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activity satisfaction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9초

중학교에서 고3까지의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 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 관계연구: 4년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Adolescent Self-esteem, Career Identity, School Learning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Change: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 김선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07-514
    • /
    • 2018
  •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LGM) 분석을 활용하여 후기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의 변화모형을 도출하고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과 학습활동, 성별, 가구소득이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후기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들은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CPS)의 중1 패널 3차년부터 6차년도 자료를 활용했다. 연구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삶의 만족도 변화모형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2차 함수가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에 개인별 차가 유의미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삶의 만족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시간의존적인 독립변수로는 학습활동이 모든 학년마다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독립적인 독립변수들로는 성별과 자아존중감이 초기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1차변화율과 2차 변화율에도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에 따른 후기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대한 개입과 함께 실천적 함의에 대한 제안과 과제가 제시되었다.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 장년, 노년층의 건강.영양상태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 III. 농촌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와 건강관련행동 및 식이섭취와의 관련성 - (Nutritional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in Longevity Areas - III. Relation among Self-rated Health, Health-relate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in Rural Elderly -)

  • 최정숙;권성옥;백희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3호
    • /
    • pp.286-298
    • /
    • 2006
  • The study aimed to identify major factors related to global self-rated health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33 persons over 65 years of age.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chronic disease status, measures of functional and mental health, life satisfaction, health-related behaviors including smoking, drinking, exercise, social activity, dietary habit, and food intak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influence on self-rated health index. Data on food intake were obtained through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self-rated health of rural elderly was poor or very poor as reported by 42.6% and 52.4% of the men and women, respectively. Poor self-rated health was found to be related to elderly aged $65{\sim}74$, female, absence of work, more chronic diseases, dependence on Instrumental Activity Daily Living (IADL), higher mental unhealthy days, lower current life satisfaction, less social activity, lower dietary habit scores, lower intake of total food, fruit, eggs, fishes & shell fishes, vitamin C (%RDA), and Nutrient Adequacy Ratio (NAR).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oor self-rated health index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re chronic diseases, mental unhealthy days, gastrointestinal disease, musculoskeletal disease, less social activity, and lower intake of fruits.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nutritional status and functional ability, and reducing the burden of chronic diseases are beneficial to the self-rated health index of the elderly.

기질과 환경 간의 조화로운 합치모델 검증연구(II) - 조화로운 합치와 아동의 자기능력지각 - (A Test of Goodness of Fit Between Temperament and Context(II) : Goodness of Fit and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e)

  • 최영희
    • 아동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5-157
    • /
    • 1994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examination of a "Goodness of Fit" model with reference to the interaction effects of temperament and context. Two hundred forty 5th graders from urban and rural areas were administered the EAS (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and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mothers with their children's temperament was assessed for the context measur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of children's emotion and mothers' satisfaction with children's emotion explained perceived social competence and general self-worth. This result supported the goodness of fit model. However, interaction effects were not found in children's perception of cognitive and physical competence. Also, children's activity and sociability showed strong main effects on perceived competence. It implies that activity and sociability should be applied to the personological model.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for following studies of goodness of fit model were discussed.

  • PDF

SNS 이용자 시민행동, 불량행동, 사회적 유대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및 이용자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ser citizenship behavior, aberrant user behavior, social connectedness, privacy concern, and user satisfaction)

  • 김유정;김재영;한재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4994-5004
    • /
    • 2012
  • 본 Web2.0의 대표적 서비스인 소셜네트워킹사이트(Social Networking Site, SNS)도 하나의 가상 커뮤니티에 해당된다. 이에 SNS에서 이용자의 역할 외 활동(Extra-role activity)인 이용자 시민행동과 이용자 불량행동은 SNS 이용자의 만족도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고, 사회적 네트워크가 성공적으로 작동하는데 중요한 요인인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서 나타나는 이용자 스트레스 중 하나인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에도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자의 시민행동과 불량행동, 사회적 유대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및 이용자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고객행위관점에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143개의 유효 설문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용자 시민행동이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 불량행동은 이용자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 시민행동이 사회적 유대감에 매우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이용자 불량행동과 사회적 유대감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유대감과 이용자 만족도간의 관련성도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용자 불량행동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와 사회적 유대감이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도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Evaluation of Common Activity and Life in Swedish Cohousing Units

