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Search Result 29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엑티브시니어의 온라인 동영상을 통한 노마드 체육활동이 신체적자기지각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omad Physical Activity Through Online Videos of Active Seniors on Physical Self-Perception and Successful Aging)

  • 황혜영;서수진;김현경;김혜진;김흥태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6호
    • /
    • pp.81-88
    • /
    • 2024
  • 본 연구는 엑티브시니어의 온라인 동영상을 통한 노마드 체육활동이 신체적자기지각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시의 엑티브시니어 10명을 선정한 후, 온라인동영상 신체활동 참가 동의를 받고 사전, 사후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2022년 3월 14일~4월 22일까지 카카오톡 단톡방을 개설하여 12차시 온라인 신체활동 동영상을 시청하고 일주일에 2개의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아 월~금까지 운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PSS Ver20.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대응t-test, 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엑티브시니어의 노마드 체육활동을 통한 신체적자기지각의 사전·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 얼굴만족, 신체만족, 체력의 변화, 질병의 변화 모두 평균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엑티브시니어의 노마드 체육활동을 통한 성공적 노화에 대한 사전·사후를 분석한 결과 타인수용, 자기완성지향, 자기수용, 자녀에 대한 만족은 증가하였으나 자율적 삶, 적극적인생참여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로 활동의 제약을 받았던 코로나시기에서 엑티브시니어의 온라인동영상 신체활동은 신체적자기지각과 성공적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앞으로 자기 스스로 활동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Ecotourism and Protected Area Conservation in Bangladesh: a Case Study on Understanding the Visitors Views on Prospects and Development

  • Rahman, Md. Habibur;Roy, Bishwajit;Anik, Sawon Istiak;Fardusi, Most. Jannat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15-28
    • /
    • 2013
  • Protected area based ecotourism is now the most interesting topic to the nature lover and policy maker throughout the world because of its linkage with economic benefits, protected area management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Based on this premise our study explores the visitors' perception on the recreational potential of Kaptai National park and its potentiality in ecotourism development in Bangladesh. The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both in holidays and non-holidays of the week from the late winter season in 2009 to the spring season in 2010. A total of 118 visitors were interviewed with the help of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about 62% male constitute the visitors group with the maximum number of visitors in the age of between 15-25 years (35.59%). The tourists were very much attracted by boat riding (93.22%) followed by scenic beauty of Rampahar-Sitapahar (85.59%). A major portion of about 57.14% tourists wished to visit the park within a year because they got a lot of pleasure from Natural and green environment (86.44%) followed by boating on Kaptai Lake (85.59%). Most of the visitors (36%) were happy about existing facilities but defined some problems such as tour guiding facility, food and drinking water supply, etc. About 71% and 66% respondents perceived that Kaptai National Park made them to be concerned and protective of nature and supports and sustains local ecosystem respectively and 43% respondents agreed that Kaptai National Park ensures the social equity and involve local people in ecotourism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sustainable ecotourism. The present study results also predict that the park might be a good recreational area for enjoying with family members and group of friends through proper management and promoting the relationships among tourism, local people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일반위탁부모의 위탁유지 의사에 관한 탐색적 연구 : H위탁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Decisions among Foster Parents to Continue Foster Care : The Case of 'H' Foster Care Agency)

  • 김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1호
    • /
    • pp.103-116
    • /
    • 200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what kind of intervention might help foster parents decide to continue engaging in foster care. As foster care services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lacking systematic support systems as well as full understanding of the roles of foster parents and foster care agencies, it is important to recruit, select, and train as many foster parents as possible. Utilizing the Foster Parent Role Perception scale developed by Le Prohn, the author first conceptualized foster parent roles or foster care agency roles; then explored what kind of effects the resource level or the role perception of the foster parents have on the decisions to continue doing foster ca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ster parents perceived 'supporting the internal system of the foster child' and 'supporting the external system of the foster child' as the roles of foster parents, whereas 'fortifying the foster care system' and 'maintaining liaison with birth parents' were the roles of foster care agencies. It was also found that foster parents' strong role perception,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towards education on the part of foster parents, and the number of children from the previous marri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decisions to continue foster care. The author argues that clear definitions of roles are needed for both foster parents and foster care agencies. Finally, the role of foster care agencies needs to be strengthened and supported.

