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matic embryogenic callu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5초

동백나무 미숙배 배양으로부터 비정상 체세포배 형성과 식물체 재생 (Anomalous somatic embryos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the cultures of immature embryos of Camellia japonica L.)

  • 최종혜;권석윤;최필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258-262
    • /
    • 2011
  • 동백의 배발생 캘러스는 1 mg/L 2,4-D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미숙배 배양을 통해 유도하였으며, 동일배지에 계대 배양하여 4주 이상 증식시켰다.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자엽기 체세포배를 생산하기 위하여 2,4-D가 첨가되지 않은 MS기본배지 배양하였다. 동백 미숙배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율은 25.1%였으며, 형성된 대부분의 체세포배중에서 48.3%가 cup모양, 12.6%가 1개 자엽, 9.4%가 3개자엽, 1.9%가 4개 자엽을 갖는 비정상적인 형태의 체세포배였으며, 반면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적인 체세포배는 27.5%였다. 정상 및 비정상형태의 체세포배를 MS기본배지, $\frac{1}{2}$MS배지, 0.1 mg/L $GA_3$가 첨가된 $\frac{1}{2}$MS배지 및 0.1 mg/L IBA와 $GA_3$가 조합 첨가된 $\frac{1}{2}$MS배지에 치상하였을때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체세포배의 식물체 재생율이 11.1%로 0.0 ~ 8.3%를 나타내는 1개 자엽 (0.0 ~ 8.3%), 3개 자엽 (0.0 ~ 5.8%), 4개 자엽 (0.0%) 및 cup 모양 (0.3 ~ 4.2%) 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비정상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 빈도가 높을수록 식물체 재생빈도가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구마 경단 유래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on Plant Regeneration in Shoot-Tip-Derived Embryogenic Callus Culture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 이은모;;아키라사쿠라이;문창식;노태홍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81-286
    • /
    • 1994
  • 고구마 경단배양에 의한 우량종묘 대량증식 과정에서 분화 및 생육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구마 경단조직은 1 mEm/L 2,4-D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 40일경 배발생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또한 형성된 배발생 캘러스는 0.1 mg/L GA$_4$ 첨가된 배지에 배양한 경우, 효과적으로 배발생 캘러스를 유지 및 증식이 가능하였으며, 배발생캘러스로부터 shoot 재분화는 0.1mg/L BA가 유효하였다. 체세포배로부터 shoot 재분화는 0.01 ngh BA와 0.01 mg/L GA$_4$ 혹은 0.1 mg/L BA와 0.01mg/L GA$_4$ 혼합배지에서 양호하였으며, 0.1-1 mg/L BA를 첨가된 배지에서는 배발생 캘러스 및 체세포배로부터 녹색의 단단한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체세포배를 배양하여 얻어진 5 mm 크기의 shoot 정단을 재배양 시, 0.1 mg/L jasmonic acid 또는 0.01 mg/L brassnlolide가 첨가된 배지에서 소식물체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 PDF

밀(Triticum aestivum L.)의 단세포 배양에 의한 식물체의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Single Cell Culture of Wheat (Triticum aestivum L.))

  • 김시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2권4호
    • /
    • pp.227-233
    • /
    • 1989
  • Single cells obtained from suspension culture of mature embryo-derived callus in wheat(Triticum aestivum L. cv Jang Kwang) were cultured to regenrated into the plantlet. Cell clusters and embryogenic calluses were efficiently developed from when the single cells clutured o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mu}{\textrm}{m}$ 2,4-D. Upon transfer to hormone-free MS medium containing 10 mg/I AgNO3, embryogenic calluses gave rise to shoots, probably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 PDF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Barley (Hordeum vulgare L.)

