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attractiveness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6초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DAU와 게임 구매간의 불균형성을 발생시키는 요인에 대한 고찰 - 구글 플레이 무료게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 Which Causes the Imbalance Between DAU and Game Purchase in the Mobile Game Market - With an emphasis on Google Play Free Games -)

  • 임준;최성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293-303
    • /
    • 2014
  • 카카오 게임의 런칭 후 모바일 게임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여 게임시장 점유율 33.1%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 규모에 비해 매출액 비중은 6%로 점유율로 상당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직 모바일 게임 시장에 있어서 수익모델이 제대로 확립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익모델의 부재는 DAU와 매출순위로도 확인할 수 있는데, 구글 플레이 무료게임 DAU Top10 안에 들어가는 게임 가운데 매출순위는 10위 안에 들지 못하는 게임들이 존재한다. 반면에 DAU순위는 낮지만 매출이 높은 게임들 또한 존재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수익모델이 제대로 만들어져 있는 게임과 그렇지 않은 게임의 차이라고 보인다. 본 논문은 구글 플레이 무료게임 10위권 내에 있는 게임들의 DAU순위와 매출 순위 비교를 통해 DAU 순위와 매출순위가 다른 게임들을 선정한 후, 이러한 결과의 원인이 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향후 모바일 게임 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제작자들이 수익모델을 만드는데 있어 준거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체미의 이상형에 따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변화 (A Change of fashin IIIustration by the Ideal Type of Human Body Beauty)

  • 전경숙
    • 복식
    • /
    • 제28권
    • /
    • pp.65-8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beauty of human body and the fashion illustration in each period And I attained my object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features and changes of illustration which is given a vivid description of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of ideal humam body beauty. By various methods I studied this subject. Frist I refered to sundry records Secondly I investiated the fashion illustrations which are included in Vogue. On the basis of this data I grasped the ideal types of human body beauty which is founded during the social change in each 10 years. And I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the ideal type and fashion illustration which show the change of fashion. The summary of result is as follows. 1. In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the beauty of human body is represented with the figure of large-sized beauty which emphasize shoulder and bust. And fashion ikllustration show 9 life-size broad shoulder full bust lim waist and hourglass silhouette. 2, In the 1910s the swell of strength vanishes gradually and shoulder and sleeve are straight type. And fashion illustration show 7 life-size high waist line. And that is tublar sil-houette of high waist and streamline shape in which bust and hip are not emphasized. 3. In the 1920s the ideal type of human body beauty is straight type which shows flat bust and unexaggerate hip. And fashion illus-tration is about 8 life-size tublar silhouette of low waist and lunger and slimmer and young style in which bust and hip are not emph-asized. 4. In the 1930s the ideal is womamly slim and long style. Fashion illustration is about 8 life-size and slim & long silhouette in which waist line is emphasized and bust and hip line come out. 5. In the 1940s the ideal type is womamly style which has narrow shoulder rich bast and slim waist. And fashion illustration is about 7 life-size and hourglass silhouette which has unartificial shoulder slim waist and empha-sized bust. 6. In the 1950s the ideal type is that of ro-bust health which emphasize build and muscu-lar system. And fashion illustration is 8.5 life-size and show full bust and made waist slimmer. That is sheath silhouette. 7. In the child who has full face with large eyeball slender and long leg: narrow and immatured body comparatively big head. And fashion illus-tration is 7 life-size and show slim and long neck flat bust long and slim limbs and big head. That is H type silhouette. 8. In the 1970s the ideal type is high stat-ure flat breast small hip and wide shoulders. And fashion illustration is wide shoulders and slim waist as 11 life-size and straight sil-houete. 9. In the 1980s the ideal type is extremely emphasized breadth of shoulder because healthy body and muscle are recognized as the symbol of ideal attractiveness. And fashion il-lustration is about 8.5 life-size and show mus-cular slim type that is slim silhouette. 10 At the present time the ideal type is slim and tall type which is empasized healthy beauty. And fashion illustration is 12 life-size which has healthy body and skin So that is slim and long type.

  • PDF

자기 검색척도(Self-Monitoring Scale)의 타당성 검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Validity Test on the Self-monitoring Scale)