COVID-19 상황의 학교급식에서 위기대응식에 대한 급식관리자의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 about Emergency Meal as School Meal Services among Nutrition Teachers in the COVID-19 Situation)

  • 서민국;이민준;민성희;함선옥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8권1호
    • /
    • pp.45-57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erception of nutrition teachers about emergency meals in all schools affiliated with the Seoul Office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need for emergency meals an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thereby assisting meal service sit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6 to 31, 2021, analyzing 130 collected sampl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nutri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school meal services for the prevention of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considered the variance among school meal consumers. Also, they generally thought of emergency meals due to the need for social distancing and the decrease in the distribution of food. Secondly, in terms of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bout emergency meals, nutrition teachers (45.4%) who have provided emergency meals (t=2.584, P<0.05) we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emergency meals than nutrition teachers (54.6%) who had not provided emergency meals. Nutrition teachers conceived emergency meals to minimize the contact between people (45.6%) and to rectify the imbalance in nutrition (37.5). Next, emergency meal attributes were observed to be ranked in the order of convenience (3.49), safety (3.15), and satisfaction (2.88). Fourthly, although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emergency meal attribut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fety of the cooking process, menu familiarity, the low unit price compared to regular meals and the excellent satisfaction with nutrition provided (t=2.603, P<0.05), (t=2.039, P<0.05), (t=2.154, P<0.05), (t=2.477, P<0.05) respectively.

지역의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연간 미충족의료 발생 간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Regional Healthcare Environment and Unmet Medical Needs)

  • 우서현;문현우;이영준;김선정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2-72
    • /
    • 2023
  • Based on the basic ideology of health care, this study realized the seriousness of annual unmet medical need and conducted a study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regional healthcare environment and unmet medical need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classified into attitude 'satisfaction' and 'unsatisfaction' toward regional healthcare,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classified as whether unmet medical needs occurred annuall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ntrol variables were selected a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at can affect the occurrence of unmet medical care annually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health behavior.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for each variable on the extracted sample, and multivariate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more unmet medical needs occurred annually than those who were satisfied with the medical services in the area where they lived. In addition, more unmet medical need occurred annually in "unsatisfied" households compared to households "satisfied" with local medical services. In residential areas, women live in "metropolis" and "rural areas" compared to "urban," women live in men, lower education levels, and poor subjective health levels, and less satisfied with local medical services. As such, the impact of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mmunity on the use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is one of the major areas of interest in the field of health science, such as health policy and social dynamics. Therefore, hospitals in each region need to make efforts in terms of hospital management to increase the overall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s in the region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attitude of residents to achieve universal health security, and policymakers should also be interested and propose new policies.

  • PDF

음악치료 수퍼비전 형태에 따른 수퍼비전 만족도 조사 (Music Therapy Supervisory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Supervision Format)

  • 곽은미;장빛나;유가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9권1호
    • /
    • pp.21-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수퍼비전 형태, 즉 개인 수퍼비전과 소집단 수퍼비전 형태에 따른 수퍼바이지의 수퍼비전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그에 따라 서울 소재 대학교 음악치료학과 석사과정 재학생 중 임상 수퍼비전을 받고 있는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가 실시되었다. 대상자별로 개인 수퍼비전과 집단 수퍼비전이 각각 4회씩 이루어졌고, 수퍼비전 실시 후 수퍼비전 만족도 질문지(Supervisory Satisfactory Questionnaire)를 사용해 각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 평균 점수가 집단 수퍼비전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두 조건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만족도 세부 항목 중 필요성 충족과 전체적인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자기보고 내용에 있어 개인 수퍼비전의 경우에는 제공되는 시간의 충분함과 수퍼바이저의 개별적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서술이 많았던 반면, 집단 수퍼비전의 경우에는 동료들 간의 긍정적인 교류와 시간 부족에 대한 서술이 많았다. 이와 같이 개인 수퍼비전과 집단 수퍼비전에서 충족될 수 있는 다른 필요와 장점이 있음을 보여주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음악치료 교육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는 수퍼비전 형태에 대한 고려사항이 제안되었고, 추후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청년기 남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Perceptions of the Self-Efficacy of Youth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 홍성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6호
    • /
    • pp.71-8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the self-efficacy of youth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697 university students 314 males and 383 females. All respondents submitted their answers on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Young males exhibited higher levels of self-efficacy perception compared to young females. Regarding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gender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b)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elf-efficacy of youth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c) Self-satisfaction, self-confidence regarding one's career, satisfaction with one's friends, satisfaction with one's parental relationship, quantity of reading, and the amount of study-time all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elf-efficacy of youth, whereas the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d) Self-efficacy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youth subjective quality of life. Self-satisfactio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friends all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youth subjective quality of life, whereas the quantity of reading, the amount of study-time, self-confidence with one's career, the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one's parental relationship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However, self-confidence with one's career, satisfaction with one's parental relationship, the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quantity of reading all had different levels of influence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young males and females.

