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fare effects

검색결과 1,517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과 일본의 미군정기 사회복지정책 비교연구 - 빈곤정책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ocial Welfare Policy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Occupation- Centered on the Anti-poverty Policy)

  • 이혜원;이영환;정원오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6권
    • /
    • pp.309-338
    • /
    • 1998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한국과 일렬에서 전개된 미군정(한국: 1945-1948년, 일본: 1945-1952년)은 양국 모두의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지만 그 내용과 결과는 상당히 달랐다. 본 연구는 양국 미군 정의 사회복지 정책을 공공부조정책에 대한 비교사례연구의 방법을 통하여 고찰함으로써 양국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및 정책결정 요인들을 규명하고, 나아가 장기적인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양국의 미군정은 유사한 시기에 유사한 사회문제에 당면하고 있었지만, 복지정책적 대응은 매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미군정은 복지정책의 법적 제도화를 위한 노력을 거의 하지 않았고 임기응변적인 응급구호에 치중하였으며, 사회적 통제에만 골몰하였다. 반면 일본의 미군정은 비군사화 민주화라는 점령정책의 기본 원칙을 복지정책에도 적용하여, 기존 제도의 근본적 체계적 개혁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둘째, 이러한 차이를 결과한 정책결정요인에 있어서는 사회경제적 요인보다는 정치적 요인-미국 점령정책의 기본 방향의 차이, 행정 구조의 차이, 관료 및 지배세력의 역할 차이 등-이 보다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셋째, 복지정책의 장기적 영향에 있어서도 상이하였다. 한국의 미군정은 복지정책의 제도적 근대화에 거의 아무런 공헌도 하지 못하였으며, 그 결과 전근대적인 구빈제도가 오랫동안 존속하였다. 반면 일본의 미군정은 복지정책의 이념적 제도적 근대화에 기여하였음은 물론 이후의 발전을 위한 토대를 형성하였다.

  • PDF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 탐색 (Feasibility Exploration of Social Cooperatives as a Community Social Work Practice Model)

  • 조미형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3호
    • /
    • pp.91-119
    • /
    • 2014
  • 본 연구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토대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서 사회적 배제와의 투쟁 전략으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은 사회복지법인이나 사회적기업과 더불어 새로운 형태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기관일 뿐인가? 사회복지부문은 협동조합의 속성에서 비롯되는 효과를 사회통합의 기제로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기존의 사회복지기관은 정부와 이용자 사이의 중간 매체로서 기능했다면, 사회적협동조합은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이해당사자와 협동의 관계 속에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런 관점에서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Effects of Organization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 Jung, Myung-Hee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6호
    • /
    • pp.25-35
    • /
    • 2018
  • Purpose -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workplace as well as its correlation to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s well as its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social welfare workers were outlin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job satisfaction measured by the Minnesota Job Satisfaction (MSQ) questionnaire. For reliability,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the self - filling method. From the collected data,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Cronbach's alpha was used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and valid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if the questionnaires had the same concept as well as SPSS 19.0.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group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Developmental culture had no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levels. Conclusions -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hierarchy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u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must accept external opinions and actively listen to the opinions of the employees in the organization.

아내폭력 재피해 경험이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관계망의 조절효과 -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치료프로그램 참여 남성의 아내를 중심으로 - (Impacts of Repeated Victimization from Domestic Violence on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Networks : Focusing on Wives Whose Husbands Participated in the Correc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 for Family Violence Perpetrators)

  • 김재엽;정윤경;이근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85-95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revictimization of wives from repeated husband violence and how that affected their depression. It also explored whether social support networks can have moderating effects. Sixty-four wive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group, 72.3% of whom had experienced repeated verbal violence, and 29.2% experienced repeated physical violence since their husbands participated in the correc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 for family violence perpetrators. Revictimization from repeated husband-to-wife violence was proven to significantly influence wife depression. To moderate the harmful effects of repeated domestic violence on depression, social support networks were observed to provide protective reinforcements. Howe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d not support the notion that social support networks have moderating effects on wife depression, while a strong negativ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etween professional networks of social support network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discussion here advocates for an intervention that promotes psychological health to wives who are exposed to repeated domestic violence.

