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quality score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2초

An Exploratory Study of the Effect of Ongyeong-tang Administration on Insomnia Disorder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ease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Study

  • Seungwon Kwon;Han-Gyul Lee;Woo-Sang Jung;Sang-Kwan Moon;Ki-Ho Cho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122-1133
    • /
    • 2022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Ongyeong-tang (OGT) in the treatment of insomnia in patients afflicted with neurological diseases, according to the medical records of one medical institution. OGT is a herbal prescription that originates from the "Synopsis of Prescriptions of the Golden Chamber" and has been used for menopausal symptoms, uterine diseases, skin diseases, insomnia, and other neuropsychiatric symptoms. Methods: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visited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January 1, 2021 to June 30, 2022, received outpatient or inpatient treatment, and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used in this study. Results: Twenty-four patients satisfied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included.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Korean version (PSQI-K) score was used to evaluate the outcom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After an average of 14.42±9.2 days of OGT extract intake, 20 patients (83.3%) experienced improvement. The remaining four (16.7%) had no change in their symptoms, but none demonstrated worsening of symptoms. The total PSQI-K sco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rom 13.08±4.54 to 10.42±4.58 (p<0.001). Sleep quality, sleep duration, sleep disturbance, use of sleeping medications, and daytime dysfunction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Conclusions: Administration of OGT extract may be a relatively safe and effective therapeutic option for insomnia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eases.

급성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양심탕가미방(養心湯加味方) 치험 3례 (Acute Stress Disorder Patients Treated with Yanshimtang-Gamibang: Three Case Reports)

  • 임수연;문영주;이지연;전현아;고영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5-304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was to propose Yangshimtang-Gamibang on three patients diagnosed with acute stress disorder. Methods: Yangshimtang-Gamibang was treated on three patients diagnosed with acute stress disorder after experiencing a traffic accident. The effects of Yangshimtang-Gamibang were evaluated through BAI (Beck Anxiety Inventory), NRS (Numerical rating scale), NDI (Neck Disability Index), ODI (Oswestry Disability Index), respectively, and quality of sleep was assessed with total sleep time and number of times waking up during sleep. Results: After the treatment,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the value of BAI score, a measurement of anxiety, as well as the value of NRS, NDI, ODI, a measure of pain. Also, the sleep quality of three patients improved.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Yangshimtang-Gamibang may have an effect on people with acute stress disorder who recently experienced a traffic accident.

운동 강도별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비교 (Effect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in Sleep Disorder)

  • 김동현;이재홍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5-92
    • /
    • 201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 강도에 따른 지속적인 운동습관이 수면장애 성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 수면장애에 효과적인 운동 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K시에 거주하는 수면장애를 가진 30, 40대 성인 남성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집단은 고강도 운동집단 30명, 중강도 운동집단 30명, 저강도 운동집단 30명으로 구성하였다. 세 집단의 총 수면지수와 멜라토닌 농도의 비교를 통하여 수면장애의 운동 강도별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론 : 수면장애의 운동 강도별 운동을 수행한 결과, 운동 수행 전, 후의 총 수면지수에서 고강도와 중강도의 운동이 유의성이 있었지만 수면장애에서는 중강도 운동이 효과적이었고, 운동수행 전, 후의 멜라토닌 농도 변화에서도 중강도 운동이 효과적이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론은 성인의 수면장애는 지속적인 운동이 효과가 있지만 저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보다는 중강도 운동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간호대학생의 우울, 불안, 수면의 질이 주간과다졸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Quality of Sleep on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nursing students)

  • 이은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48-156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 불안, 수면의 질과 주간과다졸림의 정도를 확인하고, 주간과다졸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중재방안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13명으로, 2019년 5월 20일부터 5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2 검정,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주간과다졸림 평균 점수는 8.95(±4.56)점이었고 주간과다졸림군은 40.8%이었다. 대상자의 우울 평균 점수는 10.05(±7.85)점, 상태불안 평균점수는 46.09(±9.50)점, 특성불안 평균점수는 46.47(±9.93)점, 수면의 질 평균점수는 6.51(±2.95)점)이었다. 주간과다졸림 유무에 따라 대상자의 우울(t=1.955, p=.024), 상태불안(t=5.446, p<.001), 특성불안(t=1.716, p=.007), 수면의 질(t=2.168, p<.001)의 평균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간과다졸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상태불안, 수면의 질로 나타났으며, 주간과다졸림에 대한 상태불안의 오즈비는 1.04(95% Confidence Interval=1.01-1.08), 수면의 질은 1.16(95% Confidence Interval=1.04-1.29)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주간과다 졸림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주간과다졸림을 줄이기 위해 불안완화를 위한 중재방안마련과 수면의 질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알코올 의존 환자의 수면 장애와 하지불안증후군 (Sleep Disorders and Restless Legs Syndrome in Alcohol Dependence Patients)

  • 이문인;정홍주;김한석;황인복;신재정;강상범;윤우상;김상훈
    • 수면정신생리
    • /
    • 제17권1호
    • /
    • pp.16-20
    • /
    • 2010
  • 1)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불면은 68.6%의 환자들이 호소하고 있는 중요한 치료적 목표 중 하나이다. 2)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의 불면과 관련된 중요한 원인은 RLS(38.4%)와 이와 흔히 동반되는 PLMD(34.9%)였다. 3) 지속되는 RLS 증상은 환자의 수면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며, 불안과 같은 정서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이에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수면관련 장애들에 대한 진단적 고려와 적극적인 치료적인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다.

