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vent soaking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4초

보조용매로 변형된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초의 triterpenoid saponin(glycyrrhizin)의 추출 (Extraction of Triterpenoid Saponin (glycyrrhizin) from Liquorice by Co-solvent Modifie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김현석;김병용;임교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57-1061
    • /
    • 2002
  • 초임계 유체 추출법에 의해 감초의 triterpenoid saponin(glycyrrhizin)을 추출하기 위해 50 MPa, $60^{\circ}C$와 3mL/min의 조건에서 보조용매와 soaking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을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 감초의 glycyrrhizin은 거의 추출되지 않았다. 99.9% methanol, ethanol과 isopropanol을 보조용매로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첨가하여 추출한 경우, 추출수율의 상승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다. 시료를 물로 soaking하여 90% methanol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해 추출한 경우, soaking 용매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추출수율은 증가하였고, 최고 21.68mg/g(회수율 53.25%)의 수율을 보여주었다. 한편 시료의 soaking 없이 70% methanol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였을 때는 유기용매추출법에 의한 수율보다 더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고, 시료를 물로 soaking하여 70% ethanol을 보조용매로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첨가하여 추출하였을 때, 추출수율과 추출속도는 상승하였고, 시료의 90%(w/w)에 해당하는 물로 시료를 soaking한 경우 70% methanol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였을 때와 거의 동일한 추출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상전이법 기반 평막 제조과정에서 부직포 영향 분석연구 (Effect of Nonwoven Support During Fabrication of Flat Sheet Membranes via Phase Inversion Method)

  • 김민재;김수빈;김수민;이호익;김정
    • 멤브레인
    • /
    • 제32권2호
    • /
    • pp.109-11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용매로 침액되었을 시 전반적으로 더 균일한 상전이법 기반 평막 제조 시 주로 사용되는 부직포 지지체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도프용액의 점도가 낮을 경우 용액이 부직포층으로 쉽게 침투하여 불균일한 막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층을 유기용매로 침액하는 기법을 도입하였다. 부직포층이 유기 분리막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수투과 및 용매투과율도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직포 침액의 영향은 낮은 점도에서 확연하게 나타났으며, 고분자용액의 점도가 높은 경우 침액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Extraction of β-glucosidase from Bagasse Fermented by Mixed Culture under Solid State Fermentation

  • Shata, Hoda Mohamed Abdel Halim;Farid, Mohamed Abdel Fattah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3호
    • /
    • pp.197-203
    • /
    • 2014
  • Various parameters such as solvent selection, concentration, solid/liquid ratio, soaking time, temperature, stationary, shaking conditions, and repeated extraction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of ${\beta}$-glucosidase from bagasse fermented by mixed culture of Aspergillus niger NRC 7A and Aspergillus oryzae NRRL 447. Among various solvents tested, non ionic detergents gave the best results than the inorganic or organic salt solutions and distilled water. The optimum conditions for extraction of ${\beta}$-glucosidase were 30 min soaking time at $40^{\circ}C$ under shaking condition at 150 rpm, with solid/liquid ratio 1:15 (w/v), which yielded $2882.74{\pm}95.52U/g$ fermented culture (g fc) of enzyme activity. With repeated washes under the above optimum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enzyme extracted in the $1^{st}$ and $2^{nd}$ washes represents about 90% of the total activity.

미세 기공의 한정된 공간에 의한 게스트 분자의 광학 특성 변화 고찰 (Photophysical Properties of Guest Molecules Confined in Nanopores)

  • 박수현;김주영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77-483
    • /
    • 2020
  •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are of significant interest because of their high porosity, which facilitates their utilization in gas storage and catalysis. To enhance their current properties in these ap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elucidate the interactions between molecules in a confined environment that differ from those in bulk conditions. Herein, we study the confined molecular interaction by investigating the solvent-dependent photophysical properties of two different-sized molecules inside MOF-5. Ruthenium tris-bipyridine (Rubpy) and coumarin 153 (C153) are encapsulated in MOF-5. Rubpy with MOF-5 (Rubpy@MOF) is prepared by building MOF-5 around it, resulting in limited space for solvent molecules in the pores. The smaller C153 is encapsulated in the preformed MOF-5 (C153@MOF) by simply soaking the MOF in a concentrated C153 solution. C153@MOF permits more space for solvent molecules in the pore. Their characteristic absorption and emission spectra are examined to elucidate the confined molecular interactions. Rubpy@MOF and C153@MOF exhibit different spectral shifts compared to the guest molecules under bulk conditions. This discrepancy is attributed to the different micro-environments inside the pores, derived from confined host-guest interactions in the interplay of solvent molecules.

