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1초

인체의 위해성과 수생태계를 고려한 수질환경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ter Quality Standard for the Protection of Human Health and Aquatic Life)

  • 이재현;김윤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85-992
    • /
    • 2007
  • There are about 40,000 chemicals used in Korea and 300 new types of chemicals are added to the list every year, influencing quality of air, soil and water. Water quality standards that serve as the basi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have been proved inefficient and insufficient compared to those of advanced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existing water quality standards. Most importantly, the water quality standards need to take into account not only protection of human health but also aquatic resources. To that end, water quality criteria need to be set by monitoring each watershed every year and conducting risk assessment. Criteria for human health are set at $10^{-6}$ cancer risk level, and for aquatic life at conservative level, adopting the methodology of the U.S. and Australia, respectively. After carrying out technical and economic feasibility studies, more conservative criteria will be used to decide final water quality standards. The development of this system to establish integrated water quality standards for both human health and aquatic resources protection is urgently needed.

Investigation of wind actions and effects on the Leaning Tower of Pisa

  • Solari, Giovanni;Reinhold, Timothy A.;Livesey, Flora
    • Wind and Structures
    • /
    • 제1권1호
    • /
    • pp.1-23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wind investigations for the Leaning Tower of Pisa which were conducted as part of an overall evaluation of its behaviour. Normally a short, stiff and heavy building would not be a candidate for detailed wind analyses. However, because of extremely high soil pressures developed from its inclination,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that environmental loading such as wind actions could combine with existing conditions to cause the collapse of the tower. The studies involved wind assessment at the site as a function of wind direction, analysis of historical wind data to determine extreme wind probabilities of occurrence, estimation of structural properties, analytical and boundary layer wind tunnel investigations of wind loads and evaluation of the response with special concern for loads in the direction of inclination of the tower and significant wake effects from the neighboring cathedral for critical wind directions. The conclusions discuss the role of wind on structural safety, the precision of results attained and possible future studies involving field measurements aimed at validating or improving the analytical and boundary layer wind tunnel based assessments.

Investigation of Possible Horizontal Gene Transfer from the Leaf Tissue of Transgenic Potato to Soil Bacteria

  • KIM YOUNG TAE;KIM SUNG EUN;PARK KI DUK;KANG TAE HOON;LEE YUN MI;LEE SANG HAN;MOON JAE SUN;KIM SUNG 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1130-1134
    • /
    • 2005
  • To monitor the possibility of horizontal gene transfer between transgenic potato and bacteria in the environment, the gene flow from glufosinate-tolerant potato to bacteria in soils was investigated. The soil samples treated with the leaf tissue of either glufosinate-tolerant or glufosinate-sensitive potato were subjected to PCR and Southern hybridization to determine possible occurrence of glufosinate-resistant soil bacteria and to detect the bar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gene, conferring tolerance to glufosinate. The bar gene was not detected from genomic DNAs extracted at different time intervals from the soil samples, which had been treated with the leaf tissue of either transgenic or non-transgenic potato for 2 to 8 weeks. In addition, the level of glufosinate-resistant bacteria isolated from the soil samples treated with the leaf tissue of transgenic potato was similar to that of the samples treated with non-transgenic potato after 4 months of incubation at $25^{\circ}C$. The bar gene was not detected in the genomic DNAs extracted from colonies growing on the plate containing glufosinate, indicating that the bacteria could acquire the resistant phenotype to glufosinate by another mechanism without the uptake of the bar gene from glufosinate-tolerant potato.

염기성 밭 토양에서 안정화제에 의한 엽채류, 근채류, 과채류 작물들의 중금속 전이 특성 (Effects of Amendments on Heavy Metal Uptake by Leafy, Root, Fruit Vegetables in Alkali Upland Soil)

  • 김민석;민현기;이상환;김정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7권1호
    • /
    • pp.63-71
    • /
    • 2020
  • 토양에서 중금속 안정화를 위하여 여러 종류의 개량제들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알칼리 토양에서 개량제들의 영향과 그에 따른 작물 가식부로의 중금속 전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알칼리 토양에서 농작물의 가식부를 대상으로 중금속 안정화 효율 및 중금속 전이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광산 인근 농경지 토양에 3종류의 안정화제 (석회석, 제강슬레그, 산성광산배수슬러지)를 각각 3%씩 현장에 처리하였다. 6개월의 aging 이후 배추 (엽채류), 청경채(엽채류), 마늘 (근채류) 그리고 고추 (과채류)를 정식하고 표준영농교본에 준하여 재배하였다. 화학적 평가를 위해 토양 내 중금속의 총함량과 Melhich-3 용액을 이용한 생물유효도를 검정하였다. 생물학적 평가를 위하여 작물들의 생산량과 중금속 흡수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성광산배수슬러지 개량제의 유효도 저감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에 따라 식물로의 중금속 전이 또한 감소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식물의 중금속 흡수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 토양 내 중금속 총함량 보다는 생물유효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토양 환경의 관리, 안전한 농작물 생산, 그리고 중금속 흡수에 따른 인체 위해성 저감을 위하여 생물유효도에 기반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인공습지 오수처리수를 이용한 벼재배 실험 (Paddy Rice Culture Experiment Using Treated Sewage Effluent From Constructed Wetland)

