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r dough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Using Sour Dough

  • Park, Young-Hee;Jung, Lan-Hee;Jeon, Eun-Ray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323-327
    • /
    • 2006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nges in loaf weight, loaf volume and specific volume, moisture content and water absorption, pH and titrable acidity, shape, texture profile and sensory evaluation using sour dough instead of dough conditioner in bread making. The weight and volume of bread tended to increase in the sour dough bread,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H of bread tended to be lower in the sour dough bread. The control bread had large irregular pores that were fewer in number, while the sour dough bread had small spots and was very dense and even throughout the whole surface. The texture profile of bread such as hardness, cohesive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was lower in the sour dough brea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s, except for the shape of bread. However, the sour dough A bread was better in color, texture, flavor, touch, moistness,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and the sour dough B bread was better in flavor, touch and taste than the control.

빵의 품질에 미치는 유산균의 영향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on the Qualities of White Pan Bread)

  • 장준형;안재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09-515
    • /
    • 1996
  • Sour liquid 발효가 식빵의 제조조건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Lactobacillus brevis와 Lactobacillus brev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을 혼합 배양하면 sour dough bread 사용 유산균 중 산생성력이 가장 높았고 pH도 낮았다. Sour liquid 발효 제조시 제빵의 제조조건에 가장 적합한 배양조건, 배양온도, 시간 및 배지의 조서에 대해 실험하였다. L. brevis와 L. plantarum의 배양은 3$0^{\circ}C$에서 24시간 하였다. 배지조성 중 글루코오스를 2% 첨가하고 영양원으로서 yeast extract 0.4%를 첨가한 것의 결과가 가장 좋았다. Sour liquid ferments를 제빵제조시 중종 (sponge dough)에 넣었을 때 반죽의 pH를 4.64까지 낮추어 주어 발효력을 증가시켰고, total titratable acidity(TTA)도 보통 식빵의 0.46%보다 높은 0.54%를 나타내었다. 품질평가에 있어서, sour dough liquid를 이용한 식빵의 경우가 보통식빵보다 비용적 (specific volume)이 좋았다. 맛과 외형 특히 관능적인 품질(향취)이 증가되었다. 이는 유산균이 생성한 초산, 젖산 및 아미노산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보인다. 제품을 $25^{\circ}C$에서 6일 동안 저장하면서 노화도를 측정한 결과 보통식빵보다 노화지연에 훨씬 효과적으로 나타났고 Sour liquid ferments는 유산균 등이 생성한 유기산들이 곰팡이의 생육을 억제하여 제품의 저장기간이 연장되었다.

  • PDF

Sourdough 분말첨가가 소맥분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urdough Powd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read Flour)

  • 김석영;황성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1-176
    • /
    • 2004
  • Sourdough 분말의 첨가가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ourdough 분말 Phil XN 290, Phil IM 1을 각각 1%, 2%를 넣은 다음 farinogram 특성, 호화도 특성, 반죽의 팽창력, crumb softness, 관능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farinogram에서 sourdough 분말을 첨가한 것이 control에 비하여 흡수율은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지만 반죽의 안정도가 감소하였으며 breakdown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RVA 값은 sourdough 분말을 첨가한 것이 초기호화 온도는 control 보다 0.7$^{\circ}C$-l.3$^{\circ}C$ 상승하였고, 최고점도는 Phil IM 1이 3-6 RVA 증가하였고, Phil XN 290은 유사하였다. 최종 점도는 Phil XN 290은 첨가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 Phil IM 1은 증가하여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반죽의 팽창력은 sourdough 분말을 첨가한 것이 control과 비교하여 90분 이후부터 약간 낮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Hardness는 Phil XN 290과 Phil IM 1이 control과 비교하여 2일까지는 낮게 나타났으나, 4일 이후에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Phil XN 290 2%가 control 보다 향미, 식감, 맛이 5% 수준에서, Phil IM 1 2%가 control보다 향이 5%수준에서 우수하였고, 색상은 1% 수준에서 우수하였다.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한 Sourdough Bread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made with Kamut Sour Starter)

  • 최재현;김은지;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17-133
    • /
    • 2016
  • 본 연구는 카무트 사워종 제조 방식을 달리하여 제조한 사워도우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반죽의 pH와 발효율, 비용적, 영상분석, 수분함량, 색도, TPA, 저장성,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반죽의 pH의 경우,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함으로써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pH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발효율 측정을 통해 사워종을 첨가한 시료의 발효가 대조구보다는 다소 느리지만, 대조구와 동일한 부피만큼 팽창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용적과 영상분석 결과, 사워종을 첨가한 실험구가 CON보다는 다소 작은 부피를 가지며, 실험구 중에서도 TM과 CM의 부피와 비용적이 유의적으로 낮음을 확인하였다. 수분함량은 사워종의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최종 제품의 수분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Pool의 수분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도 분석 결과, 카무트 자체의 색으로 인해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한 실험구에서 다소 어두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PA과 저장성 측정 결과, 시료 제조 24시간 후 시료의 경도는 CON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으나, 72시간 경과할 때는 Pool과 CON은 유의적인 경도 차이가 없어짐을 확인하였다. 관능검사 중 기호도 검사 결과, 실험구 중에서는 이스트가 소량 첨가된 Pool과 Biga가 높은 평가를 받았고, TM과 CM은 전체적 기호도에서 좋지 않게 나타났다. 특성 차이 검사결과,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함으로써 부피는 다소 감소하지만, 빵의 속질과 껍질 색은 더 진해지며, 신맛과 곡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인 품질특성 결과와 관능검사 결과에 따르면, Poolish의 형태로 카무트 사워종을 제조하는 것이 사워도우 빵의 품질과 기호도 측면에서 최적으로 여겨진다.