  • Choi, Jung-Shin;Paulsson, Jan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2권2호
    • /
    • pp.133-146
    • /
    • 2011
  • This study evaluates common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Swedish cohousing units to examine whether Swedish cohousing functions properly or not. A questionnaire survey was fulfilled during the autumn of 2010 in G$\ddot{o}$teborg Sweden. The subjects of study were 12 of 44 cohousing units in Sweden that included 4 of the +40 cohousing and 8 of the mixed-age cohousing. A total of 242 of 353 distribu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68.6%) and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re that they are mostly healthy, evenly aged from age 50s to 70s and highly educated with significant proportions of academics and civil workers. There are more females than males and more singles than cohabitants. 2) The most frequent and preferred common activity is a common meal followed by a coffee meeting. A common dinner, the 'hub of living together' is held almost every day or at least a few times a week. A common meal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activities because of practical and social advantages in that residents can save time and cooking costs as well as engage in social contact. Referring to evaluation of frequency and content of common activity, more than a half of the respondents prefer the current situation. 3) All of the variables (except health conditions and education level) affect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4) Most of the respondents indicate a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are willing to recommend others move to cohousing. They agree that there is more mutual support among residents in cohousing units than in a conventional community. In conclusion, Swedish cohousing units function successfully as they have pursued intentional community ideology and most of the residents are proud of their current living situations.

노인의 여가참여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by Leisure Participation Types of the Elderly)

  • 김외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1호
    • /
    • pp.23-4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typology of leisure participation, investigate determinants of leisure participation types, and analyz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by the types of leisur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he data source for this research was the 2014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NSO).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e analysis wer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Duncan test, cluster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Leisure participation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based on five categories; social activities, religious activities, media, sports, time-spending activity. The five types were named "general", "insufficient", "religious oriented", "media oriented", and sports oriented" type. Gender, health condi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determinants for the types. Life satisfac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leisure participation type of the elderly. Religious oriented type showed the highest score of life satisfaction and media oriented type showed the lowest.

Considerations for nasal bone fractures: Preoperative, perioperative, and postoperative

  • Han, Dong Gil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6
    • /
    • 2020
  • Nowadays, the incidence of nasal bone fracture is increasing because of social complexity with frequent social activity, and reduction of fractures is relatively simple and can be corrected in short operation time. However, the postoperative results are known to be less satisfied with higher complication rates relatively. These problems could have resulted from inaccurate recognition and interpretation of fracture aspect, inaccurate planning of operation resulting in under or overcorrection, ignoring septal management, complication related nasal packings with removal, postoperative management, and patient satisfaction with complication.

소도읍 사회복지관의 가족복지부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Welfar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Town)

  • 채희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53-64
    • /
    • 2003
  • Recently the change of family environment has influence on the configuration of the family welfar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And so the relation of space and function required its change. The essential role of social welfare center is family welfare, domiciliary and community care, community organization, social education etc. In this sence, this study explored the condition of space planning for the family welfare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For this study, it was reviewed the role and function, the service program, the degree of unit activity importance, space satisfaction, the usage characteristics. In sum, the useful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synthesized through case study and could be used in the guidelines as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family welfar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s in small town.

  • PDF

노인의 은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기·중기노인 비교 (Factors Affecting Retirement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mparing young-old and middle-old elders)

  • 임정숙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861-88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은퇴만족의 영향요인을 건강, 사회활동, 사회보장기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이 전기노인과 중기노인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6차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 중에서 65세 이상 85세 미만 은퇴 노인 중에서 독거 및 부부 노인 860명을 추출하여 전기노인( 65세 이상 75세 미만) 416명과 중기노인(75세 이상 84세 미만) 444명으로 구분하여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기노인과 중기노인의 은퇴만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은퇴만족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전기노인은 건강상태와 정신건강이 양호하다고 인식할수록 은퇴에 만족할 확률이 높은 반면,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은퇴에 만족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노인은 건강상태와 정신건강이 양호하다고 인식할수록 은퇴에 만족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노년기의 건강은 은퇴만족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은퇴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필요성과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장애인의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이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Activity Constraint due to Disability on Daily Life Satisfaction among the Disabled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 김민수;고민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69-180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이 주관적 건강상태와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과 일상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5차년도에 참여한 3,809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 중 보청기를 사용해도 듣는데 어려움이 있는 정도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일상생활 만족도에는 모든 하위요인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는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 중 보청기를 사용해도 듣는데 어려움이 있는 정도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과 일상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장애인의 장애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맞춤형 재활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해 장애인의 활동제약 수준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장애인의 건강수준과 사회적 자립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나아가 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해 자기주도적 활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활프로그램과 건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연계한 지역사회기반의 통합적 장애인 지원체계 마련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