  • 윤춘경;함종화;우선호;김민희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4-104
    • /
    • 2001
  • A pilot study was performed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Konkuk University in Seoul,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sewage and the effect of treated sewage irrigation on the paddy rice culture and its soil characteristics. The constructed wetland performed well, in that effluent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centrations of the influent. Median removal efficiencies of BOD$_{5}$ was about 78% and slightly lower during winter. Removal efficiencies form TN and TP were approximately 48 and 21%, respectively, and relatively less effective than that of BOD$_{5}$. Irrigation of treated sewage to paddy rice culture did not affect adversely in both growth and yield of rice. Instead, plots of treated sewage irrigation showed up to 50% more yield in average than the control plot. It implies that treated sewage irrigation might be beneficial to rice culture rather than detrimental as long as it is treated adequately and used properly. Soil was sampled and analyzed before transplanting and after harvesting. pH was slightly increased due to irrigation water, but it may not be concerned as long as the treated sewage is within the normal range. EC was increased in first year but decreased in second year, therefore salts accumulation in the soil could be less concerned. OM and CES was slightly increased, which might be beneficial on growing plants. TN did not show apparent pattern. Available phosphorus was decreased after rice culture, but the quantity of phosphorus(TP-available phosphorus) was rather increased which implies that excessive phosphorus supply may result in phosphorus accumulation in the soil. Overall, the constructed wetland was thought to be an effective sewage treatment alternative, and treated sewage could be reused as a supplemental source of irrigation water for paddy rice culture without causing adverse effect as long as it is treated adequately and used properly. For full-scale application, further investigation should be followed on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tolerable water quality, and fraction of supplemental irrigation.ion.

  • PDF

방파제 구조물의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분석 (Probabilistic Seismic Risk Analysis of Breakwater Structures)

  • 김상훈;이진학;김두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2-40
    • /
    • 2005
  • 방파제 구조물에 대한 기존의 내진설계 및 내진성능검토에서는 주로 설계지진에 대하여 구조물의 변위 및 응력을 검토함으로써 지진 안전성을 평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검토가 주로 결정론적 접근방법에 의한 것으로 지진의 가장 큰 특성이라 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발생과 지반계수의 화률론적 분포 특성을 고려한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평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우선 항만구조물의 지진에 대한 구조적 취약성을 다수의 지진자료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지진재해지도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지진재해도를 산정하였으며,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방파제 구조물의 확률론적 지진위험도를 평가하였다.

LRB 면진장치가 설치된 엑스트라도즈드교의 지진위험도 평가 (Seismic Risk Assessment of Extradosed Bridges with Lead Rubber Bearings)

  • 김두기;서형렬;이진학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A호
    • /
    • pp.155-16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납면진받침(LRB)이 설치된 중경간 엑스트라도즈드교에서 교각의 파손, 상부구조의 이동변위, 그리고 케이블의 항복에 대한 지진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지진위험도는 다수의 지진자료를 이용하여 지진에 대한 구조적 취약성을 평가한 지진취약도와 지진재해지도를 이용하여 해당지역에서의 지진재해도를 산정하여,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었다. 지진시 교각에서 소성힌지의 발생을 고려하기 위해 SAP2000을 사용하여 비선형 지진해석을 수행하였다. 지진자료는 암반노두에서 설계응답스펙트럼을 만족하는 인공지진을 작성한 후, SHAKE91을 사용하여 해당지역의 지반증폭효과를 고려하여 지진 가속도 시간이력을 구하여 사용하였다. 교각의 비선형 응답은 연성도를 사용하여 나타내었고, 2선형 직선의 모멘트-곡률 곡선으로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수정규분포함수로 지진취약도를 표현하였으며, 한반도를 대상으로 작성된 지진재해지도를 이용하여 지진재해도를 산정하였다. 해석결과 엑스트라도즈드교에서는 케이블과 거더보다는 교각하단에서 면진장치가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연토양에서의 소수성 유기오염물질의 느린 흡착 (Slow Sorption of Hydrophobic Organic Contaminants in Natural Soils)