LPE에 있어서 InP 기판의 열손상 상태와 Melt Back 특성 (Thermal Damages and Melt Back Characteristics of InP Substrate in the LPE Growth)

  • 조호성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89년도 제4회 파동 및 레이저 학술발표회 4th Conference on Waves and lasers 논문집 - 한국광학회
    • /
    • pp.206-209
    • /
    • 1989
  • It has been that, above $600^{\circ}C$, a cover crystal is essential for protecting InP substrate from severe gas etching during soaking procedure and shown that the melt back rate of substrate crystal in In solvent is about 0.90${\mu}{\textrm}{m}$/sec at 635$^{\circ}C$, 0.57${\mu}{\textrm}{m}$/sec at 615$^{\circ}C$ and 0.37${\mu}{\textrm}{m}$/sec at 595$^{\circ}C$.

  • PDF

저온기 시설수박 착과율 증진을 위한 품종 및 화분분리 유기용매 선발 (Selection of Cultivars and Organic Solvents to Improve Fruit Set of Greenhouse Watermelon during Cold Period)

  • 임채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47-152
    • /
    • 2010
  • 화분량은 '금천' 수박을 제외하고 응화 1개당 10mg 이상이었다. '복' 수박은 1화당 화분무게가 13.8mg이었고, '스피드꿀' 수박은, 12.1mg으로 겨울철 저온기 재배에 인공수정용 화분생산 품종으로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용매 침지 후 즉시 건조된 화분발아율은 '금천' 수박이 67%로 기장 낮았고 '아폴로꿀' 수박이 92%로 가장 높았다. 유기용매에 15일간 저장했을 경우 '복' 수박 화분의 발아력이 74%로 가장 높았다. 저장 24일 후에는 5품종 모두 25% 이하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금천'과 '삼복꿀' 수박의 화분관 신장속도는 $50{\mu}m/hr$ 미만(저장 24일)으로 다른 품종보다 낮았으며, 벌이도중 화분관이 파열되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유기용매 저장 24시간 후 화분발아율은 pentane, ethyl ether, n-hexane, ethyl acetate, acetone에서 각각 45, 39, 34, 23, 19% 순이었고 유기용매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화분활력이 급격히 감소되었다. 화분 표피는 유기용매에 저장한 시간이 길어질수록 장해를 많이 받았는데 유기용매의 종류에 따라 장해정도가 달랐다. '복' 수박이 화분량, 화분활력, 저장성이 우수하였는데 저온기 착과율 증진을 위한 화분생산 품종으로 보여진다.

녹두발아시 항영양 과당류의 변화 (Effects of Germination on Antinutritional Oligosaccharides of Mung Beans)

  • 박영수;모수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4-288
    • /
    • 1985
  • 녹두발아중 항영양 과당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온에서 15시간 침지시킨 녹두(Phaseolus aureus)를 $25^{\circ}C$에서 7일간 발아시키면서 실리카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당의 패턴을 분석하였다. 녹두의 수분함량은 15시간 침지이후 발아 3일까지 65%로 유지되다가 4일째부터는 82%로 거의 안정하였다. 항영양 과당류인 raffinose와 stachyose는 박층크로마토그라피상에서 발아 $1{\sim}2$일째 급격히 감소하여 미량 존재 하다가 3일째부터는 거의 소멸되었다.