  • 이선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751-759
    • /
    • 1998
  • The study of the validity test on the self-monitoring scale for nurses In this study, both the literary survey as well as empirical research has been execut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scales that measure the construct of the self-monitoring scale. The self-monitoring scale could not b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as Snyder suggested. Many other scholars (Briggs, Cheek and Buss, 1980) suggested 3 different classifications which was accepted by Snyder and Gangestad (1986). John, Cheek and Klohnen(1996) claimed a two-factor classification. As has been discussed, factor analysis is used to prove convergent validity within the factor and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the factors. However, depending on the researchers, many variations in classification of the factors were found and a lack of cont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found in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Snyder's self-monitoring scale did not factor-load at over. 30 for all 25 items, regardless of how many factors c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findings of this study, the self-monitoring scale neither classified as five, three or two factors nor factor loaded as hypothesized. It is also clear that Snyder's self-monitoring scale lacks convergent validity as the sub-factors of the scale failed to prove its uni-dimensionality. The A self-monit oring scale not only fail to overcome the problems of Snyder's self-monitori ng scale but even lost the attractiveness of the self-monitoring scale. In this study it was also found that the A self-monitoring scale was not classified in either in a two or three-factor classification as hypothesized. It is, of course, not desirable to use any scale that lack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en though it has been widely used and has hel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the field of social psychology.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Snyder's self-monitoring scale, Lennox and Wolfe(1984) suggested 13 items. This study was dedicate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in which we found that the data presented in validity as the two factors were class ified and loaded as expected. Reliability was also proven by checking Cronbach's α for each factor and for the total items. In additio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executed for the 13 items using LISREL 8.12 program to confirm convergent validity in a two-factor classification. The model was fitting and sound : however, the self-monitoring scale was unfitted and not validated. Thus, it is recommended to use not the original nor the abbreviated self-monitoring scale but the 13 items in future studie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tems 7 and 13 should be removed to obtain better uni-dimensionality for the 13 items. These items loaded at over. 30, too high for the two factors in the test results of Factor analysi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ouble-check the cause of two-hold loading at over .30 for the two factors. It could be a problem caused by data or by the scale itself. Therefore, additional studies should follow to better clarify this matter.

  • PDF

초임부를 대상으로 한 자가검색도 척도의 타당도 비교 (Study of the Validity Test on the Self-monitoring Scale for Primi-Gravida)

  • 이선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3-186
    • /
    • 1998
  • In this study, both the literary survey as well as empirical research has been execut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scales that measure the construct of self-monitoring scale could not b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as Snyder suggested. Many other scholars (Briggs, Cheek and Buss, 1980) suggested 3 different classifications which was accepted by Snyder and Gangestad (1986). John, Cheek and Klohnen (1996) claimed a two-factor classification. As has been discussed, factor analysis is used to prove convergent validity within the factor and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the factors. However, depending on the researchers, many variations in classification of the factors were found and a lack of cont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as found in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Snyder's self-monitoring scale, did not factor-load at over 30 for all 25 items, regardless of how many factors c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findings of this study, the self-monitoring scale neither classified as five, three or two factors nor factor loaded as hypothesized. It is also clear that Snyder's self-monitoring scale lack convergent validity as the sub-factors of the scale fail to prove its uni-dimensionality. The A self-monitoring scale not only fail to overcome the problems of Snyder's self-monitoring scale but even lost the attractiveness of the self-monitoring scale. In this study, it was also found that the A self-monitoring scale was not classified as hypothesized in either in a two or three-factor classification. It is, of course, not desirable to use any scale that lack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en though it has been widely used but also has hel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the field of social psychology.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Snyder's self-monitoring scale, Lennox and Wolfe(1984) suggested 13 items. This study 1. was dedicate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in which we found that the data presented in validity as the two factors were classified and loaded as expected. Reliability was also proven by checking Cronbach's alpha for each factor and for the total items. In additio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executed for the 13 items using LISREL 8.12 program to confirm convergent validity in a two-factor classification. The model was fitting and sound ; however, the self-monitoring scale was unfitted and not validated. Thus, it is recommended to use not the original or the abbreviated self-monitoring scale but the 13 items in future studie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tems 7 and 13 should be removed to obtain better uni-dimensionality for the 13 items. These items loaded at over .30, too high for the two factors in the test results of factor analysi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ouble-check the cause of two-hold loading at over .30 for the two factors. It could be a problem caused by data or by the scale itself. Therefore, additional studies should follow to better clarify this matter.

  • PDF

BMO 평가모형을 이용한 인터넷 쇼핑몰 비즈니스모델 자가평가 방법론에 관한 사례 연구 (A Series of Rearch for the Theory of Self-estimating Internet Shopping-mall, Business model which uses BMO Estimating Model)