  • 신원식;박대효;안태봉;천희동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03-11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근래에 퇴적된 습지토양의 유기물질에 느린 흡착부분이 존재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흡착실험을 행하였다. 최근 퇴적된 민물 습지토양에서의 소수성 유기화합물 (chlorobenzene and phenanthrene)의 흡착 특성을 회분식 흡착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유기물질의 나이의 상대 척도로서 산소/탄소 원소비 등을 포함한 여러 방법으로서 평가하였다. 토양의 나이가 유기화합물의 습지토양에서의 흡착에 차이를 유발하는지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습지 토양의 표층부(상층부 0-2cm, 5년 미만)과 하층부(below 10cm, 20년 이상)에 대한 느린 흡착 특성을 상대적으로 오래된 PPI(Petro Processors, Inc. Superfund site), BM(Bayou Manchac) 토양과 비교하였다. 느린 흡착모델 변수의 비선형성(KF와 N)의 증가로서 느린 흡착부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느린 흡착모델의 분석결과 상당한 크기의 느린 흡착부분이 존재하였으며 습지 토양의 경우 흡착된 chlorobenzene의 25.4-263%가 phenanthrene의 경우 흡착된 양의 1.4-1.9%(phenanthrene)가 각각 느린 흡착 부분에 해당하였으며, PPI 토양과 BM토양의 경우 흡착된 chlorobenzene의 40.0-55.93%와 흡착된 phenanthrene의 2.9-3.19%가 각각 느린 흡착 부분에 해당하였다. 느린 흡착 부분은 상층부 < 하층부 < PPI < BM 토양의 순으로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토양 유기물질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느린 흡착부분의 크기가 증가함을 나타낸다.

  • PDF

몇 가지 환경 시료 중에 함유된 다이옥신류 이성질체들의 분포에 대한 상관성 연구 (The Study of distribution relationship of dioxin isomers in some environmental matrix)

  • 김연제;전명윤
    • 분석과학
    • /
    • 제18권5호
    • /
    • pp.419-424
    • /
    • 2005
  • 최근 환경 잔류성 유기오염 물질과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지정된 다이옥신은 가장 중요한 환경 물질로 취급되어 인체위해성 평가, 배출 오염원 측정 및 분석 방법, 저감대책, 환경에의 농도 및 영향 평가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폐기물 소각 등 모든 연소과정에서 주로 생성된 후 대기 순환 등을 통하여 환경 중에 확산된 다이옥신 등은 토양에 축적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 폐기물 소각장 배출 가스, 생활 쓰레기 소각장 배출 가스 및 대기 그리고 토양의 시료로부터 다이옥신의 이성질체 분포에 대한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PCDDs와 PCDFs를 OCDD를 기준으로 하여 그 비율에 기초하여 곡선을 작성하여 그 형태로부터 유사성을 비교한 결과 산업 폐기물 소각장 배출 가스와 대기 중에서의 이성질체 분포 곡률과 비율이 거의 일치함을 볼 수 있다. PCDDs와 PCDFs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서로 유사한 곡률과 비율에 대한 결론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환경 중에 노출되는 다이옥신은 생활 쓰레기 소각장 배출 가스보다는 산업 폐기물 소각장 배출가스에 좀 더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토양 시료의 경우 농약 등 다른 오염원의 가능성 및 자연 분해 정도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곡률의 형태는 배출가스들과 유사함을 보여 토양 오염 또한 소각장 배출 가스들에 기인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기후변화 및 환경스트레스 영향평가를 위한 한국형 SPAR(Soil-Plant-Atmosphere-Research)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SPAR(Soil-Plant-Atmosphere-Research) System for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s and Environmental Stress)

  • 상완규;김준환;신평;백재경;이윤호;조정일;서명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7-195
    • /
    • 2019
  •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스트레스 대응 기술과 영농의사결정 플랫폼 개발을 위해서는 환경 조건에 따른 작물의 반응을 이해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형 SPAR 시스템이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작물 생육 반응을 어떻게 정량화하고, 향후 작물 생육 모형 개발에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에 대해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한국형 SPAR 시스템은 온도, $CO_2$ 농도 등의 기상요소와 양 수분 관리 등 재배요소를 동시에 정밀 조절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군락수준에서 광합성 및 호흡 등 작물의 생육 반응을 실시간으로 정량화하기에 최적화되어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군락 광합성 정보는 실제 작물의 환경조건에 따른 생육량 변동을 매우 유의하게 반영하여 향후 작물 생육 모형에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환경-유전 요인간 특이적 반응 함수 개발에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