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urce basin

Search Result 36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Sincheon Stream and Its Tributaries in Gyeonggi-do Province (경기도 신천 및 유입지천의 오염특성 평가)

  • Son, Yeong-Geum;Im, Heung-Bin;Lee, Kang-Hyuck;Kim, Jin-Guil;Im, Yun-Jung;Choi, Jeong-In;Lee, Ho-Jung;Oh, Jo-Gyo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43 no.5
    • /
    • pp.422-430
    • /
    • 2017
  • 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Sincheon basin water environment syste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10 August to 2016 December including BOD, SS, T-N, T-P.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 of BOD generated by pollution sources in the Sincheon water system, industrial was the highest at 33,259.4 kg/day. In comparison with the tributary, it was estimated that Dong-Du water system reveals the highest level of BOD in the industry. Population and livestock was high in CheongDam and Sang-Pae water system. With the inflow stream of Hyo-Chon, Suk-Woo and Sang-Pae, the pollution degree of BOD and T-N level of Sincheon increased and pollution degree of tributary was higher than that of Sincheon's main stream. The main reason of pollutant of Suk-Woo was from untreated wastewater, and it influenced downstream of Suk-Woo. Hyo-Chon stream satisfy the water quality standard, but Zn was designated as a Monitoring contaminants, was high as 14.670 mg/L (standard 0.02~2.45mg/L)because of textile wastewater. And Sang-Pae stream was polluted by livestock wastewater of livestock farms as a nonpoint source.

3-Dimensional Sequence Interpretation of Seismic Attributes in the Structurally Complex Area (복잡한 지질구조 지역에서의 3차원 탄성파 Attribute를 이용한 층서해석 사례)

  • Kim, Kun-Deuk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 no.3
    • /
    • pp.149-153
    • /
    • 1999
  • The study was performed as a part of 3-D exploration project of the South Con Son basin, where Korea National Oil Co. (KNOC) and SHELL Company are performing joint operation. In the structurally complex area, seismic facies or lap-out patterns, which are usually the tools for the conventional seismic stratigraphy developed by Exxon Group (Vail et at., 1977), are not easily identifiable. Therefore, stratigraphic informations are mainly extracted from seismic attribute maps of each sequence or systems tracts, and isopach maps in correlation with the stratigraphic information from the wells. The attribute maps of the sequence or systems tract boundaries and isopach map describe the variations of paleodepositional environments. The shape of the attribute maps of the boundaries is a reasonable description of the shape of the paleodepositional surface. With other maps such as isopach and structural maps, the variations of the parasequences in the systems tracts can be projected using the surface attribute maps. The reflection intensity attribute at each sequence or system tract boundary can be related to lithology, facies or porosity distributions. The azimuth attribute of source rock sequence can be used to identify the hydrocarbon migration patterns into the prospects. The overall risks of reservoir rocks, cap rocks, structure and hydrocarbon migrations were computed u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 PDF

Comparison of Topographical Parameter for DTED and Grid DEM from 1:50,000 Digital Map (DTED와 1:50,000 수치지형도에 의한 격자 DEM의 지형 매개변수 비교)

  • Kim, Yeon-Jun;Shin, Ke-J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5 no.3
    • /
    • pp.19-32
    • /
    • 2002
  • Topographic information is indispensable in the applications that require elevational data. These applications are exemplified by watershed partition, extraction of drainage networks, viewshed analysis, derivation of geomorphologic features, quantification of landslide-terrain, and identification of topographic settings susceptible to landsliding. Therefore, we study the accuracy of data on topographic parameters derived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DEMs). This research wished to analyze the effect that data source and grid size get in topography parameter using gridded DEM. An analysis of topography parameter extract and compared drainage basin, watershed slope, stream network using DEM is constructed by digital map and DTED DEM. Especially, when extract stream network from gridded DEM, received much effects according to threshold value of flowaccumulation regardless of DEM grid size. Therefore, this study applied equal threshold value of flowaccumulation for two data sources, and compare and analyzed stream network.

