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fare agencies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3초

인구구조 변화(저출산·고령화)에서 외국인력 도입을 위한 이주노동자의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pproaches of Immigration Workers' Legal System to Introduce Foreign Workers according to change the Population Structure (Low Fertility and Aging))

  • 이척희;노재철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1호
    • /
    • pp.79-86
    • /
    • 2021
  • 인구구조의 변화로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심각한 생산가능 인구감소로 이어져 외국인력 도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구조 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생산가능 인구를 확충하기 위해서는 외국인력의 도입이 가장 유효하다고 보며, 이를 위해 이주노동자 도입에 대한 법제도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주노동자 법제도의 통일과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출입국관리법」과 「노동법」이 협조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관리기관의 신설이나 일원화가 필요하다. 둘째, 「출입국관리법」을 개정하여 이주노동자들이 취업할 수 있는 길이 용이해져야 한다. 고용허가제와 국적취득에 대한 긍정적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이주노동자에 대한 형평성 및 차별이 없어야 한다. 상호호혜의 원칙하에서 사용자와 이주노동자가 평등하게 차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이주노동자의 법제도에서 사회보험제도를 추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4대 사회보험을 비롯한 각종 보험제도에서 이주노동자들이 차별 받지 않도록 법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인구구조의 변화로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화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우려할 만한 수준에 도달해 있다. 이주노동자의 취업 및 근무 환경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련 법제도적 문제점은 상존해 있으며, 이주노동자에 대한 법제도적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역량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Independent Living Competency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 전재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93-29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독립주거 거주기간과 정신재활시설 이용기간이 3개월 이상인 정신장애인들이며, 전국 총 42개 기관의 이용자 23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인들이 이용한 정신재활서비스 이용종류 수가 많고, 정신재활서비스에 대한 도움 만족도가 클수록, 자립생활 교육을 받은 경우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 역량이 향상되었다. 이는 지역사회중심의 통합적인 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역량 강화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짐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통합적인 정신재활서비스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도시지역 노인의 여가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Degree of Leisure of the Elderly in Urban Areas)

  • 정한태;남철현;예춘정;하태욱;오선영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1-65
    • /
    • 2011
  • Purpose : To figure out the degree of leisure satisfaction of elderly's life. Method : A total of 1,015 person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cities. This survey was performed by college students from July 1 through October 31, 2008. Results : 1. The level of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was $8.58{\pm}0.24$ of 15 points(57.2points of 100 points). 2. The average satisfaction degree of leisure was $2.92{\pm}39$(58.8points of 100). Of the study subjects, females, a group over 65-69, singles, the persons spending petty cash over 1.1 million won a month, the persons living with 3-4 family members and the subjects living with children ha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han other groups. 3.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leisure satisfaction by regression analysis were age, gender, marital status, amount of petty cash, education level,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utilization of social service agency, current health status. The influence level of those variables was 36.1%. Conclusion :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special activity program for their pleasant leisure time. The recreation and leisure program for the elderly should be implemented to provide by the authorities concerned. Children should be encouraged to live with their parents. All elderly welfare related agencies such as government, NGOs and professionals have to work together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elderly.

화재피해자의 긴급복구를 위한 민·관 융합형 지원시스템 방안 (Globalization Development Plans of the Convergence Systems and Policies for Domestic Fire Industry)

  • 구재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85-91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화재피해자의 긴급복구를 위한 민 관 융합형 지원시스템 방안에 대한 것으로, 화재피해자의 긴급복구활동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정부와 민간 협력기반의 통합적 지원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체적으로 국가는 시스템 운영의 관리 감독기관의 기능을 담당하고 민간에서 실질적 긴급복구 전담기관의 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화재피해 긴급복구 지원을 위한 법제도 정비, 지원사업의 민간위탁 시스템 구축, 소요재원의 안정적 조달 및 민 관 긴급복구의 융합기능 강화를 위한 지원시스템 방안을 도출하였다. 특히, 긴급복구 소요재원의 안정적 조달 방안은 긴급복구를 위한 기금의 신설 및 민간 수탁법인의 자체 재원 조성의 세부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가 소방안전복지와 사회안전망의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실무적 관점에서의 BTL사업 문제영역 도출 및 분석 (An Extraction and Analysis of Problem Areas for BTL Projects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 김수용;손명찬;양진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57-166
    • /
    • 2013
  • BTL(Build-Transfer-Lease) 사업의 목적은 종래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과는 달리 학교, 사회복지시설 등 최종 이용자로부터 이용료를 부과할 수 없는 공공시설에 대하여 민간자금을 유치함으로써 정부의 재정부족을 해결하고 사회기반시설의 조기 확충을 위한 방안으로 도입되었다. 하지만 BTL 사업은 그 진행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BTL사업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자료와 국내보다 앞서 BTL 사업을 활용하고 있는 국외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 영역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친화도 기법, 매트릭스 비교분석, AHP 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BTL 사업의 실질적 문제 영역 및 중요도 제시를 통하여 관리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성전용 셰어하우스의 지역 분포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 서울의 운영사 관리형 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 (Regi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Women-only Shared Housings - A Case Study of Agency-managed Shared Housings in Seoul -)