Lactobacillus delbruckii 첨가가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Lactobacillus delbruckii on the quality of bread)

  • 안종훈;유제현;심의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85-95
    • /
    • 1996
  • 식빵 제조에 있어 유산균을 첨가하여 산생성을 촉진시켜 pH가 저하되고 빵의 보존기간을 연장시키며 독특한 풍미를 갖게 하는 등 그 품질과 보존성에 관한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분함량, 수분활성, 제품의 pH, Hardness측정, 보존기간 및 관능검사로 빵의 품질 특성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분함량의 감소는 저장기간에 따라 일반 식빵이 sourdough를 10, 30, 50% 첨가한 식빵보다 빨랐다. 2. 수분활성도는 일반 식빵의 경우 0.94, sourdough 첨가 식빵은 0.94에서 0.96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3. 제품의 pH는 sourdough 첨가량과 straight dough method와 sponge dough method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즉 장시간의 발효를 실시한 sponge dough method 식빵이 sourdough첨가 %가 증가할수록 pH의 변화가 pH 5.5${\sim}$4.5로 straight dough method의 식빵 pH 5.4${\sim}$4.8보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Hardness 측정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일반식빵이 sourdough 첨가 식빵에 비해 대체로 단단하였다. 5. Sponge dough method가 straight dough method에 비해 이취, 곰팡이 발생이 30${\circ}$C에서 1일 정도 늦어지며 sourdough % 증가할수록 이취, 곰팡이 발생이 I~2일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관능검사 결과 sourdough 첨가 식빵이 일반식빵 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7, 관능검사 결과 straight dough method에 있어서는 sourdough 30% 첨가 식빵이 가장 기호에 맞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sponge dough method에 있어서는 sourdough 10% 첨가 식빵이 가장 기호에 맞는 것으로 평가되어 Sourdough 첨가 %와 method에 따라 score 차이를 보였다.

  • PDF

Sourdough를 이용한 제빵의 특성 (Properties of Sourdough-added Bread)

  • 정현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43-648
    • /
    • 2008
  • 본 연구는 효모와 젖산균을 이용하여 sourdough을 제조하고 이것을 첨가하여 만든 식빵의 제조 특성, 식미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Sourdough 30, 50, 100%를 각각 첨가 시 1차 발효 후 젖산균과 효모의 생육에서 젖산균수는 $10^{9-10}CFU/g$로 크게 증가함을 나타내었고, 효모는 젖산균의 생육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빵의 관능적 평가는 sourdough가 첨가된 빵인 경우 다소 신맛을 나타내었고 식감과 조직감은 대조구와 유의성이 없었으며 종합적 기호도에서는 sourdough 100% 첨가한 빵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빵의 저장성에서 sourdough 첨가 식빵은 6일만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3일만에 곰팡이가 발생한 대조구에 비해 보존기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균과 곰팡이의 오염도에 있어서도 sourdough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미생물의 균수가 적게 나타났다. Sourdough 첨가시 빵의 노화속도는 sourdough가 30, 50 및 100%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 각각 13, 20 및 36%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icrobial Diversity of Commercial Makgeolli and Its Influence on th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Sourdough, Jeung-Pyun

  • Park, Jaehyung;Seo, Ji Sun;Kim, Seul-Ah;Shin, So-Yeon;Park, Jong-Hyun;Han, Nam 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0호
    • /
    • pp.1736-1743
    • /
    • 2017
  • Sourdough is made by fermentation of dough by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yeast to improve bread properties like volume, flavor, and texture. A Korean traditional sourdough was made by fermenting rice flour with rice wine (makgeolli) and used to make sponge-like bread (jeung-pyu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diversity of makgeolli products and their influence on the organoleptic quality of jeung-pyun. Three commercial makgeolli were tested for jeung-pyun production, with each product exhibiting varied dough swelling rates and organoleptic qualities, and among them, J-product was ranked highest in texture and taste. Microbial analysis of the three makgeolli also showed a big difference in their population and diversity. J-product had the highest LAB and yeast counts, and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brevis, Leuconostoc pseudomenteroide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Using J-product, sourdough was fermented at $25^{\circ}C$, $30^{\circ}C$, and $35^{\circ}C$, and the microbial growth in and textural properties of jeung-pyun were examined by instrumental and sensory tests. At high temperature ($35^{\circ}C$), the rates of dough swelling and acidification were fast due to rapid microbial growth mainly caused by LAB, resulting in a short leavening time and soft and sour jeung-pyun. Sensory tests showed consumer preference for the soft and mild-sour jeung-pyun. This study shows that LAB in makgeolli play key roles in production of jeung-pyun, influencing the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jeung-pyun, development of LAB starters with high gas productivity and low acidity and establishment of an optimal fermentation procedure for rice dough are necessary.

