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aking solution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7초

둥시 장아찌 제조 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Preparation of Persimmon Pickles)

  • 차원섭;백신경;나경민;박준희;오상룡;이원영;천성숙;최웅규;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17-322
    • /
    • 2003
  • 떫은감 품종의 하나인 둥시를 이용하여 감장아찌 제조 중 과육의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염도 변화는 저농도 간장 및 된장 침지의 경우 다소 완만한 증가를 보였고, 고농도의 간장 및 된장 침지의 경우 침지 기간 내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 침지액 감장아찌의 경도는 간장 및 된장 모두 $20{\sim}80%$ 농도에서는 침지 초기에는 증가하다가 침지 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장 침지 감장아리의 색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명도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침지액 농도를 달리하였을 경우 농도가 낮을수록, 침지 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았으며, 침지액 농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침지액의 간장 및 된장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감장아찌 중의 탄닌함량의 변화는 모든 침지액 농도에서 침지 기간이 지속될수록 탄닌의 함량은 저장 초기에 서서히 감소되다가 침지 기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첨가량에 따른 탄닌함량의 변화폭은 크지 않았다. 침지액의 간장 및 된장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감과육에 존재하는 연화효소인 polygalacturonase와 pectinesterase 활성 변화는 간장침지 및 된장침지 모두 침지 초기부터 효소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침지 기간이 경과할수록 효소활성은 더욱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침지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효소활성이 억제되었다.

치커리(Cichorium intybus L.)와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의 기내 종자발아 개선 (Improvement of In Vitro Seed Germination in Chicory (Cichorium intybus L.) and Garland Chrysanthemum (Chrysanthemum coronarium L.))

  • 황현정;최근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7-305
    • /
    • 2008
  • 치커리와 쑥갓에 있어 기내 파종 시 발아 및 무균묘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일련의 실험들이 수행되었다. NaOCl의 적정 처리농도와 시간 검정을 통해 치커리 'Precole'과 'Chiavari' 및 쑥갓 'Okiku 3' 모두 Naocl 5%로 15분간 처리하는 것이 발아 및 유묘형성을 촉진시키고 오염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배지조성에 있어 MS와 1/2 MS처리구들의 발아반응성은 뚜렷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sucrose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아 및 유묘형성이 지연되었다. 배양용기에 따른 반응성의 차이는 치커리 'Precole'의 경우 petri-dish에서 양호한 발아율 및 유묘형성율을 보여주었지만, 치커리 'Chiavari'와 쑥갓 'Okiku 3'에서는 용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초음파 처리는 치커리의 발아율 및 유묘형성율을 증가시켰지만, 쑥갓 'Okiku 3'에서는 초음파 처리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치커리와 쑥갓 모두에서 NaOCl 5%, 15분간 종자소독하고, sucrose가 무첨가된 1/2 MS 배지로 petri-dish를 이용하며, 초음파 처리는 NaOCl 5% 용매에서 120분간 하는 것이 기내 발아향상에 적당한 조건으로 선정되었다.

Bone-like Apatite Formation on Ultrafine-Structure in Modified Electrolytic Solution

  • Jang, Jae-Myung;Choe, Han-Cheol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5-155
    • /
    • 2017
  • Surface modifications are commonly utilized to adjust the properties of the titanium and its alloy surface to the specific needs of the medical applications, but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poor osteoconductive properties and low adhesion of bone cell to implant surface. In order to improve these disadvantages, changes in surface properties have an important effect on osseointegration during implantation. In this paper we applied new technological method for improving a unique surface modifi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 of an electrolytic Solution. Thus, in the electrolyte containing NaF in Na2SO4, TiO2 nanoporous was uniformly formed, and HAp nanoparticles were electrodeposited around the TiO2 nanopores, but in the electrolyte containing NH4F in (NH4)H2PO4, the coarse protrusions including HAp nano particles were regularly deposited onto the TiO2 barrier layer. The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e distributed elements and have been investigated by EDS analysis, and ultra-fine structure of surface are carried out using FE-SEM.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the anion, the analysis of chemical states was performed by XPS, and the narrow spectrums for Ti2P, Ca 2p, and P 2p seems to be almost simila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lyte solu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Ca 2p spectrum could be resolved into two peaks for Ca 2p3/2 and 2p1/2 at 347.4 and 351.3 eV, which are related to hydroxyapatite. And, the P peak can also be deconvoluted into two peaks for P1/2 and P3/2 levels with binding energy 134.2 and 133.4 eV, respectively. From the result of soaking test, the apatite morphologys were well-formed onto the modified surface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nditions.