  • PDF

Analysis of Water Cycle at Main Streams in Ulsan Using CAT Model (CAT 모형을 이용한 울산지역 주요 하천유역의 물순환 분석)

  • Lee, Sang Hyeon;Cho, Hong J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
    • /
    • pp.1-10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ater cycle at Taehwa river, Dongcheon, Hoiya river and Cheongryang cheon in Ulsan city using CAT model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To apply CAT model, we separated Teahwa river into 25, Dongcheon into 11, Hoiya river into 17 and Cheongryangcheon into 5 subbasins and discriminated between contribution runoff basins and source basins. The results of water cycle analysis performed using rainfall datas measured from 1975 and 2008 and hydrologic datas of change of land use etc. were that surface runoff increase and interflow decrease, caused by the increase of impervious area. The increases of surface runoff at the basin of Taehwa river and Dongcheon which is a tributary of Taehwa river were small and similar to each other respectively as 1.7% and 2.4%, and increased high rate of 3.2% and 7.7% in Hoiya river and Cheongryangcheon including subbasins which are having high rate of urbanization.

Geochemistry of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from Coal-bearing Metapelites of the Ogcheon Supergroup at the Hoenam Area, Korea (회남지역(懷南地域)의 옥천누층군(沃川累層群)에 분포(分布)하는 탄질(炭質) 변성이질암(變成泥質岩)의 미량(微量) 및 희토류원소(稀土類元素) 지화학(地化學))

  • Lee, Hyun Koo;Lee, Chan He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9 no.6
    • /
    • pp.689-698
    • /
    • 1996
  • The coal-bearing metapelites from the Hoenam area are interbedded within the Ogcheon Supergroup, which are composed mainly of graphite, quartz, muscovite and associated with trace amount of biotite, chlorite, pyrite, rutile and barite. Although the formation was mined for coal, and the contents of V, U and Mo are a higher grade in coal formations than the host metapelites. The ratios of Al/Na and K/Na in coal formation are very heterogeneous and wide range from 10.28 to 90.91 and from 3.73 to 36.60, respectively. The V content increase with increasing Al and Ba contents, but the U and Mo are not related with other elements. Those are suggested that controlled of mineral compositions in coaly metapelites due to substitution, migration and reequilibrium of elements by regional metamorphism. These coal formation were deposited in basin of marine environments and the REE of these rocks are not influenced with metamorphism and hydrothermal alterations on the basis of Al content versus La, La against Ce, the ratios of La/Ce (0.23 to 0.73) and Th/U (0.03 to 16.6). These rocks also show much variation in $La_N/Yb_N$ (0.53 to 14.19), Th/Yb (0.51 to 6.00) and La/Th (0.15 to 18.92), and their origin is explained by derivation from a mixture of sedimentary and metasedimentary rocks. The wide range in trace and REE element characteristics as Co/Th (0.07 to 3.00), La/Sc (0.04 to 23.48), Sc/Th (0.06 to 7.57), V/Ni (2 to 3319), Cr/V (0.03 to 1.06) and Ni/Co (1.00 to 79.85) of these coaly metapelites argues for inefficient mixing of the various source lithologies during sedimentation.

  • PDF

Estimation of Trapping Efficiency Using VFSMOD: Application to Cheongmi Basin (VFSMOD를 이용한 토사저감효율 산정: 청미천 유역에서의 적용)

  • Son, Minwoo;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38-338
    • /
    • 2015
  •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 오염을 야기하는 오염원은 오염 배출원이 명확하여 하나의 점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점오염원(Point Source)과 오염원이 명확치 않은 비점오염원(Non-point)으로 구분된다. 생활하수, 축산폐수와 같이 오염원이 명확한 점오염원은 하천 유입 이전에 처리장을 거쳐 정화작업이 가능한 반면, 비점오염원은 오염원이 명확치 않아 처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 오염물의 양과 이동 경로가 예측이 불가능하고 강우시에는 특별한 처리 없이 하천으로 바로 유입된다. 비점 오염원의 종류는 토사, 영양물질, 유기물질, 농약, 바이러스 등 다양하다. 이 중에서 토양에 흡착되어 이동하는 질소와 인은 하천으로 유입되어 부영양화를 야기하는 특성이 있어 더욱 처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수질 오염을 줄이기 위해 여러 최적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이 제시되어 있으며 오염 물질의 하천 유입을 차단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으로는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중 하천변에 식물체를 설치하여 토양의 유실을 막는 식생대(Vegetative Filter Strip, VFS)가 있다. 식생 밀집 지역의 설치를 통해 표면 유출을 차단하고 토양 유실 감소와 수체로의 오염물질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이에 VFSMOD-w를 이용하여 강우시 식생대를 통한 토양 유실 감소 효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으로 비교적 수문 및 토양 자료가 풍부한 청미천 유역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식생대의 길이와 식생대 내 식물체의 파종간격이 가장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된다. 이때, 식물체의 종류는 식물체 파종으로 인해 변화되는 토양의 수정된 Manning의 조도계수로 구분한다. 모든 강우 및 식물체 조건이 동일할 때, 식생대 내 식물의 파종 간격이 좁고 식생대의 길이가 길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식물체의 높이, 식물체의 종류 및 식물의 파종간격이 입력 자료로 요구되나 이 중 식물체의 높이는 토사 저감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동일한 강우 조건에서 식생대의 길이가 0.5 m에서 1.0 m로 2배 증가하였을 때 토사 저감 효율이 두 경우 모두 95% 이상의 효율을 보이는 것이 나타났다. 이는 식생대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나 일정 길이 이상이 되면 대부분의 토사가 저감되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식생의 파종 간격이 좁을수록 토사 저감 효율이 증가하더라도 식물체의 성장을 고려한 적절한 파종 간격을 선정하여야 한다. 즉, 식생대의 설치는 적절한 파종 간격 및 식생대 길이를 식생대 설치지역의 강우 특성에 따라 결정지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in Cheongmi basin under consideration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청미천 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추정)

