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eastern Korea

검색결과 599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남동 대륙주변부 니질대 표층퇴적물의 유공충 특성 (Foraminiferal Characteristics in Mud Deposits of the Southeastern Margin of Korea)

  • 우한준;최재웅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67-78
    • /
    • 2006
  • Six surface sediments from two offshore transects of Ulsan and Gampo, on the southeastern margin of Korea were taken for sediment and foraminiferal analyses. Sedimentary processes are dominated by reworking and resedimentation from storms in the area off Ulsan and hemipelagic suspension settling in the area off Gampo. Eighty-four foraminiferal species were identified in total assemblages, including 33species of living populations and 9 species of planktonic foraminifera. The characteristics of foraminifera showed differences of offshore environments between Ulsan and Gampo. The number of living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equitability in Gampo offshore area had higher values than those in Ulsan offshore area. However, planktonic/benthic(P/B) ratio showed higher in the Ulsan offshore area.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and P/B ratio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stability and surface-ocean productivity in the Gampo offshore area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Ulsan offshore area. The difference of species compositions is useful for interpreting the paleoenvironments in mud deposits of the southeastern margin of Korea.

동남권 골재수급 및 시장 동향 분석 (Analysis of the Trends of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South Korea)

  • 최세진;김영욱;김도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24-325
    • /
    • 2018
  • Recently, the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the Southeast region has been disrupted because supply of sea sand decreased due to discontinuation of collecting the EEZ aggregate in the southern sea.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South Korea in order to find a solution these social problem.

  • PDF

한국 남동연안의 냉수대 영향에 의한 해풍순환과 오존농도의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ea Breeze Circulation and Ozone Concentration due to the Effect of Cold Water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 지효은;이순환;박창현;이화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1-274
    • /
    • 2014
  • This work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 breeze circulation and ozone concentrations during cold water events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coastal upwelling frequently occur. This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wo categories, such as cold water and non-cold water events, over the period of 2000-2009. The low air temperature ($0.5^{\circ}C$), low SST ($5^{\circ}C$) and the wind direction(southerly) are the features of the cold water events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Moreover, ozone concentrations in the cases of the sea breeze circulation and cold water ev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below 30 ppb) than those (70~100 ppb) in the non-clod water events, because of the low air temperature ($10{\sim}20^{\circ}C$) and high wind speed (3~5 m/s) around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한반도 남동부지역의 해석적방법에 의한 다중산란모델 연구 (A Study of Multiple Scattering Model by Analytic Method for Southeastern Korea)

  • 정태웅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4권3호
    • /
    • pp.242-248
    • /
    • 2011
  • 균일한 모델에 대하여 해석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한반도 남동부의 감쇠상수 고유치를 분리하였다. 해석적인 방법에 의한 이론치와 759 지진자료에 의한 관측치를 다중지연시간창법으로 비교하여 분리를 행하였다. 이전의 연구에서 한반도의 전체 $Q_i^{-1}$$Q_s^{-1}$ 값은 매우 낮은 값이 도출되어 지진 안정지대의 값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 반면, 한반도 남동부는 비교적 높은$Q^{-1}$값이어서 이는 한반도 타지역에 비해 높은 지진활동도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Vela SNR

  • Kim, Il-Joong;Seon, Kwang-Il;Min, Kyoung-Wook
    • 천문학회보
    • /
    • 제35권2호
    • /
    • pp.69.2-69.2
    • /
    • 2010
  • We investigate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Vela supernova remnant (SNR) in the multi-wavelength domains. This region is quite interesting because it includes the bullet feature D/D´ and another SNR (the Vela Jr.). The C IV $\lambda\lambda1548$, 1551 emission-line morphologies obtained from the FIMS/SPEAR data show that there are several local peaks of C IV on the bullet D/D´ and the Vela Jr. SNR. This may provide clues to direct interaction between both SNRs. Also, we found that the southeastern side of the Vela is in direct contact with an H-alpha ring feature whose central source seems to be a B-type star, HD 76161. The C IV emission peaks along this contact boundary. We investigate this interacting region in detail.

