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pattern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의 의과대학생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Mood and Behavior in Korean Medical Students)

  • 김성재;이헌정;최현석;정현강;김봉주;김주연;이영우;조동혁;이민수;조숙행;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2호
    • /
    • pp.95-99
    • /
    • 2004
  • 목 적:계절성 정동장애에 대한 연구는 북미, 유럽과 아시아의 일본과 중국 등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었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보고된 적이 없다. 이 연구는 한국의 의과대학생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의 빈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서울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중 총 2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계절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계절성 양상 평가 설문지(SPAQ)의 한국어 번역판을 이용하였고, 계절성 정동장애(SAD)와 아임상성 계절성 정동장애(S-SAD)를 진단하기 위하여 Kasper가 제시한 진단기준을 이용하였다. 결 과:전반적 계절성 점수(GSS)의 평균은 6.6(SD=3.9)이었다. 83.5%(N=248)가 계절성 변화가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고, 단지 3.7%(N=11)만이 계절성 변화가 전혀 없다고 보고하였다. 전체 SAD의 유병률은 15.2%, SSAD의 유병률은 11.1%로 나타났다. 이중 여름철 SAD는 3.0%, 여름철 S-SAD는 2.7%였으며, 겨울철 SAD는 11.4%, 겨울철 S-SAD는 5.8%로 겨울철 SAD 및 S-SAD가 더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었다. 결 론:이 결과를 통해 한국인에서 기분과 행동에 있어서 계절적 변동은 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여름철보다 겨울철의 SAD와 S-SAD가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것은 미국 등에서 보고된 결과와는 일치하지만 일본, 중국과 같은 다른 아시아 국가의 보고와는 반대되는 것이다.

  • PDF

방어유형과 불면증 (Defense Style and Insomnia)

  • 주선식;조성진;이유진;이소진;김석주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1호
    • /
    • pp.42-46
    • /
    • 2012
  • 배 경 :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을 가진 사람들의 방어기제를 조사하고, 이들 중 주요우울장애의 병력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들 사이의 방어기제 차이를 알아보고자 했다. 방 법 : 불면증 환자 43명(주요우울장애 32명, 일차성 불면증 11명)과 정상 대조군 13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정신과적 진단평가를 위한 구조화 면담과 불면증에 대한 면담을 근거로 불면증과 주요우울장애를 진단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방어기제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형 방어유형질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결 과 : 불면증 환자들의 경우 정상대조군에 비해 행동화(t=3.25, p<0.01), 소비(t=2.66, p<0.01), 공상(t=3.51, p<0.001), 체념(t=5.42, p<0.001), 억제(t=3.28, p<0.01), 투사(t= 3.92, p<0.01), 분열(t=4.31, p<0.001), 취소(t=2.66, p<0.01), 철수(t=6.72, p<0.001), 격리(t=3.80, p<0.001)의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전능(t=4.08, p<0.001)과 유머(t= 3.20, p<0.01)는 덜 사용하였다. 일차성불면증이 있는 경우 정상대조군에 비해 취소, 철수의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주요우울장애 병력이 있는 불면증 환자들의 경우 일차성 불면증 환자에 비해 체념, 철수의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유머는 덜 사용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을 가진 사람들 중 일차성 불면증 환자와 주요우울장애의 병력을 가진 환자에서 서로 다른 방어 특성을 보였다. K-DSQ로 측정되는 방어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이 두 군을 감별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고등학생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이문수;정유숙;홍성도;고영훈;김승현;조숙행;정인과;김린;이헌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2호
    • /
    • pp.111-116
    • /
    • 2005
  • 목 적:기분과 행동에서의 계절적 변동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있었지만 아직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는 보고되지 않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의 고등학생들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의 빈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서울의 남동쪽 지역에 거주하는 656명의 남녀공학 고등학교 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계절성 양상 평가 설문지(SPAQ)의 한국어 번역판을 통하여 응답하였다. 이들에게서 계절성 정동장애(SAD)와 아임상성 계절성 정동장애(S-SAD)의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서는 Kasper가 제시한 기준에 따랐다. 결 과:결측치가 발생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전체 565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이들의 평균 연령은 16.73(SD=0.65)세였다. 이들에서의 전반적 계절성 점수의 평균은 5.88(SD=4.72)이었다. 응답자의 73.1%는 자신들이 계절성의 변화가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전체 SAD의 유병률은 13.6%, S-SAD의 유병률은 10.8%로 나타났다. 이 중 여름철 SAD는 5.1%, 여름철 S-SAD는 3.2%였으며, 겨울철 SAD는 0.5%, 겨울철 S-SAD는 1.1%로 조사되었다. 결 론:여름철 SAD 및 S-SAD의 유병률이 겨울철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다른 아시아 국가인 중국이나 일본의 결과와 유사한 것이다. 여름 동안의 고온 다습한 날씨에서 오는 불쾌감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는 SPAQ의 적용에 있어서 동아시아 국가의 기후 특성에 맞는 계절성 정동장애를 위한 새로운 기준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뇌파의 비선형 분석을 위한 신호추출조건 및 계산 알고리즘 (A Proposed Algorithm and Sampling Conditions for Nonlinear Analysis of EEG)

