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id matrix priming(SMP)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Solid Matrix Priming 처리가 고추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II. 적정 carrier 선발 (Effect of Solid Matrix Priming on Peppers Seeds(Capsicum annuum L.) Germinability II. Optimal Carrier Selection)

  • 이정화;김도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9-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고추 12품종의 종자 처리시 적정 SMP carrier 선발을 하고자 하였다. SMP carrier 중 탄산칼슘은 carrier와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낮은 발아율을 보이거나,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어 실용성이 낮은 carrier로 판단되었다. Micro-cel E는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T_{50}$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왕 품종의 경우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어 차후 대량의 종자처리방법으로 적합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냈다. 규조토의 처리는 수분의 배율을 1.5배 처리한 조양과 향촌품종이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였으나,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T_{50}$과 MDG가 단축되었다. 왕 품종의 경우 규조토로 1.0, 1.5배 처리는 $T_{50}$이 0.99일과 0.89일로, Micro-cel E의 5.0, 7.0배의 1.59, 0.94일 보다 0.60일, 0.05일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고추 품종에 적용 가능한 carrier는 Micro-cel E와 대등한 성능을 갖는 규조토로 판단되며, 수분 배율은 1.0배 처리가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담배종자의 파종 전처리가 발아 및 묘의 균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owing Treatments of Tobacco Seed on Germination and Seedling Uniformity)

  • 민태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07-512
    • /
    • 1993
  • 담배종자는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육묘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이 소요된다. 또 담배종자는 보통 2월 하순경부터 조기에 파종하는 경향이므로 저온조건에서의 발아의 안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저온조건에서 발아가 촉진되고 또한 균일한 묘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은 담배종자를 묘상에 직파했을 경우에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 된다. 따라서 본시험에서는 파종 전에 담배종자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처이하여 발아속도의 촉진 및 묘의 균일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여 육묘의 성력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 파종 전 처리로 인하여 최종 발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발아속도, 온실에서의 출현속도는 SMP, PEG, DPI처리에서 모두 향상되었으며 특히 SMP처리에서 월등하였다. 2. SMP처리에서 묘의 생장도 가장 켰고 아울러 묘가 가장 균일하였다. 3. SMP처리시 처리재료로 사용된 Agro-Lig의 수분함량은 일정량이상일 경우에 전처리효과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처리시의 온도는 높은 온도(2$0^{\circ}C$)에서 처리한 것이 낮은 온도(15$^{\circ}C$)에서 처리한 것보다 정의 방향으로 발아속도 및 출현속도에 영향이 켰다.

  • PDF

Solid Matrix Priming 처리가 고추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I. 처리기간 및 온도의 영향 (Effect of Solid Matrix Priming on Germinability of Seeds of Peppers(Capsicum annuum L.) I. Duration and Temperature)

  • 김도한;정성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1-8
    • /
    • 2009
  • 고추 12 품종의 SMP 처리시 carrier와 수분의 배율, 처리기간 및 처리온도에 대한 조사 결과 적정 처리기간과 carrier와 수분의 배율은 품종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처리 중 발아가 일어나지 않았고, 발아율을 높이며, $T_{50}$을 단축시킬 수 있는 처리로 왕과 마니따 품종은 carrier와 수분의 배율이 1:3에서 7일이었다. 나머지 10 품종은 1:7의 비율에서 3일이 좋았다. 종가집 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해 처리기간과 수분배율에 따라 발아율과 $T_{50}$이 불규칙한 경향을 나타낸 품종으로 조사되었다. 처리온도는 $15^{\circ}C$에서 $35^{\circ}C$로 설정하여 조사한 결과, 처리 중 유근돌출의 억제와 발아성 향상에 안정적인 처리는 $20^{\circ}C$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당근 펠렛종자의 파종효율과 유묘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Pelleting on the Precision Planting and Seedling Emergence of Carrot Seeds)

  • 강점순;조정래;임종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28-432
    • /
    • 2003
  • 펠렛종자를 점파용 파종기로 이용하여 기계화 정밀파종 함으로써 나종자를 손 작업에 의존하여 파종하는 것보다 파종시간과 솎음시간을 각각 225시간 및 460시간 절감할 수 있었고, 종자량도 72% 절감 할 수 있었다. 인력에 의한 손 파종은 파종과 솎음작업에 1 ha당 720시간이 소요되었으나, 펠렛종자를 이용한 기계화 파종은 35시간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펠렛종자를 기계화 파종함으로써 나종자를 인력에 의존하여 파종하는 관행방법에 비해 파종과 솎음작업의 생력효과를 95% 이상 높일 수 있었다. 펠렛종자의 묘출현율은 무처리 종자보다 출현율이 8% 정도 낮았고 출현속도도 약 1.9일 정도 지연되었으나 35일 경과된 유묘의 초기생육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유묘출현 반응은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펠렛종자는 나종자나 SMP 처리종자에 비해 출현율이 저하되었고 출현속도도 늦었다. 그러나 SMP 처리하여 종자활력을 증진시킨 후 펠렛하면 출현율도 향상되었고, 묘출현속도도 1일 정도 빨랐다.

Solid Matrix Priming 처리가 고추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III. 발아온도와 건조기간 (Effect of Solid Matrix Priming on Peppers(Capsicum annuum L.) Germinability III. Germination Temperature and Duration of Dehydration)

  • 김도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17-25
    • /
    • 2009
  • 본 실험은 국내 고추종자 12 품종을 대상으로 SMP 처리시 최적의 발아온도와 건조기간을 구명하고, 3 종류의 종자처리기술을 적용하여 고추종자의 입모율과 수확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발아온도에 따른 결과는 무처리 종자가 $15^{\circ}C$에서 12 품종 모두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SMP 처리종자는 발아율이 77(여명)~100%(대왕)로 높았으며, $15^{\circ}C$ 여명품종의 77%와 $35^{\circ}C$의 부강품종 85%를 제외한 나머지 품종은 모든 온도에서 93% 이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건조조건은 $45^{\circ}C$에서 3시간이 적절한 품종으로 금수레, 동방, 종가네, 향촌, 여명, 광복, 왕 품종이었으며, $35^{\circ}C$에서 6 시간이 적절한 품종은 마니따, 조양 품종이었고, $25^{\circ}C$에서 12시간이 적절하다고 판단된 품종은 부강, 다보탑, 대왕 품종이었다. 건조기간에 따른 고추종자의 수분 함수율 변화는 품종마다 다소 차이는 있겠으나, $45^{\circ}C$에서 3~6시간으로 판단되었다. SMP, osmopriming, pH조절처리에 따른 입묘율을 비교한 결과 낮은 입모율을 보이는 처리는 향촌품종의 pH 조절처리, 다보품종은 무처리, osmopriming 처리였다. 또한 광복품종은 입모율이 낮았고, 대왕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해 양호한 경향이었다. 정식 후 90일째 수량에서 무처리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결주율 또한 높게 나타났다. 품종에 따라 수량의 차이는 있었으며, pH 조절과 osmopriming의 처리 또한 모든 품종에서 안정된 입모율을 보이는 것은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SMP 처리조건은 모든 품종에서 안정된 입모의 확보를 가져올 수 있었으며,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반복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