  • PDF

사과 중 Diazinon, Fenitrothion, EPN의 잔류량과 저장, 각피 및 세척에 의한 잔류농약 제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sidues of Diazinon, Fenitrothion, and EPN in apple and removal of Pesticide Residues by Storing, Peeling and Washing)

  • 김순희;정규철
    • 환경위생공학
    • /
    • 제6권2호
    • /
    • pp.89-108
    • /
    • 1991
  •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s such as Diazinon, Fenitrothion and EPN in apple and effect of storage peeling and washing on removal of the residues from apple soaked in 3 kinds of pesticides solutions for 20 seconds were studed with gas chromatography-nitrogen phosphorus detecter(GC-NPD).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 1) Average concentrations of DiaEinon, Fenitrothion, and EPN detected in apple of control group were 0.022, 0.007 and 0.008 ppm respectively. 2) Decreasing rates of Diazinon on 7 th, 14 th, 21 st, 28 th, and 35 th day after soaking apple on the pesticide solution were 41.3% , 68.6% , 87.0%, 96.9% and 99.5% respectively. In case of Fenitrothion were 46.9%, 66.3%, 84.9%, 93.2% and 97.3% and EPN were 45.7 %, 76.2%, 85.4%, 95.7% and 99.4% respectively. 3) The removal rate of Diazinon, Fenitrothion and EPN by washing with water alone were 93.7%, 70.6% and 51.5% respectively, and 97.1% , 78.4% ailed 76.5% by washing with 0.2% detergent solu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have show that 3 kinds of pesticides detected in app- les were below the Korean standard for residual pesticides and pesticides contaminated in apples were decreased in considerable degree by washing with water and 2% detergent solution and removed almost completely after storage for 35 days (5 weeks). Therefore, it would be concluded that washing and peeling will be the most effective way for safely because more than 90% of pesticide exist in peel.

  • PDF

데침과 열수의 침적과 Trehalose 처리가 오이 김치의 저장중 효소 활성의 변화와 관능 검사에 미치는 병용효과 (The Combined Effect of Enzyme Activity and Sensory Test of Blanching and Brining in Hot Solution and Trehalose Treatment on the Cucumber Kimchi for the Storage Period)

  • 이혜정;오봉희;남정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85-390
    • /
    • 2001
  • 1. 비가열 시료인 a와 b가 PE의 활성은 저장 둘째 주에 급격히 증가하다가 감소하였고, 가열 시료인 c 는 저장 넷째 주에 증가하다가 감소하였고, 병행 열처리와 trehalose 처리 시료는 저장 끝까지도 증가하였다. 2. PG의 활성은 비가열 시료인 a와 b는 저장 둘째 주부터 감소하다 저장 끝에는 증가하였고, 가열 시료인 c와 d는 저장 기간 동안 변화가 거의 없었다. 3. POD의 활성은 비가열 시료인 a와 b는 저장 둘째 주에 증가하다 감소하였고, 가열 시료인 c는 둘째 주에 약간씩 감소하였고, 병용 열처리하고 trehalose 처리군은 감소하였다. 4. 관능검사 결과 시료 a. b, d는 아작함과 기호도가 전 저장 기간동안 높았고, 시료 c는 갈색과 신맛의 증가로 기호도가 낮았다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2주차에는 아작함과 형태가 좋았으나 4주 6주로 가면서 아작함과 기호도의 값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각 시료별 기호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항목은 아작함이었고 시료 c는 갈색, 맛, 조직감 등에서 음의 관계를 나타냈다.

