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ed duck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47초

천연 염지제를 첨가한 오리훈제의 항산화 활성과 영양적 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smoked duck marinated in natural curing agent)

  • 박연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6호
    • /
    • pp.484-48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estion of whether the addition of natural ingredients (pear fermented solution, celery powder, vitamin C) in curing agents may influence antioxidant activities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smoked duck. Methods: Smoked duck samples with general or natural curing agent containing three additive ingredient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pH, TBARS, and food additives residue (nitrite ion, antioxidant, sodium glutamate). Results: Smoked duck with natural curing agent showed a higher level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smoked duck using general curing agent (p < 0.05). The pH and TBARS of smoked duck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natural curing ingredients compared to those of smoked duck using general curing agent (p < 0.05). The residues of food additives were not detected in smoked duck using natural curing agent.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pear fermented solution, celery powder, and vitamin C in natural duck curing agent may improv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smoked duck and provides health benefits.

해동육과 신선육으로 제조한 훈연 오리 가슴육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y of the smoked breast meat produced with fresh and frozen-thawed duck meat)

  • 이해림;구본진;최송이;성상현;박정훈;이철우;조철훈;정사무엘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2호
    • /
    • pp.131-139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properties of smoked breast meats produced by fresh and frozen-thawed duck meat. Each thirty breast meats from fresh and frozen-thawed duck carcass was used for this study. The yield of smoked breast meat was measured right after curing and smoking of raw duck breast meat. And, th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color, texture, and sensory property of vacuum-packaged smoked breast meats were evaluated during storage at $4^{\circ}C$ for 28 day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yield between smoked breast meats produced by fresh and thawed duck meats (p>0.05). Th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or of smoked breast meat produced by thawed duck mea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those by fresh one throughout storage period (p>0.05). The all texture proper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moked breast meats produced by fresh and thawed duck meats by 14 days of storage (p>0.05). However, on day 21 and 28, the hardness and gumminess of smoked breast meat produced by fresh duck mea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by thawed one (p<0.05). In sensorial property, smoked breast meat produced by thawed duck meat received significantly high scores in color, juiciness, and tenderness on days 0, 14, and 28 and in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on days 0 and 14 compared with those by fresh one (p<0.05).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use of thawed duck meat for producing smoked duck meat product may be not worse than the use of fresh duck meat in quality of smoked duck meat product. In addition, the use of thawed duck meat may be better in sensorial quality of smoked duck meat product than that of fresh one.

Prevalence and Kinetic Behavior of Escherichia coli in Smoked Duck at Changing Temperature

  • Park, Eunyoung;Kim, Yujin;Lee, Yewon;Seo, Yeongeun;Kang, Joohyun;Oh, Hyemin;Kim, Joo-Sung;Yoon, Yoha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04-50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훈제오리 슬라이스에서 Escherichia coli 유통 중 생장 예측을 위한 dynamic model을 개발하였다. E. coli는 2개의 훈제 오리 시료(16.7%) 에서 1.23 log CFU/g검출되었다. 10-30℃ 보관에 따라 E. coli의 𝜇max는 0.05-0.36 log CFU/g/h, LPD는 4.39-1.07h, h0 값은 0.24-0.51을 나타내었다. 개발된 모델의 검증은 15℃, 23℃에서 수행하였다. 모델 검증 결과 RMSE값이 0.130으로 개발된 모델이 다른 온도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E. coli로 개발된 모델은 훈제오리 슬라이스에서 E. coli의 변화하는 온도에 따른 생장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

천연 염지제을 이용한 훈제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moked duck using natural curing agent)

  • 박연옥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45-653
    • /
    • 2016
  • 본 연구는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개발한 천연훈제오리의 품질 특성을 일반훈제오리와 비교하여 합성 염지제를 천연물로 대체 가능한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소비자가 믿고 찾을 수 있는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으로 더 적합한 훈제오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식품첨가물 잔류량, 저장기간 동안 훈제오리의 pH, 미생물량 및 색도변화, 관능평가, 항산화활성 등을 조사하였다. 천연물을 이용하여 개발한 천연훈제오리에서는 아질산나트륨, 산화방지제, 글루타민산나트륨 등의 합성첨가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 기간 동안 두 군 모두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장균군은 발생하지 않았다. 훈제오리의 명도와 황색도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기간 동안 두군 모두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저장 전 기간 동안 일반 훈제오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훈제오리에 대한 기호도 평가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외관, 색, 맛, 후미, 질감, 전체적인 품질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맛이나, 질감, 전체적인 품질에 대한 평가는 저장 기간 내내 유의적으로 천연훈제오리의 평가가 더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천연훈제오리가 일반훈제오리보다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배당침액, 셀러리파우더, 비타민 C를 포함한 천연염지제는 일반훈제오리 염지제를 대신할 수 있으며, 천연물을 첨가하여 개발한 천연훈제오리는 식품첨가물이나 미생물 등이 검출되지 않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일반 소비자가 더 믿고 찾을 수 있는 위생적이고 안전한 건강식품으로써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Studies on the Quality of Restructured Pressed Smoked Duck Steak