  • 은종성;민경세
    • 벤처창업연구
    • /
    • 제2권2호
    • /
    • pp.49-68
    • /
    • 2007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 창업 시 활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사전 자가 평가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자가 평가 방법론은 Bruce Merrifield 박사가 제안한 BMO 모형을 인터넷 쇼핑몰에 맞도록 재구성하였으며, 평가 항목이 변형을 위해 인터넷 비즈니스의 특징,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성 평가에 관한 이론, e-business의 성공 실패요인, 벤처기업의 성공 실패요인, 기술가치 평가 요인, 인터넷 쇼핑몰의 성공 실패요인 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재구성된 사업매력도 평가항목은 매출규모, 시장성장성, 경쟁력, 위험분산도, 업계 재구축 가능성, 특별한 사회적 상황이며, 자사회의 적합성 평가항목은 경영자특성, 컨텐츠제공력, 상호작용성 구현 및 운영, Commerce, Fulfillment, 마케팅력이다. 재구성된 BMO모형으로 인터넷 쇼핑몰 사업을 진출하고자 하는 I사, D사, G사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자가평가를 통한 부적격한 인터넷 쇼핑미로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방지, 인터넷쇼핑몰 비즈니스 모델의 평가를 통해 사업을 점검하고 실행할 수 있는 지침 제공, 인터넷 쇼핑몰 비즈니스 모델이 실행에 필요한 자원의 수준과 확보의 용이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직장인의 의복·메이크업 컬러 선택 동기가 외모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ffice Workers' Motivation to Choose Clothing and Makeup Colors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 이정현;한승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225-123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의복과 메이크업 컬러 선택 동기가 외모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충청도 지역 소재지에 근무하는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2023년 7월 15부터 2023년 7월 29일까지 2주간 이루어졌으며, 표집 된 69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one-way)ANOVA, 사후검증(Scheffe's)을 처리하였으며, 직장인의 의복과 메이크업컬러 선택 동기의 상관성을 알아 보기위해 상관관계분석 및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거처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직장인의 의복 컬러 선택 동기가 외모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의 메이크업 컬러 선택 동기가 외모만족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매력은 상황요인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인의 의복 컬러 선택 동가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인의 메이크업 컬러 선택 동기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공모설치관리제도(Park-PFI)의 적용을 통한 노후 도시공원 정비사업 시뮬레이션 및 타당성 분석 (Simulation and Feasibility Analysis of Aging Urban Park Refurbishment Project through the Application of Japan's Park-PFI System)

  • 김용국;김영현;김민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13-29
    • /
    • 2023
  • 도시공원은 시민들의 건강, 삶의 질, 그리고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하는 사회적 기반시설이다. 조성된 후 20년 이상이 지난 도시공원 비중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노후 도시공원의 물리적 공간환경 개선과 기능 제고를 위한 정비사업 추진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관 주도의 노후 도시공원 정비는 재원 확보와 공원 매력 증진 측면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민·관 협력을 통한 추진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 앞서 노후 도시공원 문제를 겪은 일본은 2017년 「도시공원법」 개정을 통해 공모설치관리제도(Park-PFI)를 도입하여 다수의 공원 정비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민·관 협력을 통해 국내 노후 도시공원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고, 지속적으로 관리·운영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일본 공모설치관리제도(Park-PFI)의 특성을 다각적으로 검토·분석하고, 이를 국내 노후 도시공원에 시범 적용한 후, Park-PFI 적용을 통한 노후 도시공원 재정비사업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공모설치관리제도(Park-PFI)는 노후 도시공원의 서비스 질 향상과 기능 다양화를 위한 민·관 협력 수단으로 국내 여건에 맞춰 도입하는 것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겠다. Park-PFI의 국내 도입을 위해서는 민간 자본 및 수익시설 설치에 따른 도시공원의 공공성 저하와 장소성 훼손, 공원녹지법 및 공유재산법 등 관련 규제 개선 등에 관한 사회적 논의와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둘째, 노후 도시공원의 정비 필요도가 높고, 사업을 추진하기에 적합한 입지라는 전제하에 Park-PFI 사업은 시민, 지자체, 민간 사업자 모두의 편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 대안이라고 판단된다.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위치한 노후 도시공원인 세영공원에 Park-PFI 사업을 시범 적용한 결과, 수익성지수(PI), 순현재가치(FNPV), 내부수익률(FIRR) 등의 측면에서 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민간 부문의 사업 참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자체 차원에서도 민간 자본을 활용하여 노후 도시공원의 물리적 공간환경을 정비하는 것은 물론 민간 사업자의 시설 사용료와 수익의 일부(연매출의 0.5%)를 환원받음으로써 발생하는 재원을 활용하여 해당 도시공원의 유지관리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쇼핑가치차원이 점포태도, 쇼핑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erceived Shopping Value Dimensions on Attitude toward Store, Emotional Response to Store Shopping, and Store Loyalty)

  • 안광호;이하늘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4호
    • /
    • pp.137-164
    • /
    • 2011
  • 본 연구는 경험가치척도(EVS; Experiential Value Scale)를 바탕으로 측정된 쇼핑가치차원이 쇼핑점포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쇼핑가치차원이 쇼핑점포에 대한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가 백화점과 할인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분석했다. 실증분석결과 점포에서 제공하는 실용적 쇼핑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는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점포에 대한 감정적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용적 쇼핑가치의 하위차원인 서비스우수성, 효율성, 경제적 가치가 증가할수록, 소비자들의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쾌락적 쇼핑가치의 하위차원인 시각적 매력, 오락적 가치, 일상탈출, 내재적 즐거움이 높은 것으로 지각할수록, 쇼핑과정에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감정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쾌락적 쇼핑가치는 소비자들이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직접적 영향이 아닌 점포에 대한 소비자들의 감정적 반응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점포에 대한 긍정적 감정형성은 점포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에 대한 긍정적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백화점보다 할인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