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eastern margin of Korea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남동 대륙주변부 니질대 표층퇴적물의 유공충 특성 (Foraminiferal Characteristics in Mud Deposits of the Southeastern Margin of Korea)

  • 우한준;최재웅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67-78
    • /
    • 2006
  • Six surface sediments from two offshore transects of Ulsan and Gampo, on the southeastern margin of Korea were taken for sediment and foraminiferal analyses. Sedimentary processes are dominated by reworking and resedimentation from storms in the area off Ulsan and hemipelagic suspension settling in the area off Gampo. Eighty-four foraminiferal species were identified in total assemblages, including 33species of living populations and 9 species of planktonic foraminifera. The characteristics of foraminifera showed differences of offshore environments between Ulsan and Gampo. The number of living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equitability in Gampo offshore area had higher values than those in Ulsan offshore area. However, planktonic/benthic(P/B) ratio showed higher in the Ulsan offshore area.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and P/B ratio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stability and surface-ocean productivity in the Gampo offshore area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Ulsan offshore area. The difference of species compositions is useful for interpreting the paleoenvironments in mud deposits of the southeastern margin of Korea.

미국남동부 대륙주변부의 기원 : 화산성 혹은 비화산성? (The Origin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Continental Margin: Is it Volcanic or Non-Volcanic?)

  • 오진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6호
    • /
    • pp.571-577
    • /
    • 1994
  • 미국 대서양 대륙주변부는 북미와 아프리카 대륙의 중생대 분열의 산물로서 화산성 기원 혹은 비화산성 기원인가에 대해 논란이 있어 왔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미국 남동부 해안에서 채취한 다채널 탄성파 단면도에 나타난 기반암들의 영상을 조사하였다. 가장 핵심적인 탄성파 영상의 하나는 전체적으로 쐐기 형상을 보이는 해양방향의 경사반사층들(seaward-dipping reflectors; SDR)이다. 이들은 화산성 열개주변부의 상징적인 기반암 구조로 알려져 있다. 연구지역에는 2 개조의 해양경사층 쐐기구조가 존재하였다: 하나는 기반암 경첩대 (basement hinge zone) 부근이고 ('the hinge SDR wedge'라고 명명), 다른 하나는 미국 동해안 자기이상대 (the East Coast magnetic anomaly)의 바다 쪽에 위치한다 ('the outer SDR wedge'라고 명명). 또한, 기반암 경첩대의 동쪽 지각에서는 "7.2 km/s 층"으로 알려진 높은 속도의 하부지각층과 함께 원만한 기복의 모호 불연속면 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기반암 구조와 잘 알려진 화산성 기원의 대륙주변부의 지각구조를 비교해 보아 미국 남동부 대륙주변부를 화산성 기원의 대륙주변부로 특징지었다.

  • PDF

Channel-fill Deposits of Gravel-bed Stream, Southeastern Eumsung Basin (Cretaceous), Korea

  • Ryang, Woo-H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57-767
    • /
    • 2006
  • Alluvial-plain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Eumsung Basin (Cretaceous) are characterized by coarse-grained channel fills encased in purple siltstone beds. It represents distinct channel geometry, infill organization, and variations in facies distribution. The directions of paleocurrent, sedimentary facies changes, and channel-fill geometry can be used to reconstruct a channel network in the alluvial system developed along the southeastern margin of the basin. The channel-fill facies represent downstream changes: 1) down-sizing and well-sorting in clast and martix of channel fills and 2) internal organization of scour fill or gravel lag and overlying cross-stratified, planar-stratified beds. These findings suggest multiple stages of channel-filling processes according to flooding and subsequent stream flows. In the small-scale pull-apart Eumsung Basin (${\sim}7{\times}33km^2$ in area), vertical-stacked alluvial architecture of the coarse-grained channel fills encased in purple siltstone is expected to result from episodic channel shifting under a rapidly subsiding setting.

Coastal Typhoon Deposit in the Hampyung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 Park, Yong-Ah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1권1호
    • /
    • pp.32-36
    • /
    • 1996
  • The oyster shell bed (more than 47 cm thick) atop the Gaipri Point (granite coastal bluff) in the Hampyung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which is a coastal area of southeastern margin of the Yellow Sea basin has been interpreted as unique typhoon deposit formed at about 3610 yr BP or later. The unconformable boundary between the oyster shell bed by typhoon and the granitic soil horizon of the Gaipri Point is 820 cm high above the mean high-tide water level (MHWL). The $^{14}C$ age of the oyster shells is 3610${\pm}$70 yr BP.