  • 신철진;이광호;최성구;윤인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1호
    • /
    • pp.52-60
    • /
    • 1999
  • 목 적 : 임상 뇌파의 비선형 분석시, 분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과 보다 정확한 상관차원을 얻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 고안을 시도하였다. 또 뇌파신호 분석을 위한 적절한 신호획득 조건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여러 상이한 실험조건에서 상관차원을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얻은 결과를 이용하여 각 실험실마다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실험 조건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임의의 한 개인을 대상으로 13개의 두피전극에서 얻은 뇌파신호를 대상으로 하였다. 12비트 해상도에서 1000 헤르츠로 32초간 얻은 뇌파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각 전극당 32000개의 시계열자료를 얻었다. 이 자료를 10, 20, 30초 간격의 시간단위로 나누고, 각각에 대해 1000, 500, 250, 125, 62.5 Hz 등 5가지 신호추출조건을 달리 하여 각 전극마다 총 15개의 시계열 자료를 만들었다. 여기에 상관차원 계산시간 단축을 위해 고안된 계산 알고리듬 및 상관차원 추정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적용한 최소절단자승기법을 적용하여 상관 차원을 계산하였다. 이렇게 얻은 상관차원 결과를 신호획득시간과 신호추출빈도에 따라 비교하였다. 또 로그연산을 비트 연산으로 바꾸어 계산시간 단축의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최소 절단자승기법과 최소자승추정기법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신호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관차원의 값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신호추출빈도가 62.5Hz일때는 신호추출시간에 무관하게 높은 상관차원값을 나타냈으나 그밖의 빈도에서는 유사한 상관차원값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고안된 계산 알고리듬은 종래 사용하던 알고리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계산시간 단축효과를 보였다. 또 종래의 방법인 최소자승추정에 의한 상관차원에 비하여 본 연구에 적용된 최소절단자승추정법은 보다 안정된상관차원 값을 추정하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다량의 뇌파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는데 신속하고 보다 정확한 상관차원 추정에 알맞는 분석방법을 제공하였다. 또한 뇌파 시계열 자료의 상관차원 계산시 12비트의 해상도에서 125Hz의 신호추출빈도로 20초간 뇌파신호를 획득하면 적정한 수준의 상관차원을 계산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범불안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The Psychophysiologic Response in Korean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정상근;황익근
    • 수면정신생리
    • /
    • 제4권1호
    • /
    • pp.107-119
    • /
    • 1997
  • 연구목적 : 범불안 장애환자에서 스트레스작업에 의한 정신 생리적 반응양상이 건강대조군과의 사이에 어떠한 차이가 있고, 정신생리적 반응과 불안평가척도들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범불안장애환자 23명과 건강군 23명을 대상으로, 기저기전 해밀턴 불안평가척도, 상태-특성불안검사, 기저기직전 스트레스작업직후 검사종료시 주관적 스트레스정도, 기저기와 휴식기 및 두 가지 스트레스작업(암산과 이야기작업) 동안의 정신생리적 측정치들(피부온도, 근전도, 맥박, 피부전도반응)을 평가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1) 근전도는 암산작업 직후 및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에, 맥박수준은 암산작업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기간에 불안장애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2) 피부온도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반응, 근전도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 및 회복반응 모두,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암산작업 직후 회복 반응에서 불안장애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은 변화량을 보였다. 불안장애군내에서 스트레스작업시 피부전도반응만 놀람반응에 비해 회복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었다. 3) 기저기전 상태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의 피부전도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해밀턴 불안평가척도와 특성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암산과 이야기 작업기간중, 특성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중 피부전도반응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4) 근전도에서 상태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시 회복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었다. 피부전도반응에서 해밀턴 불안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암산작업시 놀람반응이, 이야기작업시 놀람반응이, 상태불안수준이 높을수록 이야기작업시 놀람 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컸다.