빈곤과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Networks on Child Abuse)

  • 여진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2호
    • /
    • pp.99-127
    • /
    • 2010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아동보호대책 마련을 위하여 빈곤과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빈곤과 부부불화, 그리고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검증하였다. 그런 후 빈곤과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6)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빈곤과 부부불화는 아동학대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는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져,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는 아동학대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빈곤,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아동의 사회적 지지 모두 빈곤,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나 아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통한 아동보호대책에 관해 논의하였다.

가족의 지지가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 이익섭;윤경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5권
    • /
    • pp.315-340
    • /
    • 2001
  •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 a ground necessary to improve it. Research was conducted on 167 elderly with hearing, visual and physical disabilities aged over 60 who were living in Seoul and Pusan. Telephone survey, sign language and interview, in accordance with types of disability, were adopted to collect data effectively. That is telephone survey was used for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whereas face-to-face interview for physical impairment and sign language for hearing impairment by volunte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two different models, direct effect model and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ppeared to be low in general among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emotional family support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empirically supported that emotional family support buffered the negative effect of economic limitations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effects of economic limitations as stress factor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emotional support, howev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t a mercy of the stress factor of economic limitations with the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emotional support. Finally, this paper attempted to provide some alternatives to effectively improve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with disabilities based on empirical findings.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Kim, Ahsung;Im, Geumok;Jung, Huig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71-1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workers' understanding of emotional labor and prevention of psychological exhaus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 analyzed the effects of the levels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which are components of emotional labor in social welfare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 on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lack of sense of personal accomplishment which are components of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I empirically analyzed how emotional labor affects psychological exhaustion, when superior support and fellow support as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play a role as moderating variable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emotional labor affects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social support plays a moderating role.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기초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 재정 분석 - 서울시 구로구 예산서(2000년~2007년) 사례 -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Social Welfare Finance - A case study of GuRoGu budget(2000~2007) -)

  • 정원오;김성기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33-58
    • /
    • 2009
  • 본 연구 목적은 기초 지방정부 사회복지예산의 구조적 특성과 그것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시 구로구의 8개년도 예산서(2000년-2007년)를 사례로 선정하였고, 원 예산서를 사회복지의 내재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재분류할 수 있는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원 예산서 사회복지비를 '대상', '성질', '재원츨처'에 따라 분류한 분석틀은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시계열분석, 교차분석을 통해 다양한 특성이 기술분석 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주장되었던 중앙정부 정책 요인뿐만 아니라 광역정부 요인도 지방정부 사회복지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선행연구에서 주장되었던 점증주의 요인, 재정자립도 요인의 영향은 분명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위정부가 미치는 영향력은 타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만, 지방정부 자체 요인은 미흡하다. 본 연구는 비록 사례연구로서 일반화의 한계를 갖고 있지만, 지방정부 사회복지 예산서를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고, 그것을 기반으로 다양한 후속 연구로 발전될 수 있는 지평을 확장하였다.

사회서비스 정책의 동향과 대한 - 시장 기제와 반-시장 기제의 통합 - (Recent Trends and Alternatives of Korean Social Welfare Service Policies - Integration of Market and Anti-market Schemes-)

  • 김용득
    • 사회복지연구
    • /
    • 제36호
    • /
    • pp.5-28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대책, 사회적 일자리 창출 등의 영향으로 사회적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회서비스 정책의 동향을 살펴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의 사회서비스 정책은 중앙과 지방의 단절, 최소생활보장 장치의 미흡, 서비스 일자리와 취약한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균형의 결여 등이 문제로 제기되었다. 이에 대하여 이용자의 선택과 참여를 증진하는 수단으로서의 시장기제의 도입과 시장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견제장치로서의 반시장기제의 통합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빈곤이 아동의 사회적 자본을 통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verty on Happiness of Childre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 백혜영;강현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4호
    • /
    • pp.113-14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여부에 따라 아동의 가족내 사회적 자본, 가족외 사회적 자본 및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빈곤여부가 가족내 사회적 자본과 가족외 사회적 자본을 통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3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를 통해 수집된 만9세~만12세에 해당하는 766명의 아동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한 2차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가족내 사회적 자본 뿐만 아니라 가족외 사회적 자본도 부족하며, 행복감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빈곤여부는 아동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매개변수로 투입된 가족내 그리고 가족외 사회적 자본을 통해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경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빈곤가정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내, 외의 사회적 자본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