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classification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33초

눈개승마 피복이 토양유실 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ver Crop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on Reducing Soil Erosion)

  • 김학구;김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1호
    • /
    • pp.50-58
    • /
    • 2018
  • 본 연구는 눈개승마 피복이 토양유실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눈개승마 피복지의 연토양유실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한 토양유실량을 바탕으로 RUSLE의 식생피복인자를 산정하였다. 산정한 식생피복인자와 토양유실 저감용으로 식재하는 츄잉훼스큐의 식생피복인자를 비교하여 눈개승마 피복이 토양유실 저감에 효과적인지 파악하였다. 피복종류에 따른 토양유실량은 눈개승마 피복시 2.22 Mg/ha, 츄잉훼스큐 피복시 1.85 Mg/ha, 일반 노지는 10.60 Mg/ha가 발생하였다. 피복 종류에 따른 식생피복인자는 눈개승마에서 $0.09{\pm}0.03$, 츄잉훼스큐에서 $0.08{\pm}0.03$, 일반 노지에서는 $0.35{\pm}0.10$로 나타났다. 나지에서는 $0.83{\pm}0.14$로 나타났다. 산정한 피복별 식생피복인자를 분산 분석한 결과는 피복종류에 따라 평균 값의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을 통한 동일집단군을 분류한 결과 눈개승마와 츄잉훼스큐는 평균의 차이가 적은 유사집단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눈개승마는 츄잉훼스큐에 비견될 정도로 토양유실 저감 효과가 있었다.

신경망기법과 보조 자료를 사용한 원격측정 토양수분자료의 Downscaling기법 개발 (Development a Downscaling Method of Remotely-Sensed Soil Moisture Data Using Neural Networks and Ancillary Data)

  • 김광섭;이을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21-29
    • /
    • 2004
  • 국내에서 예상되는 물부족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문 현상의 이해를 통한 수자원의 안정된 확보, 관리, 개발 등 수자원 관련 기술격의 발전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물순환계통의 올바른 이해와 적합한 모형의 개발 및 검증을 위해서는 강우 및 토양수분의 대규모 원격측정이 필수적일 뿐 아니라 관측 격자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가까운 장래에 예상되는 전구 관측 토양수분자료의 격자크기인 10km는 중ㆍ소규모 지역의 수문ㆍ기상모델 적용에 한계를 가진다. 목적에 따라 각 모델들이 필요로 하는 입력 자료의 격자크기가 다른 반면 각 모델에 대한 적합한 크기의 격자를 가진 다양한 입력 자료의 부재는 토양수분자료에 대한 적합한 downscaling 기법을 필요로 한다. 사용 가능한 보조 자료와 토양수분의 선형상관관계는 상당히 낮으므로 이들 상호관계를 선형관계의 합으로 나타내는데 한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physically-based 분리기법과 자료들 간의 비선형 상관관계를 나타내는데 적합한 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downscaling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downscaling 기법은 Washita'92 실험으로부터 획득된 토양수분 및 보조 자료를 사용하여 4km자료를 0.2km자료로 downscaling 하였으며 출력자료는 기존의 전형적 기법에 의하여 smoothing된 자료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관행과 유기농 고추 재배지의 토양미생물 군집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between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ing Systems in Pepper Cultivation)

  • 김이슬;이영미;원항연;상미경;송재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5-250
    • /
    • 2020
  • 작물 재배 방법이 토양의 미생물 군집 특성과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섯 곳의 고추 관행 재배지와 다섯 곳의 유기농 재배지 토양을 채취한 후, 16S rRNA 유전자 기반의 파이로시퀀싱 기법으로 미생물 군집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총 22개의 세균 문으로 구성되었으며 Proteobacteria 문(33.0 ± 5.7%), Actinobacteria 문(19.9 ± 9.7%) 및 Firmicutes 문(13.6 ± 5.0%)이 우점하였고, 이들은 전체 상대풍부도의 66%를 차지하였다. 고추 관행 재배지와 유기농 재배지의 미생물 군집 분포를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서로 다른 군집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관행 재배 토양에서는 Actinobacteria 문과 Chloroflexi 문이 상대적으로 풍부하였고, 유기 재배 토양에서는 Proteobacteria 문과 Firimicutes 문이 상대적으로 풍부하였다. 특히 Streptomyces 속과 Bacillus 속의 상대풍부도는 관행 재배 토양과 유기 재배 토양 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토양 화학 성에 의하여 세균 군집 변화가 관찰되었는데, Proteobacteria 문의 Rhizobiales 목과 Actinobacteria 문의 Streptomyces 속은 pH에 의해 세균 군집이 바뀌었고, Firimicutes 문의 Bacillus 속은 유기물 함량에 의해 군집 분포가 바뀌었다. 본 연구결과는 재배관리에 따른 토양의 물리-화학성의 변화가 미생물 군집 분포에 뚜렷하게 관련(p<0.05)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부산 임기광산 폐석적치장 광미의 불포화 특성곡선 산정 (Estimation on Unsaturated Characteristic Curves of Tailings obtained from Waste Dump of Imgi Mine in Busan)

