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 임상현장에서 주로 환자나 간호사의 주관적인 수면보고에 의존하여 수면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수면평가와 활동기록을 이용한 수면평가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 법 : 32명의 정신과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들에게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평가, 수면일지, 주관적인 수면의 질에 대한 시각적 증상 정도 평가, BDI, STAI를 시행하였다. 간호사도 3일 동안 한 시간마다 환자의 수면을 평가하였다. 결 과 : 환자의 보고와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측정상 입면잠복시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는 간호사보다 자고 있음에도 깨어있었다고 더 많이 보고하였다. 주관적 수면평가와 활동기록 수면평가의 차이는 불안, 우울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주관적으로 수면의 질을 낮게 평가하는 환자일수록 활동기록기로 측정한 입면잠복시간과 더 큰 차이를 보였고, 우울, 불안 증상이 심한 환자의 수면보고는 활동기록 측정값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런 환자들에게 수면의 질에 대한 질문만으로는 정확한 수면평가가 어려우므로 객관적인 수면평가가 필요하겠다.
연구배경: 수면 무호흡 증후군에서 고혈압, 허혈성 심질환, 심부정맥등과 같은 심혈관 합병증과 주간 과다 졸음증은 주간 사고와 사망율의 증가와 관계가 있다.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의 심혈관 합병증의 원인으로는 수면중의 저산소혈증과 자율 신경 장애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까지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자율 신경 장애 유무에 대해서는 상반된 결과가 발표되고 있으며 발생기전도 잘 밝혀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자율 신경 장애 검사로 심혈관 자율 신경 장애 검사법이 유용한 검사가 될 수 있을지를 알아보았고 자율 신경 장애의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이들 장애가 의미있는 상관 관계가 있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방 법: 수면 다원 검사에서 수면 무호흡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에서 심혈관 자율 신경 장애 검사를 실시하여 환자군에서 자율 신경 장애 유무를 관찰하였으며 또한 수면 무호흡 증후군에서 심혈관 자율 신경 장애 검사가 유효한 검사법이 될 수 있을지를 알아 보았다. 또한 심혈관 자율 신경 장애 검사 결과와 수면 다원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자율 신경 장애와 관계있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결 과: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심혈관 자율 신경 장애 검사법의 결과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Valsalva maneuver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면서 낮게 측정되었으며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율 신경 장애의 정도를 나타내는 자율 신경 장애 접수는 환자군이 $1.10{\pm}0.55$점으로 대조군의 $0.30{\pm}0.36$ 점보다 의의있게 높았으며, 교정한 QTc 간격도 환자군이 $423.93{\pm}18.44msec$, 대조군이 $396.93{\pm}19.85msec$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그러나 자율 신경 장애 접수와 교정한 QTc 간격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r=0.410, p=0.073). 자율 신경 장애 점수와 수면 다원 검사에서 측정된 항목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가지는 항목을 관찰할 수 없었다. 자율 신경 장애 정도를 유형에 따라 5가지로 분류하고 환자의 분포를 당뇨병 환자와 비교해 본 결과 두 질환은 서로 다른 분포를 보였다. 결 론: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심혈관 자율 신경 장애 검사법을 적용하여 자율 신경계의 장애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심혈관자율 신경 장애 검사법이 수면무호흡 환자의 자율 신경 장애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이었다. 앞으로 자율 신경 장애의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를 밝히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sleep duration and past suicidal idea or attempt among Korean adolescents. Methods: Data came from the 200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ith 75 066 participants (with the participation rate of 97.6%) in 800 middle and high schools.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by gender and depressed mood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attempt.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log odds of suicidal ideation/attempt, while the independent/control variables were sleep duration and other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factors. Results: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suicidal ideation or attempt was weaker for those with depressed mood than for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 in Korea for Year 2009. The odds ratio of suicidal ideation/attempt regarding less than 4 hours of sleep compared to 6 to 7 hours of sleep, was smaller in a group with depressed mood than in a group without such experience, for example, 1.64 (95% confidence interval [CI], 1.29 to 2.08) vs. 2.06 (95% CI, 1.34 to 3.17) for men's suicidal ideation, 2.50 (95% CI, 1.69 to 3.69) vs. 3.89 (95% CI, 1.74 to 8.66) for men's suicidal attempt.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age (or self-rated health) and suicidal ideation/attempt was also weaker for those with depressed mood than for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 in the nation for the year. Conclusions: There was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suicidal ideation/attempt in Korea for Year 2009 and this association was weaker for those with depressed mood than for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dolescents' better mental health and longer, more comfortable sleep might help to prevent their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 in Korea.
