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s performanc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중소벤처기업의 전략지향성이 기업가정신에 따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ategic Orientations on Company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in Small-Medium Sized and Ventures Manufacturing Firms)

  • 정철호;정덕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68-479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조직성과를 달성하는데 있어 전략지향성의 선행변수와 기업가정신을 조절변수로 하여 이들이 기업성과와의 구조적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중소벤처기업 중에 수출실적이 있는 205개사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한 결과 첫째,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은 각각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고객지향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에 따라 전략지향성이 기업성과로 연결되는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고객지향성보다는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조직의 성과에 매우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중소벤처 제조기업들은 경쟁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을 더욱 강조하고 이와 관련된 기업가정신의 조절변수의 작용을 이해함으로써 더 높은 기업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 재검토 : 중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Reexamining the Performanc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 A Study on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Ventures)

  • 윤현중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5호
    • /
    • pp.103-114
    • /
    • 2014
  • 기업가적 지향성은 신생기업의 사업 성공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성향이라고 알려져 있다. 기업가적 지향성은 시장기회를 포착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에 자원이 부족하고 조직 성장을 위한 수단들을 모색하기 쉽지 않은 중소 벤처기업들이 고려할 수 있는 좋은 대안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렇지만 다양한 경영성과를 대상으로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심도 있게 비교하고 있는 실증연구들은 제한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존 실증연구들을 검토하여 그 동안 논의가 제한적이었던 두 가지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재검토하였다. 첫째, 기업가적 지향성의 선형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비선형적인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둘째,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는 방식을 달리 하더라도 분석결과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지를 검토하였다. 한국의 1,497개 중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한 논문의 분석결과, 매출액 증가율과 같은 재무적 성과를 경영성과로 한 기업가적 지향성의 비선형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술개발 및 제품개발 성과와 같은 혁신성과에 대한 기업가적 지향성의 비선형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 패턴은 기업가적 지향성의 측정 방법을 달리하더라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 한계 및 미래의 연구 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중소벤처기업 정책지원의 인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 끈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and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s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ial Persistence)

  • 김영진;양동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6호
    • /
    • pp.105-116
    • /
    • 2023
  •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등 정책지원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많이 있으나 정책지원에 대한 기업가의 인식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별로 없다. 또한, 기업가적 목표를 달성하고 지속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 끈기(entrepreneurial persistence)와 기업성과에 관한 국내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지원에 대한 기업가의 인식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가 끈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인식의 중요성을 밝히고, 기업가 끈기에 관한 연구를 심화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 정책지원에 대한 기업가의 인식 및 기업가정신을 독립변수로 구성하였으며, 기업가 끈기를 매개 변수로,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자료는 중소벤처기업의 CEO 및 임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설문 응답이 누락 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205부의 설문자료를 가설검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벤처기업 정책지원의 인식 및 기업가정신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기업가 끈기는 중소벤처기업 정책지원의 인식 및 기업가정신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는 정책자금지원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인 데 비하여,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기업가들의 인식이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국내에는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인식과 성과와의 관계 그리고, 인식에 대한 중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를 한다. 둘째, 국내 선행연구가 별로 없는 기업가 끈기를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기업가 끈기가 중소벤처기업 정책지원의 인식 및 기업가정신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점을 검증함으로써 기업가 끈기의 중요성을 밝히고 그에 관한 연구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기여한다. 본 연구의 실무적인 시사점은 중소벤처기업의 성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책당국은 예산 및 지원제도 등 정책지원의 확대뿐만 아니라 그러한 정책지원을 기업가에게 홍보하고 공지하는 시스템적인 접근 등을 통해서 기업가의 인식을 제고해야 한다는 점이다.

  • PDF

중소벤처기업성과와 국내 지원기관들의 평가지표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Indexes and Firms' Performance: An Empirical Study on Venture Firms in Korea)

  • 최종연;양동우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812-841
    • /
    • 2006
  • 본 연구는 중소벤처평가지표의 개선을 위해 t-test, 요인분석, 로짓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평가지표의 판별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벤처평가지표의 분류정확도가 93%를 보이고 있어 기존 재무비율을 이용한 선행연구의 예측력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상적으로 중소벤처지원기관의 평가지표는 기술성지표, 사업성지표, 시장성지표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연구의 요인분석 결과 6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보이고 있다. 셋째, 중소벤처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기존 연구에서도 주장된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을 나타내는 경영자기술역량, 경영자경영역량 그리고 사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의 비중(영향정도)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D Scoreboard에 의한 연구개발투자와 성과의 연관성 분석