  • PDF

치수안정화를 위한 목질재료의 고분자 하이브리드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ybridization of Polymer-macromers for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Woody Materials)

  • 임기표;조종수;김익주;나은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1-9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eriment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woods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and sugi(Cryptomeria japonica D. Don) by vacuum impregnation of polyehtylene glycols(PEG) with mo. wt. 200, 400, 600, 1000; polypropylene glycols (PPG) with mo. wt. 425,725 ; PEG-acryloylates, and PPG-acryloylates synthesized, and then by water soaking.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density of sapwood and heartwood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both species. 2. The PEG and PEG-macromers with lower molecular weight by impregnation has increased the density of wood specimens more higher, thereby caused their higher volume expansion, and those with higher molecular weight than 600 has tended to down their density increment. 3. Before and after water soaking, the density decrease of specimen impregnated was high in woods impregnated with simple PEG and PPG, while lower in specimens impregnated with PEG-macromers and PPG-macromers. 4. So PEG-macromer was expected to hold the original dimension of decayed wood for antiques, bu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other penetration method as well as aqueous solvent.

  • PDF

초임계 $CO_2$를 이용한 대두 Genistein의 추출 (Supercritical $CO_2$ Extraction of Genistein from Soybean)

  • 부성준;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490-494
    • /
    • 1999
  • 보조용매가 포함되지 않은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 온도 및 압력, 유속 등을 변경시켜도 genistein은 추출되지 않았다. 유기용매로 soaking한 결과를 보면 1mL ethanol로 soaking한 경우, 7.8%의 추출수율을 보였으며 함량도 약 7.8%정도를 나타내었다. Methanol로 soaking한 경우 더 낮은 수율과 함량을 보였다. 보조용매가 포함되지 않은 초임계이산화탄소로 추출한 결과 추출이 되지 않아서 보조용매를 이용하였다. 동일한 온도 압력 하에서 추출한 결과를 보면, ethanol이 methanol보다 효과가 우수하였다. 보조용매를 이용할 때 온도의 영향은 ethanol을 보조 용매로 사용한 경우, 압력 300bar일 때에 75$^{\circ}C$에서 56.4%의 최대수율을 나타내었고 함량은 55$^{\circ}C$일 때가 가장 높았다. 온도 35$^{\circ}C$조건에서 9%의 ethanol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여 압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00bar에서 genistein은 48.1%의 추출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함량은 200bar일 때가 가장 높았지만 300bar와 비교해서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ethanol을 보조용매로 사용할 때 초임계이산화탄소 유량에 대한 영향은 유량이 증가할수록 추출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함량도 약간 증가하였다. 온도 35$^{\circ}C$, 압력 275bar에서 ethanol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ethan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추출량도 증가하였으나 19%이후부터는 증가율이 둔화되었다. 보조용매를 첨가한 초임계유체를 이용하여 genistein을 추출하였을 때에 ethyl ether를 사용하여 추출했을 때와 비교해서 35$^{\circ}C$, 300bar, 30분간의 추출에서 genistein은 71% 추출수율과 31.5%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Quantification of Karanjin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n Raw and Detoxified Karanj (Pongamia glabra vent) Seed Cake

  • Prabhu, T.M.;Devakumar, C.;Sastry, V.R.B.;Agrawa, D.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416-420
    • /
    • 2002
  • Various products of karanj (Pongamia glabra) are utilized for industrial, health and animal agriculture applications in the Indian subcontinent. Despite a rich source of protein (CP, 28-34%), karanj cake was found to be slightly bitter in taste and toxic owing to the presence of flavonoid (Karanjin), restricting its safe inclusion in the livestock diets. Feeding trials with raw cake revealed its poor palatability and adverse performance among different categories of livestock including poultry.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aimed to detoxify karanj cake by various physico-chemical methods like solvent extraction, water washing, pressure cooking and alkali and acid treatments. The level of residual karanjin in raw and variously processed cake was quantifi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raw expeller karanj cake was found to contain about 0.19% of karanjin. Though a non-polar solvent, soxhlet extraction of expeller pressed cake with petroleum ether drastically reduced karanjin content (0.01%). Soaking of cake for 24 h in 1% NaOH (w/w) solution was found to reduce karanjin to a major extent with little further benefit by increasing alkali level. Milder alkalies like lime and fertilizer grade urea reduced the karanjin levels marginally. Similar was the case with mineral acids such as HCl and glacial acetic acid. It was, therefore, concluded that solvent extraction of karanj seeds would be the best method of detoxification as well as for more recovery of oil and karan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