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ice

검색결과 985건 처리시간 0.022초

스핀 라벨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사람 뇌에서의 뇌 관류영상의 현실적 문제점을 향상 시키는 방법 연구 (Practical Considerations of Arterial Spin Labeling MRI for Measuring the Multi-slice Perfusion in the Human Brain)

  • 장건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1호
    • /
    • pp.35-41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침습적 동맥스핀라벨링(arterial spin labeling)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다편(multislice) 뇌 관류영상(perfusion-weighted Images)을 얻을 수 있는 최적화 방법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인자를 최적화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첫째, 뇌로 흘러 들어오는 혈액을 최적으로 라벨링할 수 있는 펄스를 만드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900도의 각을 이루는 반전펄스(adiabatic hyperbolic secant Inversion pulse)는 반전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반전을 이루는 형태가 직각에 가깝게 할 수 있는 최적이었다. 둘째, 영상을 얻고 난 후에 계속하여 남아 있는 자화(residual magnetization)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포화 펄스(saturation pulses)와 자화를 손상시키는 자장(speller gradients)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임을 알았다. 마지막으로, 라벨링하는 영역과 영상을 얻는 영역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두 영역 간의 최소 거리는 약 20 mm 정도가 최적임을 발견하였다. 위에서 얻은 최적화된 인자들을 바탕으로 13명의 정상인의 뇌에서 관류 영상을 얻은 결과 매우 좋은 대조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선지황(鮮地黃)이 PC12 세포 및 뇌해마 신경세포 손상에 미치는 영향 (Neuroprotective Effects of Rehmanniae Radix on PC12 Cells and Hippocampal Neural Cells)

  • 조재헌;신정원;심은섭;김범회;손영주;정혁상;손낙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401-1406
    • /
    • 2007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neuroprotective effects Rehmanniae Radix on PC12 cells and hippocampal neural cells. PC12 cells were damage by $H_2O_2$ and nitric oxide and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were damaged by oxygen-glucose deprivation. Then methanol extract of Rehmanniae Radix was treated with 0.5, 5, and $50\;{\mu}g/ml$ in culture media. Effects of Rehmanniae Radix were evaluated with cell viability assay, PI-staining, and TUNEL-labeling. Treatment of Rehmanniae Radix ($with\;5\;and\;50\;{\mu}g/ml$) produced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of PC12 cells damaged by $H_2O_2$ and by SNP-induced nitric oxide. Treatment of Rehmanniae Radix produced significant decrease of PI-uptake % in CA1 ($with\;5\;and\;50\;{\mu}g/ml$) and DG ($with\;50\;{\mu}g/ml$) regions of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damaged by oxygen-glucose deprivation. Moreover, treatment of Rehmanniae Radix produced significant decrease of TUNEL- positive cells in CA1 ($with\;5\;and\;50\;{\mu}g/ml$) and DG ($with\;50\;{\mu}g/ml$) regions of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damaged by oxygen-glucose depriv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hanol extract of Rehmanniae Radix has neuroprotective effects on PC12 cells damaged by oxidative stress and o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damaged by oxygen-glucose deprivation.

한국형 슬라이스 우육포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 평가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Slice Beef Jerky)

  • 김현욱;이은경;한두정;최지훈;김천제;백현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2-46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형 슬라이스 육포를 실온조건과 가속조건 하에서 저장하면서 육포의 형태와 조미한 양념과 환경조건에 따른 육포의 미생물 균수의 변화와 이화학적 품질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육포 저장 중의 일반세균수는 실온조건 저장과 가속조건 저장 모두에서 큰 변화가 없었고, 대장균군과 B. ce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기간 동안의 이화학적 특성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의 결과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속조건에서 종합적인 기호도는 육포의 상품성이 없어지는 시점을 5라고 했을 경우 28일째에 5.3의 값을 나타내었다. 실온조건저장의 경우 종합적인 기호도는 6.3정도로 우수한 관능검사 성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새롭게 개발한 한국형 슬라이스 육포는 미생물적 안전성이 우수하고, 이화학적 품질과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며,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육포라고 판단된다.

산채의 건조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Wild Vegetables)

  • 임종환;황금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58-364
    • /
    • 1995
  • 건조산채의 안전저장 수분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네 가지 채소 즉, 호박고지, 고구마줄기, 토란대, 및 도라지의 건조특성과 등온흡습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채소의 건조곡선은 초기의 평형조절기간과 항률건조기 및 감률건조기간의 3단계로 뚜렷하게 구분이 되었으며, 감출건조기는 종류에 따라 다시 $2{\sim}3$단계로 구분되었다. 감률건조곡선은 섬유질상 식품의 건조 특징인 위로 볼록한 형태를 보였으며, 임계수분함량은 호박고지가 $8.29{\sim}9.75$, 고구마줄기가 $10.40{\sim}15.08$ 토란대가 $9.51{\sim}14.52$, 도라지가 $3.29{\sim}3.56g\;H_2O/g$ dry solids였다. 감률건조기간 중의 건조속도에 대한 활성화에너지값은 호박고지가 2.30, 고구마줄기가 2.11, 토란대가 4.97, 도라지가 2.80 kcal/mol이었다. 각 채소의 단분자층 수분함량값은 건조시의 임계수분함량값과 유사하였는데, 호박고지가 $10.05{\sim}13.59$, 고구마줄기가 $9.49{\sim}12.69$, 토란대가 $9.50{\sim}16.48$, 도라지가 $5.01{\sim}5.44g\;H_2O/g$ dry solids였다. 결과적으로 이들 채소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해서는 수분함량을 단분자층 수분함량 이하로 또는 임계수분함량 이하로 건조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굴을 이용한 조미 건조포의 개발 (Development of Seasoned and Dried Oyster Slice)