  • 김나성;박소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4호
    • /
    • pp.3-1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agency-managed shared housings in Seoul and draw the possible implications from it. The needed data for the study was obtained from an on-line shared housing portal service which provides housing information from various shared housing management agencies. By mapping out the locations and other related data into a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gram, this study shows that shared housings in Seoul can be sorted into four large clusters. Each cluster has a different ratio of housing types and room capacities reflecting each regional circumstance and common causes. Women-only shared housing takes up 79% of the overall shared housing ratio and, while multi-family housing type has the most count, the apartment type has a noticeably high ratio in women-only housing compared to the apartment type ratio among the other gender-specific housings. Given the high crime rate against the single-person household of young adult women, the reason for the popularity of shared-apartment housing among young women can be deduced. However, the potential tenants' practical choices and their concern for safety are not the only causes that drive the current shared housing market. The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choose to live in popular places where they can engage social activities. A new tier of shared housing market has also appeared in places where young adults could not have afforded if they lived alone. Choosing where we live is no longer about just meeting the requirements for a house based on what she/he needs but also about satisfying the preferences for a living based on what she/he desires. This paper indicates that although there is an undeniable premise that 'sharing a house' revolves around the realm of housing welfare and is not a typical topic for the upper-income households, the way we live and how we choose our place to live is shifting.

근친강간의 유형과 가족 역동성 (THE TYPES OF INCEST AND FAMILY DYNAMICS)

  • 박혜영;김연옥;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23-33
    • /
    • 1996
  • 본 논문은 근친강간의 사례분석을 통해 가족의 역동과 유형간의 관계를 근친강간이 발생한 가족의 유형을 부녀 근친강간, 모자 근친강간, 형제 근친강간으로 분류하여 유형별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근친강간은 유형별로 가족의 역동성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부녀 근친강간에서는 가해자인 아버지가 정신병질적이거나 사회병질적이고. 가정에서의 어머니의 역할이 적절히 수행되지 않거나 역할 자체가 부재하며, 대신에 피해 자녀가 어머니의 역할을 대신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가족간의 의사소통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하나의 특징으로 드러났다. 모자 근친강간에서 드러나는 가족역동의 가장 특기할 사실은 배우자가 없는 어머니가 자신의 성적, 정서적 욕구를 아들과의 성행위를 통해 해소하는 퇴행적인 모습이었다. 형제 근친강간은 대부분 손위 가해 형제의 성적 호기심이나 성욕구를 손아래 형제와의 성행위를 통해 분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서, 특히 부모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역기능적인 가정환경 에서 촉발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근친강간은 전체 가족병리의 표현으로 보아야 하며, 피해자, 가해자에 대한 개별적인 치료뿐만 아니라 가족의 역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가족 전체가 치료 대상이 되어야 한다. 동시에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건강한 가족기능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개입이 필요하다.

  • PDF

노인간호학 교과개발을 위한 요구 사정 연구 (Needs Assessment of Nurses and Educators toward Gerontological Nursing Curriculum Development)