  • PDF

황해 남동부 표층 해양 퇴적물의 광물 분포; 2010년 한국해양연구원 탐사 시료 (Mineral Distribution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Surface Sediments; KORDI Cruise Samples in 2010)

  • 조현구;김순오;이희일;신경훈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5-216
    • /
    • 2011
  • 2010년 해양연구원의 황해 남동부 탐사에서 채취된 67개 표층 퇴적물 시료에 대하여 정량X선 회절분석법을 이용하여 광물조성을 구하였다. 황해 표층 퇴적물은 주구성광물(석영 49.1%, 사장석 13.0%, 알카리 정석 9.3%), 정토광불, 방해석 빛 아라고나이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토광물 중에는 일라이트(9.4%)가 가장 않고, 녹니석(4.6%) 이 두 번째로 많으며, 카올리나이트(0.8%)는 매우 소량 들어 있다. 석영과 알카리장석은 조립질 퇴적물, 각섬석과 점토광물들은 세립질 퇴적물에 농집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석영, 사장석, 알카라장석, 녹니석 및 카올리나이트 함량은 황해 중앙 니질대의 남단에 해당되는 니질대 1에서 높고, 일라이트 함량은 황해 남동 니질대의 일부인 니질대 2에서 높다. 이와 같은 구성광물의 차이는 세립질 퇴적물의 근원지가 다름을 시사하며, 황해 남동 니질대는 주로 한반도 서해안의 금강과 영산강으로부터 운반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남동 대륙붕 후 제4기 퇴적층의 시퀀스 층서 (Sequence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Korea)

  • 유동근;이치원;최진용;박수철;최진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4호
    • /
    • pp.369-379
    • /
    • 2003
  • 한국 남동해역 대륙붕에서 취득된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와 퇴적물 시료의 분석에 의하면 후 제4기 퇴적층은 마지막 빙하기 이후의 해수면 변화에 의해 조절되는 저해수면계열, 해침계열, 고해수면계열로 구성된다. 시퀀스 경계면 위의 저해수면계열(층서단위 I)은 마지막 빙하기 동안 퇴적된 니질사 혹은 사질니 퇴적물로 구성되며 대륙붕단과 해곡의 외해역에 분포한다. 해침면과 최대해침면 사이에 위치하는 해침계열(층서단위 II)은 지난 15,000-6,000년 사이에 퇴적되었으며 주로 사질퇴적물로 구성된다. 해침계열은 연구해역 전반에 걸쳐 넓게 분포하지만 저해수면계열과 고해수면계열에 비해 박층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해침계열은 분포특성에 따라 3개의 소퇴적단위로 세분된다. 즉, 대륙붕단의 초기해침계열(Unit IIa), 중간대륙붕의 중기해침계열 (Unit IIb), 내대륙붕의 후기해침계열 (Unit IIc) 등으로 이들은 후배열층서의 특성을 가진다. 최대해침면 상부에 놓이는 고해수면계열(층서단위 III)은 해수면이 현수준에 도달한 지난 약 6,000년 이후에 퇴적된 현생 니질퇴적물로 구성되며 내대륙붕의 연안을 따라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제주도 남동부해역에서 채집된 바다뱀(Ophisurus macrorhynchos) (뱀장어목: 바다뱀과) 엽상자어의 첫 형태기재 및 분포특성 (First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the Distribution of Ophisurus macrorhynchos (Anguilliformes: Ophichthidae) Leptocephalus Collected from Southeastern Waters of Jeju Island)

  • 지환성;최정화;최광호;윤상철;이동우;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888-894
    • /
    • 2014
  • Seventeen specimens of leptocephali [9.8-44.5 mm total length (TL)], of the family Ophichthidae, were collected from southeastern waters off Jeju Island and the Korea-Japan intermediate zone, and identified by means of morphology and genetics. These specimens were identified as belonging to the subfamily Ophichthinae based on various combinations of morphological characters: 211-215 total myomeres; 7 gut swellings; 2 liver lobes connected with the gall bladder on the second lobe; 6-7 postanal pigments present from anus to caudal margin. An analysis of the partial 12S rRNA sequences (849 base pairs) of mitochondrial DNA showed that our specimens must be Ophisurus macrorhynchos because their sequences were concordant with those of the adult O. macrorhynchos (genetic distance = 0.000). Furthermore, their total myomeres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O. macrorhynchos adult. This is the first time tha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 macrorhynchos leptocephali have been described for Korean waters, and we suggest diagnostic characteristics for the genus Ophisurus leptocephali. We hypothesize that one of the spawning grounds of O. macrorhynchos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Jeju Island.