  • PDF

노인 스트레스 측정 도구(SESS)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연구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the Profile of Seo구s Elderly Stress Scale (SESS))

  • 서현미;유수정;하양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4-10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use of Seo's Elderly Stress Scale (SESS), which was developed in 1996. Through the modified tool,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stress of Korean elders and to contribute to the welfare of them. The subjects were 350 elders over 65 years old who live in Seoul, Kwang-Ju, Yang-Ju Gun Kyung-ki Do, Ui-Jong Bu, and Young-Am Kun, Jeun-Ra Nam Do. the data of 331 elders (94%) were analyzed.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and March in 1996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8.0. The result are as follows: 1. Items with low correlation with the total items were removed. So 27 items were removed and 37 items remained. This 37 items were death in the family and/or close friends, family member's behavior not meeting expectations, marriage of daughter, marriage of son, friction with daughter- in-law, argument among children, children refuse to live with parent, children leaving home, sex injury or accident, in frequest visits from children and grandchildren, providing care for your daughter or daughter-in-law post-partum, decrease in decision making and authority in home, Lunar new year and the harvest featival, house sitting, working in the house, performing a sacrificial rite, missed birthday, not living with the eldest son, decreased eyesight, decreased strength, decreased memory, sleep pattern changes, thoughts about death, loneliness, decreased hearing, change of dental condition, change in your diet or eating style, difficulty in self care, moving because of disease or aging, argument with friend or neighbour, travel, dealing with the procedure of heritage, loss of money or property, not enough pocket money, hearing on elderly neglect in television or radio, hope of going home and ignorant from others. 2. Overlapped items were discussed by colleagues and were modified. 'marriage of daughter' and 'marriage of son' were modified in 'marriage of children'. 'self injury or accidents' and 'family accidents' were modified in to self or family accidents. 3. Factor analysis was done in order to identify validity and three factors were obtained from the result. The first factor familial relation area, included 17 items. The second factor, physical area, included 9 items. The third factor, psycho-socio-economic area, included 9 items. Cronbach coefficient alpha for the 35 items was .923. 4. Pearson's correlation was .704 between SESS and SOS (Symptoms of Stress) in order to confirm construct validity. Based on the result, the following is suggested; 1. The modified SESS needs to be reverified with elder. 2. Korean elder's health promotion can be made by development of stress intervention which was accurately measured with SESS.

  • PDF

강화도 장수 노인의 식습관 점수별 식생활태도 및 영양상태 조사 (A Study on Dietary Pattern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by Food Habit Index in Ganghwa-gun Area)

  • 김명화;한혜경;최성숙;이성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892-904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food habit index of the long-lived elderly who were aged over 85 years living in Ganghwa-gun. A survey was conducted during December 2003. Dietary nutrient intake data was obtained through the 24-hr recall method. The subjects were 96 (32 males, 64 females) aged people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food habit index scores. Such as group A: good $16\∼20$, group B: fair $11\∼15$, and group C: poor $5\∼10$. The three groups of the subjects were 90.7 years of age and $21.3\;kg/m^{2}$ of BMI on average. Healthy eating index scores of the subjects were $9.4\%$ in group A, $54.2\%$ in group B and $36.5\%$ in group C. Their level of education were lower and their levels of living standards tended to have been middle and lower of the middle class. The percentage of living together with their families or spouses in all groups were over $60.0\%$ and the rates of the subjects who have responsibility for their meal preparations were also very high in all groups. Most subjects tended not to drink nor smoke, and spend $8\~10$ hours for their sleep. The percent of number of diseases in group A was lower than in groups B and C. Their dietary habits such as taking three meals a day regularly have shown that they have good eating habit in genera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ating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The protein, animal protein, fat, PUFA, vitamin E, vitamin $B_{2}$, niacin, P and K intaks in group 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s B and C. For group A of good food habits aged had no sufficient intake of Ca and vitamin A than the Korean RDA and long-lived elderly of group C in Ganghwa areas had worse nutrients intakes, especially Ca, vitamin A, vitamin $B_{2}$ and vitamin E. According to this research having a good eating habits could be considered as increasing of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6) $892\∼904$, 2005)