  • 배영숙;이갑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63-192
    • /
    • 1997
  • As the population over the age of 65 increases, the demand for nurses who care for this group also continues to grow. Well-prepared nurses who are knowledgeable and skilled for the elderly can be prepared through systematic gerontological nursing curricul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needs for gerontological nursing curricular cont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wo participant groups the educators who teach gerontological nursing in three-year and four-year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and the nurses who are working with the elderly in hospitals, community health centers, social welfare agencies, and community health practioner's pos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differences between actual contents and essential contents of the educators : Concerning the actual contents that is actually taught, the educators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demographics of older adults and the lowest scores on the cultural variations affecting health care. Regarding the essential contents, the educators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demographics and the lowest scores on the economics of aging. Aside from the demographics, all of the item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ssential and actual contents. This implies that all the content areas except demographics should be emphasized. 2. The differences between actual knowledge and essential knowledge of the nurses : Concerning the nurses' actual knowledge, the nurses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common health problems and their treatment and the lowest scores on the politics of aging. Regarding the essential knowledge, nurses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chronic illness and common health problems and the lowest scores on their roles and functions. However, they thought all the items to be essential. All of the item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tual and essential knowledge. The nurses who studied gerontological nursing in their school years and after graduating had more knowledge. However, they felt more knowledge was needed. This implies that the nurses need more education in all content areas of gerontological nursing. 3. The differences between educators and nurses : Concerning the essential contents, the educators showed higher scores on the demographics and growth and development than the nurses. Whereas, the nurses showed higher scores on the cultural variations, long-term care, economics of aging, politics of aging, legal and ethical issues, and common health problems than the educators. 4. Activities of nursing care for the elderly : Most common activities were related to direct nursing care such as giving physical care, counseling/teaching clients, and assessing and planning care for the clients. Nurses thought that all the items were critical, but they showed relatively low scores on the following :'serve on multidisciplinary committee', 'preparing reports', 'evaluation of outcomes of care', 'determine policy for nursing service', 'set patient care standards', and 'participate in nursing research' The constraints in providing better nursing service were time constraints, administrative restraints, social restraints, and inadequate knowledge.

  • PDF

2020 구글 스칼라 매트릭스에 색인된 국내 주요 학술지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A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Major Korean Journals Indexed in 2020 Google Scholar Metrics)

  • 김동훈;김규리;주영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3-6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학제적 연구가 활발해진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0 구글 스칼라 매트릭스에 색인된 국내 주요 학술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 학문분야를 포괄하는 네트워크 분석(대학협력 네트워크,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학술지 인용 네트워크, 학문분야 인용 네트워크)을 실시하였다. 대학협력 네트워크 분석결과, 서울대학교, 계명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등 협력연구를 활발히 진행하는 대학을 파악할 수 있었고, 키워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결과, 이직의도, 직무만족 등 직무관련 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학술지 인용 네트워크에서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한국사회학,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등 인용이 많이 되고 있는 핵심 학술지들을 확인하였으며, 학문분야 인용 네트워크에서는 교육학, 경영학, 사회복지학이 다른 학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학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 계량서지분석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구글 스칼라 매트릭스 데이터를 처음 활용하였으며, 키워드, 학술지, 학문분야로 범위를 확장시켜가며 단계적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지며, 연구결과는 국내 대학 간 공동연구의 전략 수립 및 다학제적 융합연구 기획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함의를 시사한다.

장애인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Impacts of Sociocultural Factors on Smoking among Disabled People)

  • 연영란;전동일;곽이섭;김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046-105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흡연여부와 다양한 사회경제적 변수 간 영향관계가 성별과 장애여부에 따라 구분된 하위집단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일반인의 흡연 여부가 아니라 장애인을 대상으로 흡연의 여부가 장애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흡연율과 흡연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WHO에 따르면 담배로 인한 사망자는 매년 600만명에 이른다. 담배는 심혈관질환, 폐질환, 암 등 비전염성질환과 조기 사망에 매우 강한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N이 제시한 지속가능 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는 건강한 삶의 보장과 모든 세대의 복지 증진(Ensure healthy lives and promote well-being for all at all ages)을 위해 WHO의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을 이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것은 흡연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협요인이 흡연자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환경 등 다양한 영역에서 다차원적으로 작용하는 위협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흡연과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흡연 영향요인 간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특히 성별과 장애여부에 따라 구분된 4개의 하위집단을 독립적 모형으로 하여 분석하였으며 흡연여부를 종속변수로 하는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 독립변수의 영향력 여부는 성별과 장애유무에 따라 구분된 각 집단별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대적으로 비장애집단에서 독립변수의 영향이 유의한 반면 장애집단에서는 유의성이 상실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 같은 경향은 특히 장애여성집단에서 더욱 명백하게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장애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선행연구가 가진 설명의 한계를 확인하였으며 장애의 물리적·심리적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한 연구모형을 통해 흡연과의 상관관계를 재분석해야 함을 함의로 제시하였다. 추후 장애인의 건강한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건강증진 영향들을 분석한 이후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대표적인 변인들을 고려하여 적용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