  • PDF

불면증 환자의 수면인식과 객관적, 주관적 수면변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Association of Sleep Perception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Sleep Variables in Insomnia Patients)

  • 윤가희;오성민;서민철;이미현;윤소영;이유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28권2호
    • /
    • pp.70-77
    • /
    • 2021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불면증 환자의 주관적 수면인식과 관련 있는 임상적, 객관적 요인들을 알아보고 임상에서 불면증 환자의 이해와 평가 및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방 법 : 109명의 불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 결과와 자가보고 설문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주관적 수면인식은 아침자가보고 설문지의 주관적 총 수면시간(subjective total sleep time, subjective TST), 입면 잠복시간(subjective sleep onset time; subjective SOL), 각성횟수, 아침 개운함 정도로 측정하였으며, 주관적-객관적 수면차이를 계산하였다. 임상적 특징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Epworth Sleepiness Scale (ESS)를 측정하였다. 변수들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09명의 불면증 대상자(남성 = 72명, 나이 43.49 ± 15.32세)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총 수면시간(subjective TST)은 수면다원검사에서의 입면 후 각성시간(wake after sleep onset, WASO) (p < 0.001), N1 수면(p = 0.039), PSQI (p < 0.001), BDI (p = 0.014)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면차이는 PSQI (p = 0.018)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아침 개운함 정도는 PSQI (p = 0.019), BDI (p < 0.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불면증 환자에서 주관적 수면인식은 수면다원검사의 입면 후 각성시간(WASO), N1 수면과 관련성이 있었으며, 우울감과 평소 수면의 질과 관련성이 있었다. 불면증 환자에서 다양한 객관적 수면변수, 평소 수면의 질 및 우울감이 주관적 수면인식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고려하여 환자를 평가 및 치료해야 하겠다.

요부 안정화 운동이 만성요통을 가진 중년여성의 요통, 체력, 수면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Back Pain, Physical Fitness, Sleep,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with Chronic Back Pain)

  • 송라윤;안숙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69-279
    • /
    • 2008
  • Purpose: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back pain, physical fitness, sleep,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who have chronic back pain. Methods: With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18 subjects who have had more than 6 months of back pain were recruited by convenience sampling in D metropolitan area.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as based on Tai Chi for back pain program developed by Lam(2003). This program was mainly focusing on strengthening lumbar stabilizing muscle for one hour per session, twice a week for 20 weeks. Degree of back pain, back pain disability, sleep,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at three time points(pretest, 12 weeks, and 20 weeks) by a structured study questionnaire. Physical fitness variables including waist flexibility, mobility, and back muscle strength were measured three times at health promotion center located in the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peated measures of ANOVA. Results: Mean age of subjects was 52 years(SD = 6.4). Most of them(90%) had suffered from back pain more than one year and 67% was taking medicine to relieve their back pain. Results showed that back pain score and disability score were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variables, however, waist flexibility(F = 3.50, p = .04) and mobility(F = 3.31, p = .04) were improved after the exercise. Quality of sleep(F = 4.48, p = .03) was improved gradually and depression scores were also decreased(F = 3.12, p = .05) after the exercise. Conclusion: This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as not able to reduce chronic back pain, but could improve physical fitness and psycho-social variables for community dwelling women who have chronic back pain. Further study is needed to replicate this exercise with control group to confirm the positive effect.

  • PDF

디지탈 수면다원검사 시스템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ement of Digital Polysomnograph System)

  • 박해정;박광석;정도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13
    • /
    • 1996
  • We have developed the digital polysomnograph system to enhance the manual sleep study. This system is composed of host PC and target board. The host computer is IBM-PC Pentium 133 MHz and the target board is PC31 (processor type: TMS320C31). These two Processo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dualport RAM. Target board acquire 16 channel sleep signals from the Polysomnographic system (GRASS model 78, USA) and digitize them. We used high resolution monitor$(1600{\times}1280)$ to simulate the paper-recording quality of polysomnographic signal. We also implemented the GUI based polysomnographic staging program on the windows environment. Clinicians can score the sleep stage, and edit and mark the event efficiently. Finally it can support making patient database.