  • PDF

GA3, 냉습저장, 무기염 처리가 동의나물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3, Moist Chilling Storage and Priming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of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Turcz)

  • 나영진;정정학
    • 화훼연구
    • /
    • 제16권3호
    • /
    • pp.174-178
    • /
    • 2008
  • $GA_3$, 냉습저장 및 무기염 등의 처리가 동의나물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동의 나물의 종자는 치상전에 $GA_3$를 처리하면 발아율이 현저히 높아졌다. 종자의 발이촉진을 위해서 $GA_3$를 처리할 경우, $100mg{\cdot}L^{-1}$ 용액에 1시간 정도 침지처리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의나물의 종자발아에 있어서 냉습저장은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저장기간 5주가 발아율이 60.3%로 가장 높았다. 또한 냉습저장의 효과는 $GA_3$ 처리효과에 비해서도 월등하게 좋았다. 그러나 $GA_3$나 냉습저장의 효과와는 달리 $Ca(NO_3)_2$$KNO_3$ priming처리는 동의나물의 종자발아촉진에 효과가 없었다.

당액침지에 따른 반건시 가공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persimmons soaked in different concentration of sugar solution)

  • 권기만;김재원;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4-321
    • /
    • 2015
  • 반건시의 활용성 증대를 위하여 당액침지형 반건시를 제조하였으며 당 조성에 따른 반건시의 이화학적 특성 및 갈변 저해 효과를 검토하였다. 명도와 채도는 S5(sugar 5%), S10(sugar 10%)에서 높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당, 환원당 및 유리당 함량은 당의 농도가 증대될수록 증가하였으며, S5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S10은 유사한 함량을 보였으며 S15 및 S20의 경우 과실에 함유하는 당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액침지형 반건시와 갈변효소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폴리페놀 산화효소와 과산화효소를 측정하였으며, 당액 농도가 증대됨에 따라 활성이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S10 이후부터는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프로안토시아니딘 및 비타민 C 함량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면 S10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 식품과 당액 사이에 삼투압 때문에 당액으로 용출되는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S10에서 65.3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당액침지 시 삼투작용으로 적정 농도의 확립이 요구되며 갈변억제 및 영양적인 가치 등의 품질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10% 설탕을 첨가한 당액 침지법이 반건시 가공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접목선인장 비모란 수경재배시 배양액의 공급방법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y Methods of Nutrient Solution on Growth of Grafted Cactus Gymnocalycium mihanovichii var. friedrichii Grown Hydroponically)

  • 홍승민;조창휘;이정진;정재운;박인태;송천영
    • 화훼연구
    • /
    • 제17권3호
    • /
    • pp.172-178
    • /
    • 2009
  • 수출용 접목선인장 비모란의 무배지 수경재배에 적합한 배양액 공급횟수 및 방법 등을 구명하고자 하계와 동계로 재배시기를 구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모란 접목묘를 생력트레이를 이용하여 재배베드에 정식하였으며, 배양액을 1일에 1, 3, 5, 7회 공급하는 처리들과 식물체의 뿌리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9시간 동안 배양액에 계속 침지해 놓은 처리 등 총 5처리를 실시하였다. 하계와 동계 공히 1일 1회 배양액 공급처리에서 구직경 등 생육이 저조하였으며 그 외의 처리들에서는 생육에 유의차가 없었다. 동계재배시 1일 1회 배양액 공급처리에서 미발근율이 17.6%로 다른 처리들에 비해 매우 높아 동계의 1일 1회 배양액 공급은 생육저하 뿐만아니라 상품화율의 큰 손실이 예상되었다. 하계 및 동계 공히 생육, 발근율 등이 양호하고 배양액의 급배액 제어가 비교적 용이한 1일 3회 배양액 공급이 수출용 접목선인장 비모란의 무배지 수경재배에 적합한 배양액 공급방법으로 판단되었다.