  • Park, Tae-Il;Um, Mi-Ok;Kim, Young-Jin;Hwang, Jong-Jin;Choi, Kyung-Gu;Yun, Song-Joo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4호
    • /
    • pp.237-242
    • /
    • 2006
  • Commercial cultivars and elite germplasms of barely (Hordeum vulgare L) are still recalcitrant to genetic transformation because of the lack of an efficient regeneration system.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procedure from embryogenic calli derived from mature embryos. Callus induction from germinated mature embryos was best as over 95% in CIM medium (CI medium containing $2.5mg/{\ell}$ dicamba) under dark incubation. Development of embryogenic callus was highest as over 50% in CI3D medium (EC medium supplemented with $3mg/{\ell}$ 2,4-D). The highest regeneration of plants from embryogenic callus (40%) was obtained with CIS medium ($SI+1mg/{\ell}IAA\;and\;2mg/{\ell}\;BA$). These plant regeneration conditions could be useful in improving barley transformation efficiency.

Somatic embryogenesis and in vitro plant regeneration from various explants of the halophyte Leymus chinensis (Trin.)

  • Sun, Yan Lin;Hong, Soon-Kwa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236-243
    • /
    • 2009
  • The halophyte Leymus chinensis (Trin.) is a perennial rhizome grass (tribe Gramineae) that i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China, Mongolia and Siber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 optimal condition for plant regeneration from mature seeds, leaf base segments, and root segments in L. chinensis. Plant growth regulators affecting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were investigated by four-factor-three-level [L9 (34)] orthogonal tes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explants types (mature seeds, leaf base segments and root segments), callus types, medium type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Wild type (WT) and Jisheng No. 1 plants (JS) were used for primary callus induction. A clear explants difference was seen during callus induction; mature seeds were considered as the preferred explants;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callus induction was obtained in Medium 6 using mature seeds as explants in WT. Plant regeneration ability was evaluated by frequencies of green callus forming, shooting, rooting, and shooting with roots. Effect of α-naphthalene acetic acid (NAA) on shoot regeneration was remarkable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70.8% in WT after 2-month culture. The medium with 0.2- 0.5 mg/L NAA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shoot induction. All regenerated shoots were successfully rooted when transferred on half-strength Murashige and Skoog (MS) basal medium. The acclimatized plantlets were grown to mature with flowering and seeds setting in green house conditions.

천궁 (Cnidium officinale M.)의 화기절편으로부터 형성된 체세포배의 자엽구조와 발아 (Cotyledon Structure and Germinability of Somatic Embryos Formed from Inflorescence Explants of Cnidium officinale M.)

  • 조덕이;이은경;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7-142
    • /
    • 2000
  • 천궁 (Cnidium officinale)의 잎, 엽병 및 화기 외식편을 재료로 하여 2,4-D가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때 캘러스 형성은 어느 외식편에서나 비슷한 수준으로 유기되었지만 배형성능 캘러스는 화기유래 캘러스에서만 형성되었다. 체세포배발생의 유도는 2mg/L 2,4-D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잘 일어났으며 2,4-D제거배지에서 계대배양하면 외식편당 78개의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체세포배의 자엽수에 있어서 변이가 빈번하게 관찰되었으나 배지에 1% 활성탄을 첨가하면 비정상적인 자엽수를 갖는 체세포배의 발생률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자엽기 체세포배는 MS 기본배지에서 저조한 발아율을 보이는 반면에 활성탄 첨가배지에서는 현저한 발아 향상을 보였다.