  • Huang, Chia-Cherng;Wang, Tzu-Yuan;Huang, Andrew Jeng-Fang;Lin, Shirley Chai-Ch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9호
    • /
    • pp.1316-1320
    • /
    • 2001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pressed smoked duck steak from the breast meat of Cherry Valley ducks. Different levels of isolated soybean protein (ISP) (0, 15 and $30g{\cdot}kg^{-1}$) or carrageenan (5, 10 and $15g{\cdot}kg^{-1}$) were added to manufacture the restructured pressed smoked duck stea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moisture, crude fat, crude protein, cooking loss and water holding capacity of products from all treatments. The panel test scores showed that color, flavor and binding ability of products were considered acceptable. The drip loss in control sliced-produc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roducts containing ISP or carrageenan (p<0.05) during storage at $-18^{\circ}C$ for 12 weeks. The pH valu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alue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of vacuum-packaged product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at $-18^{\circ}C$ for 6 weeks. However, TBA values increased with storage time. The viable bacterial counts were about $10^{3}-10^{4}CFU/g$ during storage at $-18^{\circ}C$ for 12 weeks. The products remained good quality during the storage perio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in Duck Meat Products Available in Korea and the Effect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 Kim, Hyun-Joo;Yong, Hae In;Lee, Hyun Jung;Jung, Samooel;Kwon, Joong-Ho;Heo, Kang Nyung;Jo, Cheor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83-288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count of duck meat and duck meat product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treatment was applied at 0.1, 300, 400, and 500 MPa for 5 min to enhanc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duck meats. The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were in the ranges of 3.53-6.19 and 3.62-6.85 Log CFU/g in raw and smoked duck products, respectively. By DNA sequence analysis, we identified microorganisms responsible for spoilage, with the most common species in the raw and smoked duck products being Aeromonas spp. or Pseudomonas spp.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respectively. HHP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in raw and smoked duck product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HHP treatment may be used to effectively improve the safety of raw and smoked duck meat products.

훈제오리에서 캠필로박터균 생물막 및 Viable But Non-Culturable(VBNC) 상태에서의 행동특성 (Behavior of Campylobacter jejuni Biofilm Cells and Viable But Non-Culturable (VBNC) C. jejuni on Smoked Duck)

  • 조혜진;전혜리;윤기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1041-1048
    • /
    • 2016
  • 본 연구에서 가금류의 주요 병원성 식중독 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훈제오리육을 진공포장 조건에서 10, 15, $24^{\circ}C$에 저장하면서 유통기한 동안 관찰한 미생물의 증식 및 생존 결과 Campylobacter jejuni는 저장기간 이내에 사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almonella Typhimurium과 Listeria monocytogenes는 균주의 성장 속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증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훈제오리의 유통온도는 $10^{\circ}C$이며 유통기한이 약 30일인 것을 고려했을 때, 초기 오염 수준이 Campylobacter 균주에 의한 식중독을 유발하게 되는 균수 500 CFU/g 수준 이하에서는 유통기한 내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낮은 온도에서 저항성이 증가하며 살아있으나 배양은 불가능한 상태인 VBNC 상태의 C. jejuni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조건에서 회복되어 병원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C. jejuni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S. Typhimurium과 L. monocytogenes의 경우 일반적인 유통/보관 온도인 $10^{\circ}C$에서도 증식이 가능하며, 특히 가공품 및 RTE 식품은 적절한 가열처리 없이 소비할 경우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제품 제조 단계에서부터 위생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 jejuni biofilm cells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훈제오리육을 진공포장 하여 일반 유통/보관 온도인 $10^{\circ}C$와 실온, 그리고 일반적으로 C. jejuni가 증식 가능한 온도인 $36^{\circ}C$에서 저장하였으나, C. jejuni biofilm cell은 훈제오리에서는 모든 온도에서 재증식이 불가능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10^{\circ}C$의 저온에서 유도한 VBNC 상태의 C. jejuni를 훈제오리에 인위적으로 오염시키고 혐기적 조건에서 $42^{\circ}C$에 1일간 저장하며 VBNC 상태의 C. jejuni의 재증식 가능성을 분석하였으나, 최적 증식 온도인 $42^{\circ}C$에서도 재증식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biofilm을 형성한 C. jejuni도 VBNC 상태의 C. jejuni는 살아 있으나 훈제오리에서의 증식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훈제오리에서의 C. jejuni의 위험성은 매우 적은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C. jejuni의 경우 매우 적은 양으로도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고 C. jejuni biofilm 및 VBNC의 특성에 따라 잠재적인 위험성을 포함하는 동시에 유통/보관 온도인 냉장 온도에서 더 잘 살아남는다는 점에서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교차오염과 전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울금을 첨가한 오리 훈연육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Smoked Duck Meat Amended with Curcuma longa L. during Storage)