The effect of osmotic potentials on the temperature response for germination of pepper seed

  • Kim, Young Ae;Park, Sunyeob;Kim, Du 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16-216
    • /
    • 2017
  • Primed seeds germinate faster and uniformly, since these have already started imbibition and metabolism requiring to complete germination. Several factors such as solution composition, osmotic potential, and treatment duration affect seed priming response. Water potentials of priming solution and germination response of primed seed were investigated to clarify the effects different inorganic salt types and the duration. Pepper seeds were primed in osmotic solutions that were osmotic potential ranged -1.54 to -0.45 MPa in an aerated solution of polyethylene glycol 8000 (PEG; 17%, 22%, 27%), and inorganic salt solution of $KNO_3$, $K_2SO_4$, and $Na_2SO_4$ (100, 200, 300mM) in aerated condition. The seeds were treated at $20^{\circ}C$ for 4, 6 day (D) and stepwise duration combined concentration of 100mM (2 or 4 days) and 300mM(2 or 4days). After soaking treatment, seeds were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were dried to approximately 6% moisture content in dry chamber at $25^{\circ}C$. The germination of seed was characterized by ISAT rules at $20^{\circ}C/30^{\circ}C$ and $15^{\circ}C$. Total germination percentage (GP), mean germination time (MGT), germination uniformity (GU), germination rate (GR), and health seedling percent (HS) were calculated on the germinated seed in a 14-day period. Seed water potential (${\psi}$) was correlated with water potential of priming solution ($r^2=0.84$). The effect of seed priming on germination varies with inorganic salt and organic agents (PEG). Germination percentage (GP, 77 and 73%), GR (21.3 and $19.4 %{\cdot}day^{-1}$), and HS (58 and 52 %) was greatest and lowest MGT (4.2 and 4.8 day) when they were primed in 100mM $K_2SO_4$ (${\psi}=-0.45MPa$), and 100mM $KNO_3$ (${\psi}=-0.52MPa$) for 6 day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67% GP, $19.7%{\cdot}day^{-1}\;GR$, 18% HS, and 10.8 day MGT) in $15^{\circ}C$ chamber. Water potential less then -1.2MPa of osmotic solution resulted lower GP, GR and HS and in $K_2SO_4$ and $KNO_3$. However, stepwise treatment of water potential that changed solution as 100mM for 4 D + 300mM for 2 D or 300mM for 4 D + 100mM for 2 D) were not better than single concentration alone i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 PDF

인삼정과 제조과정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and Jung Kwa Solution on Jung Kwa Process)

  • 이가순;김관후;김현호;송미란;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87-593
    • /
    • 2009
  • 당액에 수삼을 넣고 졸이는 횟수에 따라 얻어진 인삼정과 및 정과액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인삼정과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인삼정과는 수삼 8 kg을 2배량의 물 16 kg을 넣어 5분간 삶은 후 삶은 물 8 kg을 제거하고 설탕 10 kg을 넣어서 60분간 졸여서 24시간 당침하는 작업을 5회에 걸쳐 행하였다. 졸임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과와 정과액 모두 수분함량과 pH는 낮아졌고 정과액의 $^{\circ}Brix$는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정과 내 조사포닌 함량은 원료삼의 4배가 증가하였으며 구성사포닌 중 Rf와 Rd의 함량이 많이 증가하여 각각 원료삼의 77배 및 16배가 높아졌으며 기타 검량된 구성사포닌은 감소하였다. 정과액에서도 정과에서와 같은 경향으로 인삼의 사포닌이 용출되어 마지막 정과액(GJS 5)에서 Rf와 Rd 및 조사포닌 함량이 각각 15.05, 3.54 및 61.88 mg/g이었다. 또한 졸임 과정 동안 수분증발에 의하여 정과 및 정과액 모두 총 당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졸이는 동안 glucose와 fructose의 함량도 증가하였다. 정과의 유기산 함량은 당을 첨가하여 졸이기 시작하면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정과액은 졸임 횟수가 증가할수록 malic acid와 citric acid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정과 및 정과액의 색도는 졸임 횟수가 증가할수록 L값은 낮아지고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