  • Son, Minwoo;Kim, Sang Ug;Chung, Eun-Sung;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72-572
    • /
    • 2016
  • 청미천 유역은 다양한 수계로 구성된 대유역에 해당되며 농업 및 공업활동에 따른 오염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원 중 비점오염원이 가지는 특성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모의 및 분석한다. 비점오염원의 모의를 위해서는 SWAT 모형이 이용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로는 RCP4.5 및 RCP8.5 시나리오가 적용된다. SWAT 모형은 유역 모의를 위한 모형으로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의 장기간 모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조건의 토양 및 토지이용 상태를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강유-유출모형과 수질모형 등을 GIS와 연계한 호환모형을 이용하며 유출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거동을 해석하고자 한다. SWAT 모형을 이용한 모의를 위해 필요한 매개변수는 관측소 현황, 강우, 기온, 습도, 일사량, 풍속 등이다. 이중 일사량에 대한 정보를 가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고 나머지 매개변수는 청미천 유역의 특성치를 조사하여 입력하였다. 청미천 유역의 수질 오염원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시설용량이 일정 크기 이상인 하수처리장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정보가 모의시 검토되었다. 청미천 유역 전체 오염원에 대한 점오원의 비율을 검토한 결과 홍수기에 점오염원의 영향이 낮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홍수기에 불특정 지점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의 기여도가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소규모 산업단지의 배출량 등에 대한 자료가 보완될 때 보다 신뢰성 있는 모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총질소와 총인의 경우에도 하계 홍수기에 크게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유물질의 경우는 그 변동 폭이 다른 항목에 비해 크게 나타나며 9월에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본 연구를 보다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매개변수를 보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점오염원을 포함하여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구축되는 과정 역시 중요하다.

  • PDF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in Kumho River Basin by SWAT Model (SWAT 모형에 의한 금호강 유역 비점오염원 분석)

  • Lee, Jae Yeong;Kwon, Hun Gak;Im, Tae Hyo;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56-556
    • /
    • 2015
  • 금호강 유역은 낙동강 유역에 위치한 22개 중권역에서도 본류에 유입되는 하천 규모가 크기 때문에 본류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해 금호강에서 유출되는 유량과 비점오염원 부하량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더욱이, 기후변화로 인해 태풍이나 국지성 호우의 발생이 빈번해지고, 그 규모 역시 과거에 비하여 상당히 크기 때문에 각 유역에 대한 정확한 수문 및 수질 조사가 요구되고 있다. 점오염원에 의한 부하량은 강우량과 관계없이 발생되지만 비점오염원에 의한 부하량은 강우에 따른 유출 현상 때문에 매년 변동이 심하다. 도시지역의 경우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표면에 흡착된 오염물질들이 지표면을 통과하지 못하고 우수와 함께 하천으로 유입된다. 또한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도로에 떨어진 기름, 타이어 분진 등이 강우 시 하천으로 유입된다. 특히 금호C지역의 공업단지의 경우 강우 유출수에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혼입되어 있으며, 지표면에 퇴적되는 오염물질의 양도 주거지역보다 훨씬 높으며 강우 시 유독한 수질오염물질이 일시에 다량으로 하천에 유입된다. 시가지는 차지하는 면적이 각 소유역당 $20km^2$이내로 크지 않지만 BOD, T-N, T-P 모든 항목에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산림은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BOD를 제외한 항목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경지의 경우 각 소유역당 $5{\sim}45km^2$의 면적을 차지하지만 전체적으로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T-N에 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금호강 유역은 상류에서는 농경지의 비율이 높아 비료나 토양침식에 의한 비점오염에 의한 오염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하류에서는 영천시, 대구광역시가 위치하고 있어 생활하수와 공업용폐수 등에 의한 점오염과 불투수 지역이 많아 우수와 함께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 모두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금호강유역의 효율적인 비점오염관리를 위해서는 금호강 유역 상류지역의 농업지역과 하류지역의 도시지역에서 필요한 비점오염 부하량 감소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diction of Urban Inundation using SIND Model : Application of Nakdong River Basin (SIND Model을 적용한 도시침수 예측 : 낙동강 유역 적용)