인물의 매력에 관련된 아름다움의 차원 (The Beauty Dimensions Related to Human Attractiveness)

  • 박상준;이영란;김은정
    • 감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139-152
    • /
    • 2008
  • 대부분의 경영분석가들은 뷰티산업이 미래의 주요산업의 하나가 될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뷰티산업은 뷰티에 관련된 서비스와 상품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시장에서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뷰티 서비스와 뷰티 상품을 마케팅하기 위해서는 뷰티가 측정될 수 있어야 하지만, 실제적으로 뷰티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은 사실상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Langmeyer and Shank(1994)의 연구를 바탕으로 인물의 매력을 단일의 차원이 아닌 다차원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258명의 대학생 응답자를 대상으로 인물의 매력에 관련된 뷰티의 차원에 관련된 설문을 실시했고, 이를 바탕으로 인물의 매력에 관련된 뷰티의 차원을 도출하고, 뷰티 측정에 대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행된 정량적 분석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인물 매력에 관련된 4가지 뷰티 차원을 도출하였는데, 2개 차원은 인물의 내면의 아름다움에 관련된 것(역동적 성격, 배려)이었고, 나머지 2개 차원은 인물의 외면의 아름다움에 관련된 것(형상, 스타일)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응답자 특성에 따라 아름다움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응답자 특성으로는 성별, 외적 아름다움의 인식 차이, 자신의 외모 만족도가 고려되었다. 분석결과는 자신의 외모 만족도와 아름다움의 인식 가치가 본 연구에서 도출된 아름다움 차원에 있어서 아름다움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자신의 외모 만족도가 높은 경우 전반적으로 외모차원과 심성차원의 아름다움을 모두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아름다움의 인식 가치가 높은 경우 외면의 아름다움 차원을 내면의 아름다움 차원보다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도보여행길에 대한 주민의 관광영향지각, 환경태도, 참여 관계 분석: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소나무숲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Residents'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Environmental Attitude and Participation: focused on Keumkang Pine Tree Forest Trail)

  • 김선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39-35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금강소나무숲길을 사례로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지각, 환경태도, 참여를 조사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관광의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긍정) 영향지각은 긍정적인 반면 경제적 환경적(부정) 영향지각은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환경태도는 매우 우호적인 반면 시설중심의 관광개발에 대해서는 비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셋째, 주민참여는 긍정적인 반면 그에 따른 경제적 편익은 낮게 평가되었다. 넷째, 항목 간의 상관관계는 환경태도가 우호적일수록 경제적 문화적 영향지각 수준이 높았고, 주민참여에 대해 긍정적일수록 경제적 환경적(긍정) 영향지각 수준이 높았다. 끝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현재의 운영체제가 유지되어야 하며, 낙후된 편의시설, 취약한 접근성, 부족한 연계 관광코스, 편중된 경제적 편익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

  • PDF

인공지능의 이해와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 on Understa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ocial Impact)

  • 김한성;전수진;최승윤;김성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1-2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AI)과 관련한 기술적 지식과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길러주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적 접근에 기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수업을 통해 AI에 대한 개념과 인식의 변화 그리고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후 AI 개념과 일상생활 속 사례에 대한 이해가 향상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AI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고, 개인정보, 초지능화, 신뢰성에 대한 두려움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수업 만족도를 보면 AI에 대한 이해, 수업에 대한 재미, AI에 대한 흥미와 관심, 다른 친구에게 추천 관련 항목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초·중등학교의 AI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