  • PDF

한반도 동남부 신생대 지각변형의 주요 특징과 지구조적 의의 (Characteristics of the Cenozoic crustal deformation in SE Korea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 손문;김종선;정혜윤;이융희;김인수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6
    • /
    • 2007
  • 한반도 동남부는 신생대 동안 지구조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중 지각변형을 겪었다. 신생대 동안의 주요 지구조 사건과 이에 따른 한반도 동남부에서 발생한 지각변형의 주요 특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인도-아시아의 충돌과 태평양판의 이동방향 변화기(약 50${\sim}$43 Ma): 인도판의 충돌에 인해 동아시아 대륙이 동쪽의 태평양판쪽으로 밀려가면서 해구의 퇴각이 발생하였으며, 태평양판의 이동방향이 북북서에서 서북서방향으로 회전되었다. 그 결과 한반도 동남부에는 동서 내지 서북서-동남동방향의 인장력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남${\sim}$북북동방향의 염기성 암맥군이 관입하였다.(48 Ma 전후). (2) 동해 화장기(약 25${\sim}$16 Ma): 남북 내지 북북서-남남동방향으로 동해가 활발히 확장됨에 따라 한반도 동쪽 해안선을 따라 우수향 전단력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한반도 동남부에는 북북서-남남동방향의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운동이 발생하였으며 단층의 우향 굴곡부 혹은 오버스텝 부분에는 당겨열림형 퇴적분지가 형성되었다. 기하 및 운동학적 특징에 따라 퇴적분지들은 평행사변형과 쐐기형 확장 분지로 나누어진다. 또한 이 시기에는 지괴가 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되고 북서향으로 경동되었으며 일부 퇴적분지들은 확장 축이 동에서 서쪽으로 이동되는 전파열개 과정을 겪었다. 또한 약 17Ma경에는 이러한 지각변형을 가장 서쪽에서 규제하는 연일구조선이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으로 운동하기 시작하였다. (3) 일본 남서부 시계방향 회전기(약 15Ma): 필리핀해판의 북상으로 이즈-보닌 아크와 일본 남서부가 충돌해 일본 남서부의 시계방향 회전운동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대한해협에는 북서향 압축력이 가해졌으며 한반도 동남부에서는 응력반전으로 인해 퇴적분지의 확장이 종결되고 지괴의 융기와 국지적인 지괴의 반시계방향 수평회전운동이 발생하였다. (4) 동서방향 압축응력기(약 5Ma 이후): 태평양판의 섭입각도가 얕아지고 아무르판이 동진함으로써 한반도 동남부 특히, 울산단층 동부에 상반서향의 충상단층들이 형성되어 지괴가 융기되었으며, 최근 한반도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 PDF

한반도 남동부 미소지진을 이용한 응답스펙트럼 분석 (Analysis of Response Spectra using Microearthquakes of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 김연중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2000
    • /
    • pp.27-32
    • /
    • 2000
  • Microearthquake records with magnitude 2.6~3.1 record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1994~1998 are analyzed. Total of 42 records consisted of 12 events instrumented at 7 stations. The response spectra with the above data shows that the frequency range of the dominant response is about 10~25Hz and are compared with the standard response spectrum. The result impli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earthquake ground motion differ from those of standard response spectrum presented in US NRC Reg. Guide 1.60 especially at higher frequencies.

  • PDF

황해 남동부 표층 해양 퇴적물의 광물 분포; 2010년 한국해양연구원 탐사 시료 (Mineral Distribution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Surface Sediments; KORDI Cruise Samples in 2010)

  • 조현구;김순오;이희일;신경훈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5-216
    • /
    • 2011
  • 2010년 해양연구원의 황해 남동부 탐사에서 채취된 67개 표층 퇴적물 시료에 대하여 정량X선 회절분석법을 이용하여 광물조성을 구하였다. 황해 표층 퇴적물은 주구성광물(석영 49.1%, 사장석 13.0%, 알카리 정석 9.3%), 정토광불, 방해석 빛 아라고나이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토광물 중에는 일라이트(9.4%)가 가장 않고, 녹니석(4.6%) 이 두 번째로 많으며, 카올리나이트(0.8%)는 매우 소량 들어 있다. 석영과 알카리장석은 조립질 퇴적물, 각섬석과 점토광물들은 세립질 퇴적물에 농집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석영, 사장석, 알카라장석, 녹니석 및 카올리나이트 함량은 황해 중앙 니질대의 남단에 해당되는 니질대 1에서 높고, 일라이트 함량은 황해 남동 니질대의 일부인 니질대 2에서 높다. 이와 같은 구성광물의 차이는 세립질 퇴적물의 근원지가 다름을 시사하며, 황해 남동 니질대는 주로 한반도 서해안의 금강과 영산강으로부터 운반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Seropositivity Rates of Strongyloides stercoralis Antibody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Republic of Korea: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 Kim, Taehwa;Lim, Seungj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0권3호
    • /
    • pp.181-185
    • /
    • 2022
  • Strongyloides stercoralis infection is not endemic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 with a positivity rate of <1% in stool examination. However, there is a risk of hyperinfection in immunosuppressed individual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seropositivity of S. stercoralis antibodies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ropositivity of S. stercoralis antibodies in the southeastern area of Korea. From January 2019 to June 2021,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who visited the study center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for routine health check-ups. We determined serum levels of specific anti-Strongyloides IgG antibodies in 834 samples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e observed that 92 samples (11.0%) tested showed a positive response. Th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51±10.7 years, and 43.4% of them were men. The antibody positivity rat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participants' residence were 12.3% (Gyoungsangnam-do), 10.2% (Busan), and 10.1% (Ulsan), respectively. Total eosinophil count was associated with positive test results (154.8±152.0 per mm3 versus 202.1±178.9 per mm3, P=0.006).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blood eosinophil count, age above 50 years, and residence in Sacheon wer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ositive status of S. stercoralis antibody. Our finding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test for S. stercoralis in actual clinical setting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