  • PDF

고등학생 청소년들의 수면과 자살위험요인 (Sleep and Suicidal Risk Factor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정자현;장용이;이해우;심현보;최진숙
    • 수면정신생리
    • /
    • 제20권1호
    • /
    • pp.22-30
    • /
    • 2013
  • 목 적: 수면 문제는 지속적으로 성인의 자살 위험 요인으로 보고되어왔고 최근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도 그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과거의 자살 행동 유무에 따라 대상군을 분류하여 이들 사이의 자살위험요인과 수면양상을 비교하고 자살위험요인으로써의 수면의 가능성을 평가해 보았다. 방 법: 고등학생 561명(남 271명, 여 290명)을 대상으로 자살위험행동 체크리스트,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y-Depression(CES-D),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불안, 공격성 하위척도,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가 시행되었다. 결 과: 46명(8.1%)이 자살시도 목적으로 자기 위해 행동을 한 경험이 있었고, 181명(32.4%)은 자살사고 경험만을 보고했다. 334명(59.5%)은 과거 자살위험행동(사고, 시도)을 보이지 않았다. 자살 위험군은 학교 폭력, 물질남용, 인터넷 중독, CES-D, SCL-90-R, PSQI에서 비자살 위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자살위험행동은 우울, 스트레스와 상관성을 보였고, PSQI에서는 수면 잠복기, 주간기능장애에서 상관성을 보였다. 일원분산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에서는 자살 시도군에서 수면 잠복기의 연장, PSQI 지수의 증가가 가장 심하게 관찰되었다. 결 론: 수면문제는 청소년군의 자살위험행동과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 특히 수면 잠복기, 주간기능장애가 자살위험행동의 중요한 인자일 것으로 여겨진다. 추후 부모, 교사, 의료인들에 의한 청소년의 수면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관리를 권장하는 바이다.

조혈모세포 이식환자의 입원 후 수면의 질과 수면양상의 변화 (Sleep Quality and Sleep Patterns of Patients Treated by the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최소은;박혜령;박호란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1호
    • /
    • pp.37-44
    • /
    • 2005
  • 목적: 조혈모세포이식환자의 입원 후 수면양상의 변화 및 수면장애를 파악함으로써,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수면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방법: 서울 C대학병원에 2002년 8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조혈모세포이식를 위해 입원한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PSQI와 수면양상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원전과 입원 후의 PSQI 차이는 paired t-test로, 입원시와 퇴원시의 수면양상의 변화는 카이검정과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입원 후 한 달 동안 PSQI점수는 11.8점으로 입원 전 한달 동안의 5.3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11.41, P=0.0000). 7개의 항목 즉 수면의 질, 수면지연, 수면기간, 수면의 효율성, 수면장애, 수면제 복용, 일상생활의 장애 모두에서 입원 후 한달 동안의 PSQI점수는 입원 전 한달 동안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입원시와 퇴원시의 수면양상을 살펴보면 취침시각,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 기상시각, 총 수면시간, 낮잠 시간, 밤에 자다 깨는 횟수, 수면제 사용 횟수, 잠이 안 오면 하는 일, 수면을 취할 수 없는 이유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조혈모세포이식환자는 입원 후 PSQI에 의한 수면의 질 점수가 입원 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입원기간동안 수면에 어려움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수면양상도 입원시에 비해 퇴원시 취침 시간,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 기상시각, 총 수면시간, 낮잠시간, 밤에 자다 깨는 횟수, 수면제사용횟수, 잠이 안 오면 하는 일, 수면을 취할 수 없는 이유의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재형 47명(17.0%), 가정형 34명(12.3%)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입원환자 가족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 및 요구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이고 다양한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호스피스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행해야 할 것이다.'(10면)이나, 비참석가족들은 '외로움(7명)', '경제적 문제/역할수행상의 어려움'(7명)의 빈도였다. 대처방법에서는, '영적 승화'(13명), '일상생활에의 몰두'(10명), '애도과정에의 몰입(계속 슬퍼함)'(3명)으로 응답하였다. 병원으로부터 사별가족모임의 초대장을 받았을 때의 느낌에 대해서는 '반가움과 고마움'(21명), '슬픔'(4명), '괴로움'(4명), 무응답(11명)이었다. 비 참석 가족들은 '반가움과 고마움'(4명)이었다. 사별가족 모임 참석에 대한 망설임의 유무와 이유에 대해서는, '망설이지 않았다'(34명)가 '망설였다'(6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별가족모임에 참석한 후의 소감, 개선사항, 아쉬운 점에 대한 질문에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사별가족에 대한 배려와 관심에 대해 감사한다.'라는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고, '고인에 대한 회상을 할 수 있는 자리여서 좋았다.' '사별가족모임이 일년에 한 번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있었으면 한다.', '한편은 슬프고 한편은 기쁘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사별 후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해 참석가족은, '우울감'(10명), '외로움'(7명)의 빈도가 높았고, '그리움'(1명), '경제적/역할상 어려움'(4명), 무응답(6명)으로, '우울감'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