  • 허민수;박창경;지성준;민관희;김민정;김은정;강경태;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7-92
    • /
    • 2007
  • 남해안 일대에서 다량 생산되고 있는 굴의 소비 촉진을 위하여 조미 굴포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굴 첨가비율에 따른 조미 굴포의 일반성분, 색조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조미 굴포의 제조를 위한 굴의 최적 첨가비율은 30%로 판단되었다. 최적 조건에서 제조한 조미 굴포는 조미 수리미포에 비하여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며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및 threonine 등이었다. 또한, 조미 굴포의 칼슘 및 인 함량은 조미 수리미포에 비해 높았으며, 조미 굴포의 유리아미노산의 총함량 및 taste value는 각각 1,576.8 mg/100 g 및 226.05이었고 맛의 지대하게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이었다.

초목을 포함한 도로 환경에서 주행 가능 영역 검출을 위한 필터링 기반 방법 및 하드웨어 구조 (Filtering-Based Method and Hardware Architecture for Drivable Area Detection in Road Environment Including Vegetation)

  • 김영현;하지석;최철호;문병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1호
    • /
    • pp.51-58
    • /
    • 2022
  •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주행 가능 영역 검출은 차량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행 가능 영역 검출은 운전자의 안전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실시간 동작과 높은 정확도 성능을 요구한다.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하기 위해, 영상의 각 행에서 도로 시차 값을 계산하여 주행 가능 영역을 검출하는 V-시차 기반 방법이 폭넓게 사용된다. 그러나 V-시차 기반 방법은 시차 값이 정확하지 않거나 객체의 시차 값이 도로의 시차 값과 동일한 경우, 도로가 아닌 영역을 도로로 오검출할 수 있다. 또한, 고속도로 및 시골길과 같이, 초목을 포함한 도로 환경에서 초목의 시차는 도로의 시차 특성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초목 영역이 주행 가능 영역으로 오검출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V-시차의 특성으로 인한 오검출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초목 영역을 포함한 도로 환경에서 높은 정확도를 갖는 주행 가능 영역 검출 방법 및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KITTI road dataset의 289장 영상을 사용하였을 때, 제안하는 방법은 90.12%의 정확도와 97.96%의 재현율을 보인다. 또한, 제안하는 하드웨어 구조를 FPGA 플랫폼에 구현하였을 때, 제안하는 하드웨어 구조는 8925개의 slice registers와 7066개의 slice LUTs를 사용한다.

Diagnostic Yield of Diffusion-Weighte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Patients with Transient Global Amnes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Su Jin Lim;Minjae Kim;Chong Hyun Suh;Sang Yeong Kim;Woo Hyun Shim;Sang Joon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10호
    • /
    • pp.1680-1689
    • /
    • 202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yield of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in patients with transient global amnesia (TGA) and identify significant parameters affecting diagnostic yield. Materials and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of the MEDLINE and EMBASE databases was conducted to identify studies that assessed the diagnostic yield of DWI in patients with TGA. The pooled diagnostic yield of DWI in patients with TGA was calculated using the DerSimonian-Laird random-effects model. Subgroup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of slice thickness, magnetic field strength, and interval between symptom onset and DWI. Results: Twenty-two original articles (1732 patients) were included. The pooled incidence of right, left, and bilateral hippocampal lesions was 37% (95% confidence interval [CI], 30-44%), 42% (95% CI, 39-46%), and 25% (95% CI, 20-30%) of all lesions, respectively. The pooled diagnostic yield of DWI in patients with TGA was 39% (95% CI, 27-52%). The Higgins I2 statistic showed significant heterogeneity (I2 = 95%). DWI with a slice thickness ≤ 3 mm showed a higher diagnostic yield than DWI with a slice thickness > 3 mm (pooled diagnostic yield: 63% [95% CI, 53-72%] vs. 26% [95% CI, 16-40%], p < 0.01). DWI performed at an interval between 24 and 96 hours after symptom onset showed a higher diagnostic yield (68% [95% CI, 57-78%], p < 0.01) than DWI performed within 24 hours (16% [95% CI, 7-34%]) or later than 96 hours (15% [95% CI, 8-26%]).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iagnostic yield between DWI performed using 3T vs. 1.5T (pooled diagnostic yield, 31% [95% CI, 25-38%] vs. 24% [95% CI, 14-37%], p = 0.31). Conclusion: The pooled diagnostic yield of DWI in TGA patients was 39%. DWI obtained with a slice thickness ≤ 3 mm or an interval between symptom onset and DWI of > 24 to 96 hours could increase the diagnostic yield.

Time-varying Network Model of Conveyor Systems

  • Kang, Maing-Kyu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29
    • /
    • 1982
  • This paper presents the network models for general dynamic conveyor system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ransporting and storing materials between work stations over time. With an appropriate choice of time-slice the conveyor system can be represented exactly as a dynamic flow network which can be solved by an efficient pure network algorith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