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7초

SPME에 의한 소엽의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9-74
    • /
    • 2003
  • 우리나라의 고유한 향신료로 활용되고 있는 소엽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에 적합한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 fiber를 선정하기 위하여 carboxen/polydimethylsiloxane(CAR/PDMS)과 polydimethylsiloxane(PDMS)의 2종류 fiber를 이용하여 향을 추출한 후 GC/MS로 분석하였다. CAR/PDMS fber에 소엽의 향을 흡착시켜 분석한 결과, 39종의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PDMS fiber를 이용하였을 때는 20가지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특히 PDMS fiber를 사용하였을 때 CAR/PDMS fber를 이용하였을 때 보다 perillaldehyde (40.50%), limonene (27.32%), E,E-,${\alpha}-famesene$ (10.22%) 및 ${\beta}-caryophyllene$ (8.02%)의 소엽의 주요 향기성분이 선택적으로 많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방향성 식용식물인 소엽의 향기를 SPME법으로 추출할 때는 PDMS fiber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Headspace-SPME와 GC-ECD를 이용한 수중의 미량 Halonitromethane (HNM)류 분석 (Analysis of Trace Levels of Halonitromethanes (HNM) in Water using Headspace-SPME and GC-ECD)

  • 강소원;손희종;서창동;김경아;최진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93-302
    • /
    • 2015
  • HNMs는 독성이 강한 소독부산물들 중의 하나로 최근에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전처리장치와 GC-ECD를 이용하여 9종의 HNMs를 동시분석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9종의 HNMs에 대한 검출한계(LOD)는 90~260 ng/L였으며, 정량한계(LOQ)는 270~840 ng/L였다. 수돗물과 해수를 이용하여 시료수의 matrix 영향을 살펴본 결과, 9종의 HNMs에 대해 80%~127%의 양호한 회수율을 나타내어 시료수의 matrix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headspace SPME GC-ECD 분석법은 용매류를 이용한 별도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지 않아서 친환경적이며 간편하고 빠른 자동화된 방법으로 HNMs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Fiber내 유도체화/HS-SPME를 이용한 수용액 시료 중 휘발성 지방산의 분석 (Determination of Volatile Fatty Acids in Aqueous Samples by HS-SPME with In-Fiber Derivatization)

  • 안윤경;이지연;김지형;홍종기
    • 분석과학
    • /
    • 제16권6호
    • /
    • pp.458-465
    • /
    • 2003
  • 수용액 시료 중 휘발성 지방산을 HS (headspace)-SPME (Solid phase microextraction)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빠르게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1-Pyrenyldiazomethane (PDAM)을 이용한 화이버 내 유도체화를 통하여 휘발성 지방산의 검출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SPME 추출조건으로 pH, 염 효과 및 초음파 추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을 기반으로 실제 폐수 중 휘발성 지방산을 추출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선택이온검색법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pulsed flame photometric detector(SPME-GC/PFPD)와 static headspace-gas chromatograph/pulsed flame photometric detector(SH-GC/PEPD)를 이용한 황 함유 화합물들의 분석 방법 비교 (Comparison of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Pulsed Flame Photometric Detector (SPME-GC/PFPD) and Static Headspace-Gas Chromatograph/Pulsed Flame Photometric Detector (SH-GC/PEPD) for the Analysis of Sulfur-Containing Compounds)

  • 양지연;김영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95-701
    • /
    • 2005
  • 각각의 황 함유 화합물의 표준곡선을 그렸을 때, linear range의 범위는 $10^2$부터 $10^4$까지의 범위를 보였다. Dimethyl trisulfide가 가장 작은 limit of detection(LOD) 값과 가장 넓은 linear range $(10^4)$를 보이는 반면, methional은 가장 큰 LOD 값과 가장 좁은 linear range$(10^2)$를 가졌다. 각 황 함유 화학물의 분자구조와 PFPD의 황 함유 화합물 분석 원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서로 다른 세 종류의 fiber를 사용시, 미세 고체상 추출법(SPME)을 사용했을 때, CAR/PDMS fiber는 가장 좋은 추출 효율을 보였고, 반대로 PDMS/DVB fiber는 가장 낮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SPME 방법을 사용하면,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6개의 황 함유 화합물들 중, 최대 5개까지 분석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 사용하지 않은 황 함유 화합물들도 다수 동정 되었는데, 이렇게 추출과정 중 artifacts로 생성된 황 함유 화합물들은 분석 시 오차를 작용할 수 있다. 고정상 기체추출법(SH)은 SPME와 비교했을 때 더 적은 수의 황 함유 화합물을 감지해냈다. SPME와 비교 시 SH의 추출 효율은 낮았지만, artifact로 생성되는 화합물의 수는 적었다.

Solid Phase Microextraction-GC/MS에 의한 플라스틱가소제(DMP, DEP, DBP, BBP, DEHP, DnOP)의 동시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hthalates(DMP, DEP, DBP, BBP, DEHP, DnOP)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GC/MS)

  • 이재희;배준현;강준길;김연두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7-27
    • /
    • 2004
  • SPME-GC/MS법을 사용하여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추정되는 플라스틱 가소제류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플라스틱 가소제는 dimethyl phthalate(DMP), diethyl phthalate(DEP), dibutyl phthalate(DBP), benzylbutyl phthalate(BBP), diethylhexyl phthalate(DEHP), di-n-octyl phthalate(DnOP)이었다. 표준 시료에 대한 분석결과에서 검출한계(LOD)는 0.163~0.299 ng/ml, 상대표준편차는(%RSD)는 5.85~15.80이었다. 본 방법을 사용하여 한강, 금강, 낙동강 및 섬진강에서 채취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 DBP와 DEHP 만이 4대강 모두에서 미량 검출되었으며, DBP와 DEHP의 농도는 각각 0.192~1.270 ng/ml 및 0.077~1.102 ng/ml 범위를 보였다.

