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factors

검색결과 9,916건 처리시간 0.034초

1980년대 영화의 정당화 과정으로서의 기회구조 분석 -민중 문화 운동과 영화시장 개방을 중심으로- (Opportunity Structure Analysis as Cultural Legitimation of Film World after the 1980s -the case of Popular Culture Movement & the Opening of Film Industry-)

  • 김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25-136
    • /
    • 2013
  • 이 논문은 1980년대 이후 한국에서 영화의 사회적 위상이 올라가는 과정을 사회학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영화의 위상 변화는 사회에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는 정당화 과정으로 인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동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운동 이론에서 다루는 기회구조 개념을 논의의 배경으로 삼았다. 기회구조는 동원집단(=영화계) 외부에 존재하는 변수를 의미하며, 본론에서 기회와 위협요인으로 제시된다. 영화의 정당화 과정에 기회로 작용한 요소는 80년대 민중문화운동을 통한 영화 신진 인력의 투입이다. 반면, 위협요소는 미국 영화계의 산업적인 침투와 이에 대한 영화시장의 개방이다. 각각의 요소는 영화계 외부의 변수로 작용하였고, 영화의 정당화 과정에 있어 보완재와 경쟁재로 작용하였다. 1980년대 이후 민중문화 운동은 영화를 의미 있는 문화적 산물로 정당화 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또한, 미국 영화계의 위협은 한국 영화계 내부의 합리성과 경쟁구도를 역동적으로 변화시켰다.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일반계층과 저소득층의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of social welfare service utilization between general and low-income group)

  • 최승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3호
    • /
    • pp.213-24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소인성 요인, 가능성 요인, 욕구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일반계층과 저소득층으로 나누어서 비교해 보았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에 있어서는 일반계층과 저소득층 모두 배우자가 있는 경우, 동거가족이 많을수록, 건강이 안좋다고 느낄수록,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에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수준에 있어서는 배우자가 없는 경우, 가구소득이 일반계층에서는 적을수록, 저소득층에서는 높을수록, 동거가족수는 많을수록, 건강이 좋지 않다고 느낄수록,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가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수준이 높았다. 이 외에 저소득층에서는 여자보다 남자일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고졸이상보다는 중졸이하 집단이, 취업자보다는 미취업자가, 거주지역이 서울 광역시일 경우, 생활만족도가 낮을 경우 서비스 이용수준이 높아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각 계층별 특성과 욕구가 다르며, 서비스의 목적과 내용에 따라 잠재적인 대상자들의 욕구조사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Factors Affecting Awareness of Long Term Care Insurance: An Exploratory Study)

  • 원서진;김혜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29-236
    • /
    • 2019
  • 본 논문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을 45세에서 64세 이상의 중장년 집단과 65세 이상의 노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징, 조사자의 사회관계망 요인, 건강요인이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6차 조사자료를 토대로 2차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45-64세 중장년 집단의 경우 성별, 자원봉사활동, ADL, IADL, 우울이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면에 65세이상 노인 집단에서는 나이와 우울 외에 종교모임, 친목목임, 여가활동, 동창회모임, 자원봉사활동, NGO활동과 같은 사회관계망 관련 요인들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인지도에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지도 향상방안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사회복지사 연령별 일-생활 균형 영향요인 비교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rk-Life Balance of Social Workers by Age)

  • 김요섭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78-184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연령에 따라 일-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비교·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이며 설문에 참여한 42개 시설 313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사회복지사의 개인 요인(Level 1)과 기관 요인(Level 2)을 산정한 다층모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일-생활 균형 전체 변량의 20.2%가 지역복지관별 차이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사회복지사 일-생활 균형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 요인에서는 직무요구와 가족 요구가 일-생활 균형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남성보다 여성이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과 경제상태는 일-생활 균형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별 사회복지사의 일-생활 균형의 영향요인 검증한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직무요구가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에서 가족 요구와 남성보다 여성이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상태도 일-생활 균형에 중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 일-생활 균형 향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비재무정보를 이용한 사회적기업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of Social Enterprises Using Non-Financial Information)