  • 송영석;김경수;정승원;이춘오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47-5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임기광산 폐석적치장을 형성하고 있는 광미의 불포화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동 흙-함수특성곡선(SWCC)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조 및 습윤과정에 따른 모관흡수력과 체적함수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토대로 van Genuchten 방법을 이용하여 흙-함수특성곡선(SWCC)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흙-함수특선곡선(SWCC)의 ${\alpha}$와 n을 이용하여 흙의 종류를 구분하면 폐석적치장 광미시료는 점토질 모래(clayey sand)에 해당한다. Lu and Likos 방법으로 광미시료의 흡입응력특성곡선(SSCC)을 산정한 결과 흙-함수특성곡선(SWCC)과 유사한 S자형 곡선을 나타낸다. 동일한 유효포화도에서 건조과정의 흡입응력이 습윤과정의 흡입응력보다 크게 발생되는 이력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불포화토의 유효응력은 공기함입치 이내로 작용할 경우 포화시 유효응력과 동일하나, 공기함입치 이상의 모관흡수력이 작용할 경우 포화토의 유효응력보다 큰 값을 갖는다. 한편, van Genuchten 방법으로 산정된 광미시료의 불포화 투수계수는 모관흡수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건조과정의 투수계수가 습윤과정의 투수계수보가 크게 발생됨을 알 수 있다.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회양목 분포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uxus koreana in Kwanak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 이호영;오충현;이상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99
    • /
    • 2012
  • 서울시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물군락구조를 분석하고, 지정사유인 회양목 분포지를 대상으로 지형특성과 토양특성 분석을 통해 이 지역 회양목 분포의 특성을 밝히고자 $100m^2$ 조사구 22개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 결과 리기다소나무군락(I), 리기다소나무-회양목군락(II), 신갈나무군락(III), 상수리나무-졸참나무군락(IV)으로 분리되었다. 회양목의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분과 양분조건이 양호한 계곡부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토성분석 결과 점토 성분이 낮게 나타나 배수조건도 회양목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사가 급하고 암석 비율이 높은 지형에 입지하는 특징을 보였다. 토양분석 결과 회양목이 분포하는 토양의 평균 pH는 4.79로 회양목 분포하지 않는 식생의 평균 pH 4.41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Ca^{2+}$$Mg^{2+}$ 등 치환성양이온의 값은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치환성양이온 함량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보여 회양목이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astal sand dune plants and edaphic factors in a coastal sand dune system in Korea

  • Hwang, Jeong-sook;Choi, Deok-gyun;Choi, Sung-chul;Park, Han-san;Park, Yong-mok;Bae, Jeong-jin;Choo, Yeon-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9권1호
    • /
    • pp.17-29
    • /
    • 2016
  • We conducted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coastal sand dune plants and edaphic factors from the shoreline to inland in sand dune ecosystem. The application of TWINSPAN classification based on 10 species, led to the recognition of three vegetative groups (A-C), which associated with their habitats (foredune, hummuck in semistable zone and stable zone). The associations were separated along soil gradient far from the seash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gradients were explained by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Distance from the shoreline was an important indicator to determine soil properties (pH, total ion contents, sand particle sizes, organic matters and nitrogen contents) from the seaward area to inland area and distribution pattern of coastal sand dune plants. Group A is foredune zone, characterized by Calystegia soldanella; group included typical foredune species such as Elymus mollis, Carex kobomugi, Ixeris repens, C. soldanella and Glehnia littoralis. Group B on semi-stabilized zone was characterized by Vitex rotundifolia, a perennial woody shrub. This group was associated the proportion of fine sand size (100 to 250 μm). The results on the proportion of soil particle size showed a transition in sand composition,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proportion of fine sand size that occurred from the foredune ridge at 32.5 m to the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at 57.5 m from the shoreline. Group C on stabilized zone was characterized by Zoysia macrostachya, Lathyrus japonicus and Cynodon dactylon and were associated soil organic matter and nitrogen content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lants in the Goraebul coastal sand dune system may result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lant species and environmental heterogeneity.

인공신경 망을 이용한 산사태 발생요인의 가중치 결정 (Weight Determination of Landslide Factor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류주형;이사로;원중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1호
    • /
    • pp.67-74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위하여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산사태 요인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산사태 발생 지역은 항공사진, 현장조사와 지형도 등으로부터 위치를 파악하였다. 용인 지역에 대해서 산사태에 영향을 주는 지형경사, 지형곡률, 토양배수, 토양 유효심도, 토양 종류, 식생 경급과 영급 등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인공신경망의 층간 가중치가 역전파 트레이닝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되었으며, 이는 산사태 요인의 가중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었다. 죽, 트레이닝 후 층간 가중치를 해석하여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함으로서 각 산사태 요인의 가중치가 결정되게 된다. 가장 높은 값은 지형경사로서 5.33의 값을 나타냈으며 지형 곡률과 토질은 각각 1과 1.17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한 가중치 결정 방법은 분석에 중요하지 않은 요인을 제거함으로 계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GIS를 이용한 중첩 분석 연구에 활용되 수 있다.