만성 관절통증이 있는 취약계층 재가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the Community Dwelling Vulnerable Older women with Chronic Joint Pain)

  • 유재순;함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55-367
    • /
    • 2018
  • 본 연구는 C시에 소재한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 대상 노인 중 만성 관절통증이 있는 65세이상 취약계층 재가 여성노인 234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일반적 특성, 통증양상, 통증정도, 지각된 건강상태, 일상생활능력, 수면양상, 우울, 삶의 질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7년 2월 16일부터 3월 13일에 걸쳐 수집되었으며,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포함하여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우울(${\beta}=-.60$, p<.001), 통증정도(${\beta}=-.15$, p=.007), 의료보장 유형(${\beta}=.15$, p=.001), 지각된 건강상태(${\beta}=.14$, p=.007), 통증지속기간(${\beta}=-.10$, p=.019), 결혼상태(${\beta}=.10$, p=.024), 일상생활능력(${\beta}=.09$, p=.036)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총 설명력은 63.1%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만성 관절통증이 있는 재가 여성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체계적인 우울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운영이 우선 실시되어야 하며, 특히 경제적으로 취약한 공적부조 대상 노인의 삶의 질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통증 발현 초기부터 통증에 대한 정확한 사정을 토대로 통증완화중재 개입을 시행해야 한다.

학교 유형별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인지 요인과 양상 분석 (An Analysis of the Factors and Patterns Related to Stress Perception of Students from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

  • 임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98-606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 유형별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인지 요인과 이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제14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 중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29,380명이다. 스트레스 인지와 관련 있는 요인을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 건강상태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대상 요인에 대하여 동일 유형의 고등학교 집단 내 분석 및 집단 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집단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스트레스 인지가 높았다. 두 학교 유형에서 스트레스 인지는 다수의 공통적인 요인들과 집단 특이적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었다. 공통으로 스트레스 인지와 관련이 있는 주요 요인은 우울감 경험,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 주관적 수면충족 그리고 성별 순이었다. 그러나 각각의 요인들이 스트레스 인지와 관련이 있는 양상은 학교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고등학교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파악 및 중재를 위한 정책 수립에서 공통적인 스트레스 인지 관련 요인을 고려함과 동시에 각 집단의 특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반영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고등학생들의 일상생활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와 피로자각증상의 평가 (A Study on the Stress and Fatigue Symptom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Life Styles)

  • 이주영;송인순;정용준;조영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21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factors influential on stress and subjective fatigue symptoms based on school life environments and daily life styl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2,381 high school students of both sexes in Taejon Metropolitan city during the period from Mar. 1st to Jun. 30th, 2000. The analysis of study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1.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stress, the normal subjects were 3.1%, the groups with potential stress were 64.7%, and the groups at high risk for stress were 32.2%. Higher level of stress existed in the female than the male students, and in the third grader than the 1st and 2nd grade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ypical constitutional symptoms of fatigue, category III (group with bodily projection of fatigue) was the most frequent and it was followed by category II (group with difficulty in concentration) and category I (group with dullness and sleepiness) in a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which showed that the predominant pattern of fatigue arose from the body parts. 2. With regard to the school life characteristics and stress scores, the higher scores of stress were shown in the groups with the lower grades, with worse friend's relation and with the lower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life. The scores for the subjective fatigue symptoms were higher in the male, in the low graders, in the better friend's relation, and in the satisfactory group than the respective counterparts. 3. Concerning home life characteristics, the higher scores of stress were associated with the students characterized by the recognized poor economic conditions, lower interests of parents, lack of satisfaction with the home life, the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On the other hand, the scores for the subjective fatigue symptoms were higher in the student groups with good economic conditions, higher interests of parents, presence of satisfaction with the home life, and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4. Concerning daily life styles, the higher scores of stress were in the students who had inappropriate sleep hours, skipped breakfasts, daily consumption of intermeal snacks, lack of exercise, daily smoking, normal indices of obesity, and lower indices of health habit. Conversely, the scores of subjective fatigue symptoms were higher in the groups who had daily breakfasts, no intermeal snacks, daily exercise, no smoking than their counterparts. 5. The factors exerting influence upon the stress included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friend's relation, satisfaction with the home life, exercise, school grades, interests of parents, school year, sex, scores of health habit, degree of obesity, economic conditions of home. Those influencing on the degree os stress included stress, intermeal snacks, smoking, friend's rel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home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