V-SDE와 SPME법에 의한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육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Meat of the Blue Crab Using V-SDE and SPME Methods)

  • 차용준;조우진;정은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41-446
    • /
    • 2006
  •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meat of the blue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were compared using vacuum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 (V-SDE) and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gas chromatography (GC)/ mass selective detection (MSD) methods. A total of 100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both methods: 77 by V-SDE and 59 by SPME. These compounds were composed of 17 aldehydes, 12 ketones, 19 alcohols, 5 esters, 4 sulfur-containing compounds, 6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23 aromatic compounds, 6 hydrocarbons, 2 terpenes, and 6 miscellaneous compounds. Although more compounds were detected using V-SDE than using SPME, the levels of all groups detected, except esters, were higher using SPME than using V-SDE. In addition to trimethylamine, aldehydes, and aromatic compounds, the S- and N-containing compounds with low thresholds are thought to have positive roles for flavors in the meat of the blue crab.

SPME-GC-MS를 이용한 DBCP 및 n-Butylbenzene의 분석 (Determination of DBCP and n-Butylbenzene using SPME with GC-MS)

  • 박현미;김영만;이대운;이강봉
    • 분석과학
    • /
    • 제14권6호
    • /
    • pp.471-475
    • /
    • 2001
  • $85{\mu}m$-polyacrylate(PA) 와 $100{\mu}m$-polydimethylsiloxane(PDMS) fiber를 사용하여 물증의 DBCP와 n-butylbenzene을 추출한 후 GC-MS로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SPME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즉 추출 시간, 주입 길이, 주입 온도, 탈착 시간 및 탈착 온도들에 대한 최적화 조건을 조사하였다. 검량선의 직선성(correlation coefficient, R)은 0.99 이상이었으며, 본 분석법의 검출한계는 1.5 와 $10.8{\mu}g/L$ 이었고, 분석법의 재현성은 RSD 10.4와 14.4 % 였다.

  • PDF

Volatile Component of Pine Needles from Pinus densiflora S.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Ge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Lee Jae-Gon;Lee Chang-Gook;Back Shin;Jang Hee-Jin;Kwag Jae-Jin;Lee Gae-Ho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3-379
    • /
    • 2005
  • The volatile components of Pinus densiflora needles were stud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using seven kinds of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fibers, seven in SPME fibers: 100 ${\mu}m$ PDMS, 65 ${\mu}m$ PDMS/DVB, 65 ${\mu}m$ SF-PDMS/DVB, 85 ${\mu}m$ PA, 75 ${\mu}m$ CAR/PDMS, 65 ${\mu}m$ CW/DVB and 50/30 ${\mu}m$ DVB/CAR/PDMS fibers. A total of 40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using the seven different SPME fibers. The identified compon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alities, as follows: 26 hydro-carbons, 7 alcohols, 4 carbonyl compounds, and 3 esters.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of Pinus densiflora needles identified by these SPME fibers were $\alpha$-pinene ($1.7\~21.7\;{\mu}g/g$), $\beta$-myrcene ($2.0\~20.1\;{\mu}g/g$), $\beta$-phel-landrene ($4.6\~22.8\;{\mu}g/g$), $\beta$-caryophyllene ($6.7\~26.0\;{\mu}g/g$) germacrene D ($1.1\~11.9\;{\mu}g/g$). In the comparison of the seven SPME fibers, PDMS appeared to be the most suitable fiber for the analysis of hydrocarbon compounds and CAR/DPMS, PDMS/DVB, CW/VB and DVB/CAR/PDMS are shown to be optimal for analysis of the alcohols and carbonyl compounds.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Using Tedlar Bag/Solid-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ME/GC/MS) in Ambient and Workplace Air

  • Lee, Jae-Hwan;Hwang, Seung-Man;Lee, Dai-Woon;Heo, Gwi-Su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3호
    • /
    • pp.488-496
    • /
    • 2002
  • SPME techniques have proven to be very useful tools in the analysis of wide VOCs in the air. In this study, we estimated VOCs in ambient and workplace air using a Tedlar ba /SPME/GC/MS system. The calibration curve was set to be linear over the range of 1-30 ppbv. The detection limits ranged from 10 pptv to 0.93 ppbv for all VOCs. Reproducibility of TO-14 target gas mixtures by SPME/GC/MS averaged at 8.8 R.S.D (%). Air toxic VOCs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containing a total of forty halohydrocarbons, aromatics, and haloaro-matic carbons could be analyzed with significant accuracy, detection limit and linearity at low ppbv level. Only reactive VOCs with low molecular weight, such as chloromethane, vinylchloride, ethylchloride and 1,2-dichloro-ethane, yielded relatively poor results using this technique. In ambient air samples, ten VOCs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after external calibration. VOC concentration in ambient and workplace air ranged from 0.04 to 1.85 ppbv. The overall process was successfully applied to identify and quantify VOCs in ambient/workplace 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