  • 김혁;이동명;남기정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1-12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용보증기관에서 신용보증을 이용한 사회적기업의 비재무정보를 사용하여 생존율과 생존시간을 추정하고 생존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검증하여 이해관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생존율을 향상시켜 기업의 고용을 유지·확대하여 사회·경제적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비모수적 분석방법인 카플란마이어 분석법(Kaplan-Meier Analysis)으로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기업은 2009년부터 2018년 사이에 설립된 621개(정상기업 577개, 부실기업 44개)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사회적기업의 대표자정보와 기업정보로 구분하여 생존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검증한 결과 대표자 신용등급, 대표자 주택보유여부, 여신거래기간, 기업 신용등급이 생존시간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변수로 도출되었다. 향후 금융기관들은 사회적기업 대출심사시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반영하여 기업의 건전성을 유인하고, 고용유지와 사회적비용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나 민간단체 등 지원기관들은 사회적기업의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정책수립, 교육훈련 등에도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를 계기로 사회적기업의 성과와 더불어 기업의 부실과 관련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더욱 관심을 갖고 연구가 지속되길 바란다.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영향요인 (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derly People)

  • 송미령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93-499
    • /
    • 2007
  •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older adults, and factors affecting this behavior.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urvey analysis were Koreans aged 65 or over who had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could do cognitive thinking, and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 survey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vel of depression, social support,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s 14.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religion, economy and health status. Levels of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had strong correlations with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factors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Conclusion: A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have been found to affect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lder adults, programs developed to enhance health of older adults should include activities to enhance both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 PDF

단일주거 내 거주자의 사회적 행위패턴에 대응하는 공간조절 요소 (Space Elements as the Correspondent Elements with the Social Behavior Patterns in the Housing Unit)

  • 전남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40
    • /
    • 2002
  • The aim of this interdisciplinary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behavior patterns and space elements, specially micro-housing sociological point of view. It analyzed korean typical floorplans in the apartment housing, focused on the 4-criteria contact or isolation between the individual persons, communication between the generations, hierarchy of the gender and socialization with neighbourhood. It determinate concrete space elements involved correspondent factors with users' social behavior. By reviewing those factors found, it is suggested also the planning concept, that response users' social orientation. As the practical alternatives, some prototypes have been developed not only for improvement of housing plans, but also for resonable housing supply and sustainable usage.

고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 사회적 지지와 우울 간의 관련성 (Associations between Interpersonal Disposition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최슬기;박경옥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0-126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terpersonal dispositions and social support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Methods: A total of 604 students (320 males and 284 females) from four high schools conveniently sampled from high schools in the Incheon area participated in a self-administered survey. Results: According to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facto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articipants' depression levels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30.6%: grade, perceived health status, sympathetic-acceptable personality, sociable-friendly personality, rebellious-distrustful personality, parent support, peer support, and the support from community. Conclusion: In this study, interpersonal dispositions and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engthening 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support can help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mental health and suicide prevention.

아동의 불안과 우울증상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적 변인 (Effects of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on Children's Affective Problems and Self-Worth)

  • 정문자;여종일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71-83
    • /
    • 2009
  • This paper examined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anxiety, depressive symptoms, and self-worth. Seven hundred and thirty-eight 5th and 6th graders completed measures of affective problems, self-worth, styles of attribution, daily hassles,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aladaptive styles of attribution and daily hass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xiety, depressive symptoms, and low self-worth. Results also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depressive symptoms, emphasizing the role of social support of friends in preventing affective problems and enhancing self-worth.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 PDF

자기 통제성과 사회적 지지가 초기 청소년의 집단 따돌림 피해 및 가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Bullying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among Early Adolescents)

  • 백지은
    • 아동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9-7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self-control and social support (e.g., parents, peer, teachers) on bullying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among early adolescents. 377 youths (11-14 years of age)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from these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by gender on bullying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Among boys, the factors influencing bullying victimization were social support from close friends and self-control. Among girls, the factors influencing bullying victimization were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self-control. The factor influencing bullying perpetration was self-control for both boys and gir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