  • PDF

Somatic Embryogenesis from Various Parts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 Xudong He;Ko Jeong-Ae;Choi Jeong-Ran;Kim Hyung-Moo;Kim Myung-Jun;Choi So-Ra;Kim Young-Gon;Kim Dong-Hee;Kim Hyun-So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27-431
    • /
    • 2006
  • In vitro high-frequency plant regeneration of Muscari comosum var. plumosum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was obtained via two developmental pathways: direct embryos and multiple shoots regenerated from embryogenic callus. Flower bud with pedicel, receptacle, petal and ovary wall, floral stalk and leaf as explants were cultured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Embryos formed directly from pedicel, receptacle and floral stalk. Depending on explant sources, the optimal medium was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2 mg/L IBA and 0.3 mg/L BA, 3.0 mg/L IBA and 3.0 mg/L BA, and MS-free medium for pedicel, receptacle, and floral stalk, respectively. Multiple shoots regenerated from embryogenic cal]i which was initiated from petal, ovary and leaf were observed in MS medium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combinations of hormone. The most suitable medium for each type of explant was 3.0 mg/L IBA and 3.0 mg/L BA(petal and ovary) and 5.0 mg/L IBA and 5.0 mg/L BA (leaf) Furthermore, the combination of 0.1 mg/L 2,4-D and 1.0 mg/L BA was also good for all sources of explants not only for direct embryo formation, but also, for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당근의 배양세포로부터 형성된 체세포배의 다자엽 구조 (Multicotyledonary Structure of Somatic Embryos Formed from Cell Cultures of Daucus carota L.)

  • 소웅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1호
    • /
    • pp.71-77
    • /
    • 1996
  • 배발생 캘러스의 선발은 1.0mg/L 2,4-D를 첨가한 MS 기본배지에서 배양한 당근 유식물의 배축절편으로부터 유도된 캘러스에서 이뤄졌다. 체세포배 발생을 유도하기 위해서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얻어진 세포괴는 2,4-D를 제거한 MS 배지에 옮겼다. 세포괴를 1.0mg/L 2,4-D 첨가배지에서 1주간 그리고 2,4-D 제거 배지에서 2주간 배양한 후에 2자엽배의 발생은 63%에 그쳤고 나머지는 1자엽 5%, 3자엽 21%, 4자엽 6%, 5자엽 5%, 6자엽 0.2% 및 나팔형 자엽 1%의 발생빈도를 나타냈다. 체세포배의 발아율은 다자엽 체세포배에서 보다 2자엽 배에서 높았다. 나팔형 자엽의 체세포배는 경엽부 발생없이 자엽과 뿌리가 다소 신장 확대되는데 그치는 등 정상적으로 발아되지 못했다. 해부학적인 관찰에서 체세포배의 뿌리와 환상 전형성층은 배축의 중간부위에서 분지되기 시작하고 자엽절을 거쳐서 자엽으로 이어지는데 배축에서 전형성층속은 자엽수와 같은 수였다. 1자엽 체세포배는 다자엽 체세포배의 각각의 자엽보다 크고 전형성층과 함께 말굽형 자엽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체세포배의 자엽구조는 전형성층 배열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의 미숙배로부터 체세포배발생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Immature Zygotic Embryos of Stewartia koreana Nakai via Somatic Embryogenesis)

  • 최은경;박학봉;김광수;이용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7-81
    • /
    • 1995
  • 노각나무의 미숙배를 절편체로 사용하여 배양한 결과, 0.5 mg/L NAA 단독처리와 1.0 mg/L 2,4-D와 0.5 mg/L BA 혼용처리구에서 배발생캘러스 및 체세포배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0.5 mg/L NAA처리가 체세포배 발생을 더욱 촉진하였고 얻어진 배발생캘러스를 MS 기본배지에 계대배양 하여 배양 2주후 정상적인 식물체를 관찰할 수 있었다. Sucrose 농도에 따른 배발생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율은 5% sucrose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9% sucrose 첨가는 체세포배 발생을 오히려 억제하였고 백색체 발생을 증가시켰다. 식물체 재분화를 위하여 MS, 1/2MS와 1/2MS에 0.1 % charcol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던 바, 3, 6% sucrose 처리구 모두 MS, 1/2MS 기본배지에서는 자엽의 발달은 억제되었고 뿌리 발달만 왕성하였으나 1/2MS에 0.1% charcol 처리구에서는 정상적인 줄기와 뿌리를 가진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