  • 조성표;이연희;박선영;배정희
    • 기술혁신연구
    • /
    • 제10권1호
    • /
    • pp.98-123
    • /
    • 2002
  • This study develops a Korean R&D Scoreboard which has originated from the R&D Scoreboard in United Kingdom. The Scoreboard contains details of the R&D investment, sales, growth, profits and employee numbers for Korean companies which are extracted from company annual reports and key ratios calculated, with some movements over time. Companies are classified by the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The Scoreboard contains 190 companies which consist of 100 largest companies and 30 middle-or small-sized firms listed in Korea Stock Exchange (KSE), and 30 ventures and 30 other firms listed in KOSDAQ. The overall company R&D intensity (R&D as a percentage of sales) is 2.1%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average of 4.2%. Korea has an unusually large R&D percentage of sales in IT hardware (4.9%) and telecommunication (3.7%). R&D intensi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pany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profitability, sales growth, productivity and market value. For largest companies listed in KSE and ventures listed in KOSDAQ, the ratio of operating profit to sales is greater for high R&D intensity companies. Sales growth is in proportion to R&D intensity for all companies. Plots of value added per employee or sales per employee vs R&D per employee rise together for the sectors studied, especially for the chemical sectors and automobile sectors, demonstrating a correlation with productivity. The average market value of high R&D companies in the KSE has risen more than 1.6 times that of the KOSPI 200 index. Given the correlation between R&D intensity and company performance and given that R&D is a smaller percentage of surplus (profits plus R&D) than international level (both overall and in several sectors), the challenges facing Korean companies are to maintain the leading position in IT hardware and telecommunication, and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R&D in many medium-intensive R&D sectors where Korea has an average intensity well below international or US levels.

  • PDF

한국 벤처기업의 기업가정신과 기업내부상황특성이 해외진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Study on the Corporate In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 Motivation and Performance for Overseas Expansion of Korean Ventures)

  • 임재오;윤현덕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4호
    • /
    • pp.87-100
    • /
    • 2012
  • 정부 산업정책의 전략적 지원단위인 벤처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해외진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경영환경 하에서,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해외진출과 이에 따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내부상황특성을 규명하고, 기업가정신과 해외진출동기 및 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내부상황특성의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내부상황특성으로 기업업력, 조직규모, 해외경험 및 조직구조로 대변된 조직자원과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으로 구성된 기업가정신을 설정하였다. 2010 벤처기업 정밀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목적을 충족하는 기업을 층화표본추출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개별기업으로부터 회수된 총 289개의 응답데이터를 다중회귀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내부상황특성 중 기업업력과 조직규모는 기업가정신과 해외진출동기 간의 영향관계에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진출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여주었다. 해외경험과 조직구조는 해외진출동기 및 진출성과 모두에 대하여 기업가정신과 결합할 경우 유의한 조절효과가 형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조직의 상황특성과 기업가정신으로 대변되는 내부자원특성이 벤처기업의 해외진출결정에 분명한 영향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진출성과를 달성하는 데에 유효성을 갖고 있음을 의미하며, 내부상황특성과 기업가정신이 적절히 결합될 경우 효과적인 해외진출과 우수한 진출성과가 창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을 포함하여, 벤처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시키기 위한 경영활동방향과 성과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기업가적 지향성에 대한 이론적 동향 연구 (A Theoretical Review of Research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 윤현중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45-62
    • /
    • 2015
  • 기업가적 지향성의 개념은 "시장기회에 직면한 기업이 혁신적이고 위험을 감수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려는 경향성"으로 파악되고 있다. 기업가적 지향성에 대한 연구는 지난 30년 동안 많은 논의를 통하여 개념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 현재 독자적인 이론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기업가적 지향성에 대한 초기 연구는 경영성과와 연계되는 메커니즘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관계를 촉진하거나 혹은 제약하는 상황적인 조건들에 주목하여 다양한 맥락에서 기업가적 지향성이 경영성과를 증대시키는 메커니즘을 파악해 오고 있다. 하지만 비록 기업가적 지향성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논의들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적 지향성의 효과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기업가적 지향성과 관련된 주요 실증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분류하고 종합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선 기업가적 지향성의 개념을 처음 제안한 Miller(1983)의 최초 연구부터 이를 회고한 Miller(2011)의 연구에 이르기까지 창업론 분야의 주요 저널에 게재된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보고하고 있는 분석결과들을 종합하여 기업가적 지향성의 '주효과'와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를 소개하고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매개효과' 연구를 정리하고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환경특성과 조직특성이라는 주요 상황적 맥락을 기반으로,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조절하는 주요 '조절효과' 연구들을 정리하고 종합하였다. 마지막으로, Miller(2011)의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론적, 방법론적인 제안을 기반으로 기존 연구들에서 밝혀진 바는 무엇이며,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