제주도산 송이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 of scoria in Jeju-Do)

  • 천병식;김동훈;김영훈;이동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630-1637
    • /
    • 2008
  • Jeju-do is a island formed by the volcanic activity and has more than 360 volcanic cones distributed widely along the long axis of the elliptically shaped island. The volcanic cones consist mainly of scoria, so called "Song-I" in the local dialect. In this study the chemical and soil mechanical properties of scoria being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inland were investigated with the various tests. In the sieve-passing test the particle size of scoria had more than 10 of uniformity coefficient and gradation coefficient of 1 ~ 3, showing relatively homogenous distribution. Based on the uniformity classification, scoria was assorted into GW. In the large scale direct shear tested for measur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scoria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red scoria was $37^{\circ}$ and that of black scoria was $36^{\circ}$. Thi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chanical strength between two types of scoria. On the other hand, red and black scoria had $1.24{\times}10^{-3}$ to $3.55{\times}10^{-2}$ cm/sec of k values for the static water level permeability, thus being classified into a coarse or fine sand as compared with that representing the saturated soil. They also had 1.411 to $1.477\;g/cm^3$ of notably low $r_{dmax}$ values for the compaction test as compared with common soil, which was considered to be due to their low specific gravity and high porosity. In conclusion, the soil mechanic properties of scoria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thought to be very helpful for reducing lots of trial and error happening in th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 PDF

부분경운 건답직파기 개발 (Development of Dry Paddy Seeder of Strip Tillage)

  • 박석호;이동현;김학진;이채식;곽태용;조성찬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1호
    • /
    • pp.25-32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dry paddy seeder of strip tillage. The prototype is 8 rows drill seeder, which is composed of a strip tillage, sowing and fertilizing device, and pressing wheels to do the strip tillage, sowing, fertilizing, and draining ditch, simultaneously. The performances of prototype was evaluat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fuel consumption, tillage torque, ratio of soil breaking, and economical efficiency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se of a dry paddy seeder that needs whole tillage. According to the USDA textural classification, the experiment field was composed of sandy loam which consisted of 56.8 of sand, 30.2 of silt and 13.0 % of clay, respectively. Its hardness ranged from 952 to 1,673 kPa depending on the soil depth, and its soil moisture content was 24.9%(d. b.) Fuel consumption of the prototype was 5,015g/hr at 2,000 rpm of engine, which was consequently 64%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dry paddy seeder. For the tillage torque, it ranged from 132 to 206N$.$m depending on the tillage pitch, which was 10∼30%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dry paddy seeder. The ratio of soil braking of the prototype was 87∼98%, whereas that of the conventional dry paddy seeder was 80∼97%. The working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was surveyed to be 3.8hours/ha, which was about 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dry paddy seeder. The cost reduction of 26.3% was obtained by using the prototype.

토양(土壞)에서 분리(分離)한 Chitinase 생성(生成) 방선균(放線菌)의 분류동정(分類同定)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nomycetes Producing Chitinase isolated from Soil)

  • 김영일;김용웅;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9-345
    • /
    • 1988
  • 전남일원(全南一圓)의 토양(土壤) 및 유기물(有機物)로부터 분리(分離)된 세포외(細胞外) Chitinase활성(活性)이 높은 방선균(放線菌) S-25, S-42, S-172, S-267균주(菌株)의 분류학적(分類學的)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형태적(形態的)으로 전균주(全菌株)가 Smooth한 표면구조(表面構造)의 포자(胞子)와 회색(灰色)의 기균사를 형성(形成)하였다. 그러나 포자(胞子)사슬의 형태(形態)는 S-25, S-172균주(菌株)가 Spiral type, S-42균주(菌株)는 Recticulum apertum type이었으며 S-267균주(菌株)는 Rectiflexibles type이었다. 2. 균주(菌株)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은 세포벽(細胞壁) 구성성분(構成成分)으로 L.L-diamininopimeric acid와 Glycine을 Phospholipid로서 Phosphatidyl inositol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을 함유(含有)하였다. 3. 생리적(生理的) 특징(特徵)으로써 전균주(全菌株)가 호기성(好氣性)이었으며, 탄소원(炭素源)으로 Sucrose를 제외(除外)한 대부분의 당(糖)과 유기물(有機物)을 이용(利用)하였다. 4. 이상의 분류학적(分類學的)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각(各) 균주(菌株)를 Streptomyces sp. S-24, Streptomyces sp. S-42, Streptomyces sp. S-172 그리고 Streptomyces sp. S-267로 분류(分類), 동정(同定)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