process. Although isolated soy protein did not make any particular effect on the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of waxy rice flour, soy milk lowered peak viscosity to half of waxy rice flour.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of dried Yukwa dough was about 25%, and it can be reached by drying at $60^{\circ}C$ under atmosphere pressure for $4{\sim}5$ hou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observations, mechanical and sensory measurement of hardness, and sensory test of the internal structure, mouthfeel and overall acceptability, soy milk was more desirable than isolated soy protein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yukw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