  • Kim, Dong Hy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3-293
    • /
    • 2019
  • 최근 도심지 침수예방을 위해 구조적 비구조적인 대책 등이 수행되어 왔으나, 도심지의 국지성 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시간의 도심지 침수예측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도심지 침수 예측을 위해서는 수치모의 프로그램을 사용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국지성 호우에 의한 침수를 막을 만킁의 실시간 위험예측은 아직까지 힘든 실정이다. 한편 해양재난의 침수를 예방하기 위해서 국립재난안전연구원(2017)에서는 과학적 보간법을 적용한 침수예측 모형인 SIND(Scientific Interpolation for Natural Disaster) Model을 개발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IND Model을 도심지 침수예측에 적용하여 집중호우와 같은 단기간의 침수를 예방하고자 한다. SIND Model은 기 구축된 침수예상도를 활용하여 모든 시나리오에 대한 침수 위험도 등급을 실시간으로 평가하는 모형이다. 국토부에서 제공하는 국가홍수위험지도와 내수침수지도를 활용하였고, SIND Model은 Comsol Multyphisic를 활용하여 침수예측지도를 생성하였다. 기존에 해양재난 예측을 위해 사용하였던 Risk Grade 방정식에 시간 항(time term)과 도심지의 최초 침수 발생위치에 생성 항(source term)을 추가하여 도심지 침수특성을 반영하였다.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CRITIC(CRiteria Importance Through Intercriteria Correlation) 방법을 활용한 형상유사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기 구축된 홍수위험지도와 형상유사도는 전체 구역 중 80%의 구역이 0.8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20%의 구역에서는 복잡한 도심지의 건물, 구조물 등의 침수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형상유사도가 낮게 평가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위험도 예측을 위해 배수시스템 등의 영향인자를 고려한다면 위험도 등급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Antimicrobial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Gram-Negative Bacteria Isolated from Inland Pollution Sources in the Drainage Basin of Iwon-myeon (Taean-gun), South Korea (태안군 이원면 육상오염원 배출수에서 분리한 그람음성균의 항생제 내성 특성)

  • Park, Bo Mi;Kim, Min Ju;Jeong, Yeon Gyeom;Park, Jin Il;Yu, Hong Sik;Oh, Eun Gyoung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54 no.4
    • /
    • pp.377-387
    • /
    • 2021
  • Fecal contamination levels of discharge water from inland pollution sources were investigated in Iwon-myeon (Taean-gun), South Korea. Gram-negative bacteria were isolated during the investigation and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the isolates were examined to estimate their impact on the coastal environment. The ranges of total coliform and fecal coliform of 12 samples from four major inland pollution sources were 79-490,000 MPN/100 mL and 2.0-490,000 MPN/100 mL, respectively, with the highest level of fecal contamination at Station No. 3. A total of 137 strains (14 genus) were isolated, of which 86 strains (62.8%) were Enterobacteriaceae. The identified isolates were as follows: Pseudomonas spp. (35 strains), Klebsiella spp. (20 strains), Serratia spp. (20 strains), and Escherichia spp. (19 strains). The isolated Gram-negative bacteria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resistance to ampicillin (81.8%), followed by amoxicillin/clavulanic acid (64.2%), ceftiofur (61.3%), and cefoxitin (59.1%). Antimicrobials in which less than 10% of isolates showed antimicrobial resistance were ciprofloxacin (3.6%) and gentamicin (2.2%). Resistance to one or more antimicrobials was observed in 121 strains (88.3%) and 84 strains (61.3%) showed a tendency for multiple antimicrobial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