  • 이인옥;노희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8-74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dding graduall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turmeric extract (0, 0.1, 0.2, and 0.4%) to smoked duck meat on its chromaticity, antibiosis, and antiseptic degree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number of bacteria, lipid rancidity, sensory evaluation, and preference. The brightness, red color intensity and yellow color intensity changed significantly when 0.2% turmeric extract was added and the sodium nitrate concentration was reduced. Additionally, no antibiosis or antiseptic activitie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were observed in any turmeric treated samples, whereas the number of bacteria was increased in control samples compared to turmeric treated samples after 10 days of preservation. The TBARS value decreased during storage when turmeric extract concentration increased, resulting in positive sensory evaluation of its color, succulence, taste and hardness. In the preference test, the surface and meat color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urmeric extracts increased. Hardness was highest at 0.2%, whereas taste was highest between 0.2 and 0.4%. The overall preference test was highest for the 0.2% extract samples. Overa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dition of 0.2% turmeric to smoked duck meat will lead to better nutrition, function, and overall preference.

염지제가 훈연오리의 육색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ring Additives on Color Property of Smoked Duck Meat)

  • 강근호;조수현;성필남;박경미;강선문;박범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9-185
    • /
    • 2013
  • 본 연구는 다양한 염지제가 훈연오리의 육색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염지과정 없이 훈연 가열만 실시하였으며, 처리구는 소금 2.43%(T1), 소금 2.43% + 인산염 0.49%(T2), 소금 2.43% + 인산염 0.49% + 아질산염 0.002%(T3), 상업용 오리시즈닝 4.76%(T4) 및 소금 1.47% + 인산염 0.24% + L-ascorbic acid 0.2%(T5) 혼합처리 후 훈연 가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계적인 측정에 의한 육색의 경우 적색도는 훈연오리의 가슴살과 다리살 모두 T4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반면, 황색도에 있어서는 L-ascorbic acid를 혼합한 T5 처리구가 훈연오리의 가슴살과 다리살 모두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염지육색소에 있어서 훈연오리의 가슴살은 L-ascorbic acid를 혼합한 T5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으며, 훈연오리의 다리살에서는 T3 및 T5의 염지육색소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총 힘색소 함량에 있어서는 훈연오리의 가슴살은 대조구 및 T5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p<0.05)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 의한 육색은 아질산염을 처리한 T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p<0.05) 붉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훈연 오리고기 제조 시 아질산염 또는 발색제를 사용하지 않고, L-ascorbic acid만 첨가하더라도 훈연오리의 분홍색 발현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훈제식육식품 중 벤조피렌 함량 분석 및 안전성 평가 (Analysis of Benzo[a]pyren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 조현경;김미혜;박성국;신한승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60-965
    • /
    • 2011
  • 훈제식육식품을 통한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의 대표독성물질인 benzo[a]pyrene의 위해도를 판단하기위해 시중에 유통되는 69개의 훈제식육식품을 통한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사용된 훈제식육식품은 훈제 치킨, 오리, 칠면조, 돼지 등이며 benzo[a]pyrene의 검출범위는 불검출-2.87 ${\mu}g$/kg이었고 평균 농도는 0.42 ${\mu}g$/kg로 나타났다.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참고하여 만성1일인체노출량을 평가한 결과 훈제식육식품을 통한 노출량은 총 0.187 ng/kg B.W./d로 나타났다. 위해도 산출을 위하여 benzo[a]pyrene의 위상부암에 대한 BMDL값인 0.31-0.74 mg/kg B.W./d와 만성1일인체노출량을 이용하여 MOE를 구한결과 MOE는 1,657,754-3,957,219 수준으로 나타났다. Benzo[a]pyrene의 오염도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시하는 기준규격인 5 ${\mu}g$/kg 이하로 나타나 훈제식육식품을 통한 benzo[a]pyrene의 노출정도는 안전한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