맥문동 물 추출물을 첨가한 바게트 빵의 품질 특성 및 당뇨유발 흰쥐의 혈당, 혈청지질에 미친 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Dietary Effect of Baguette Bread Added with Water Extracts of Liriopis Tuber on the Blood Glucose and Serum Cholesterol in Diabetes Induced Rats)

  • 김순동;이예경;이명예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5-282
    • /
    • 2004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guette bread added with water extracts of Liriopis tuber(LT) and effect of the diets containing 20% dried and powered baguette with 10% LT on the level of blood sugar and lipids in the diabetes induced rat by streptozotocin were investigated. pH of the dough added with 5∼10% LT was 5.00∼5.03 which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5.12). The volume of the dough with 10% LT after 2nd fermentation was the biggest. Loaf volume index of the bread with 10% L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L^{*}$ values of outside and inside of the baguette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LT, while the $a^{*}$ values increased. Color of the bread with LT showed light dark-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rdness, but springiness and gumminess were higher in the bread with 10% LT. Sweet taste increased, color acceptability and overall taste were enhanced by addition of LT, but it did not affect the sour and astringent taste. The overeating phenomenon showed in the diabetes rat decreased in the group fed with baguette bread with LT, while feed efficiency increased by feeding of the bread with LT. The level of glucose, neutr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in blood were 118.92,95.47 and 37.42mg/dL in the control group, 245.60, 121.54 and 102.43 mg/dL in the diabetes control, 148.40, 103.25 and 57.63 mg/dL in the baguette diet group,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HTR between control group and baguette diet group, while atherogenic index was considerably decreased, which might represent improving and preventing effects of diabetes.s.s.

  • PDF

Calcium Acetate의 첨가가 반죽의 발효와 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Acetate on the Dough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 이예경;이명예;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08-614
    • /
    • 2003
  • 현미식초와 다슬기회분으로 제조한 액상의 초산칼슘(LCA)을 밀가루에 대하여 2, 4, 8% (v/w)되게 첨가한 빵(LCA-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pH는 대조구(5.38)보다 첨가구(5.39∼5.42)에서 높았으며 첨가량이 높을수록 높았다. LCA-빵의 굽기손실율은 10.11∼10.81%로 대조구의 10.73%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loaf volume index는 대조구 7.12, 2% 첨가 7.18로 비슷하였으나 4% 및 8% LCA-빵은 각각 6.62 및 5.80으로 낮았다. 칼슘함량은 무첨가 빵에서 16mg/g, 2, 4 및 8% LCA-빵에서는 각각 30, 60, 120 mg/g이었다. LCA-빵의 경도, 점착성, 깨짐성은 대조구보다 높았으나 탄성과 응집성은 낮았다. LCA 첨가빵의 $L^{*}$ 값은 대조구보다 낮았으나 $a^{*}$ 값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 $b^{*}$ 값은 높았다. 현미경 관찰결과 LCA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이 불규칙적이며 전분입자가 불안정한 matrix를 형성하였다. 신맛과 쓴맛은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끈적한 정도는 대조구와 2∼4% LCA빵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8% LCA-빵에서는 높았다. 풍미와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와 2% LCA-빵은 비슷하였으나 4∼8% LCA-빵에서는 낮은 값을 보였다. 곰팡이 번식정도로 평가한 빵의 저장성은 2% LCA-빵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4% LCA-빵은 2배, 8% LCA-빵은 3배로 연장되었다.

  • PDF

건포도 천연 발효액과 호밀 사워도우를 이용한 호밀-밀 혼합빵의 저장 중 저장수명, 수분활성도 및 조직감의 변화 (Changes in Shelf-Life, Water Activity, and Texture of Rye-Wheat Mixed Bread with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and Rye Sourdough during Storage)

  • 김문용;전순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0-179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n shelf-life extension and prevention of starch retrogradation in rye-wheat mixed bread (RWMB) samples prepared with substitutions of 20, 40, 60, and 80% rye sourdough (RSD) as well as a control made with the addition of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These effects were investigated using mold growth, water activit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during a storage period of 8 days at $20^{\circ}C$. The activities of the rye sourdough were examined in terms of pH, total titratable acidity, general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counts. As the incubation time of the sour dough increased, pH decreased, while total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General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cou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cubation time. Mold grew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control group after 6 days and on the surface of the RSD bread samples after 8 days, respectively. With regard to water activity, the control group had increasing activity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In addition, the 20, 40, 60, and 80% RSD samples had increasing water activities until the 4th day however, these strongly decreased by the 6th day. In terms of textural characteristics,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hardness increased, while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resilience de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umminess among the samples. The control, 20, 40, and 60% RSD samples had decreases in chewiness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however, the 40% RSD sampl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uring the storage period. Finally, water activ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ardness (p<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ubstituting rye sourdough in rye-wheat mixed bread has a prolongation effect on shelf-life, but no effect on the prevention of starch retrogra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