한국산 농어목(Perciformes) 홍갈치과(Cepolidae) 어류 1 미기록종, Acanthocepola indica (First Record of a Bandfish, Acanthocepola indica (Cepolidae: Perciformes) from Korea)

  • 박정호;유정화;이준모;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0-223
    • /
    • 2008
  • 농어목 홍갈치과에 속하는 Acanthocepola indica 1개체(체장 220.4 mm)가 경남 거제도 남부 매물도 주변해역에서 채집되었다. 본종은 전새개골 후단에 거치 모양의 가시가 있고, 등지느러미 전방에 1개의 검은 반점을 가진다. 또한, 체고가 다소 높고 등지느러미 연조수가 88개, 뒷지느러미 연조수가 101개인 점에서 이미 알려진 먹점홍갈치(A. limbata)와 점줄홍갈치(A. krusensternii)와 잘 구분된다. 본종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으로서, 신한국명을 "남방홍갈치"로 제안한다.

Three Unrecorded Marine Fish Species from Korean Waters

  • Park, Jeong-Ho;Kim, Jin-Koo;Moon, Jee-Hwan;Kim, Cheol-Bum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4호
    • /
    • pp.231-240
    • /
    • 2007
  • Three marine fish species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n waters: a molid (Ranzania laevis, 1 specimen, 279.8 mm SL) and bramid (Pterycombus petersii, 3 specimens, 95.3-214.0 mm SL) collected from a large purse seine off Jeju Island,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and a carangid (Carangoides dinema, 1 specimen, 194.5 mm SL) from a set net in coastal waters off Busan, in the southeastern sea of korea. R. laevis is characterized by a wedge-shaped body and truncated clavus; P. petersii by the dorsal fin origin above or behind the posterior margin of eye, and dorsal and anal fins depressible; and C. dinema by a row of black blotches along the second dorsal fin base, the curved part of the lateral line longer than straight part, and 18 and 16 dorsal and anal fin rays, respectively. New Korean names are proposed for all three species.

울산 동부 마이오세 당사리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Petrological study on the Miocene Dangsari volcanic rocks, eastern part of Ulsan city, southeastern Korea)

  • 윤성효;고정선;박기호;이영애
    • 암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69-186
    • /
    • 2000
  • 울산 동부지역 당사리 화산암류는 다량의 안산암질 화성쇄설암류내에 안산암 용암류가 협재되어 산출된다. 안산암은 유상구조와 판상절리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일부 관입상에서는 소규모 주상절리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화성쇄설암류는 대부분 화성쇄설성 각력암이 우세하면서 응회질각력암, 라필리 응회암 등이 호층으로 반복되어 층상구조를 나타내면서 분포한다. 안산암은 사장석, 보통휘석($Wo_{43.2}$ /$En_{41.0}$ /$Fs_{15.8}$ ), 엔스타타이트($Wo_{2.7}$ , $En_{65.8}$ , $Fs_{31.5}$ )와 각섬석 반정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본 역 안산암은 분류도에서 서브 알칼리 계열의 안산암 영역에 도시되며, $SiO_2$에 대한$ K_2$O의 성분도에 도시하면 중-K 칼크-알칼리암 계열에 해당한다. 미량 원소 조성과 REE 패턴에서 높은 LILE/HFSE비를 나타내며, 경희토류 원소는 부화되어 있는 특징을 나타내는 데, 이는 본 역의 화산암류가 조산대 화간호에 기인한 암석이며, 섭입과 연관된 마그마로부터 생성되었음을 강하게 지시한다. 지구조판별도에서 지판이 침강 섭입하는 지판 경계부 영역의 칼코-알칼리 계열로 구분된다. 당사리화산임의 기원이 되는 칼크-알칼리 안산암질 마그마는 섭입대에서 상부맨틀 웨지를 구성하는 석류석 페리도타이트의 약 15%의 부분용융에 의해 생성된 현무암질 초생마그마에서 유래하였으며, 마그마의 상승 중 지각내의 쳄버에 머무는 동안 분별정출작응과 지각과의 혼염을 받았음을 유추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