Objectives More than half of the elders suffer from chronic sleep disturbances. Moreover, sleep disturbances are more prevalent in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than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In this study, we aim to estimate the risk factors of poor sleep quality and its effect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ate life depression.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59 depressive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complete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 global PSQI score of 5 or greater indicates a poor sleeper. Structural diagnostic interviews were perform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Depression was evaluated by the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Global cognition was assessed by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by the Korean version of Short-Form 36-Item Health Survey (SF-36). Results The frequencies of poor sleepers were 90.5%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71.8% in minor depressive disorder, 47.1% in subsyndromal depressive disorder, and 73.0% in all types of depressive disorder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female [odds ratio (OR) = 2.83, 95% confidence interval (CI) = 1.20-6.67] and higher KGDS score (OR = 1.13, 95% CI = 1.05-1.21) were risk factors of poor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late life depression. In the analysis of ANCOVA adjusted for age, gender, education and KGDS score, the mean scores of vitality mental health and mental component summary of SF-36 were lower in poor sleepers than in good sleepers. Conclusions Poor sleepers among patients with late life depression are very common and are associated with female and higher KGDS scores. Poor sleep quality cause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quality. So researchers and clinicians should be more vigilant in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sleep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late life depression.
Seo Young Kim;Hyo Jeong Kim;Seong-Sik Cho;Min Young Park;Mo-Yeol Kang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제35권
/
pp.47.1-47.14
/
2023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chronotype on depressive symptoms and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quality, pre-sleep cognitive arousal, and social jetlag in a sample of wage earners. Methods: A total of 3,917 waged workers were surveyed online in July 2022. Logistic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morningness, intermediate, and eveningness) and depressive symptom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 5),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Insomnia Severity Index (IS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Pre-Sleep Arousal Scale (PSAS). All analyses were adjusted fo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marital status, coffee consumption,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occupation,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hours to calculate odds ratios (ORs). Results: The chronotypes of al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morningness (4.7%), intermediate (93.5%), and eveningness (1.8%).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in the eveningness chronotype (OR: 2.96; 95% confidence interval [CI]: 1.51, 5.86). Regarding the mediation analysis, ISI mediated 28.44% (95% CI: 16.39-40.5), PSQI for 31.25% (95% CI: 19.36, 43.15), and PSAS-Cognitive Score (PSAS-C) for 23.58% (95% CI: 10.66, 36.50) of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otype and depressive symptoms. However, social jetlag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is relationship. (percentage mediated = 0.75%, 95% CI: -3.88, 5.39) Conclusions: Evening chronotypes exhibit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ve symptoms, which ISI, PSQI, and PSAS-C partially mediated. This suggests that interventions to improve sleep quality and maintain adequate sleep habits may effectively prevent and treat depression in employees with an eveningness chronotype.
폐쇄성 수면무호흡은 수면장애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증상으로 주간의 과도한 졸음과 피로, 고혈압, 부정맥 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수면 중 심장마비, 돌연사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그의 발생 여부 및 빈도를 검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수면다원검사는 여러 가지 생체신호를 함께 측정하므로 불편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적은 수의 생체신호를 사용한 폐쇄성 수면무호흡 검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을 검출하기 위한 최소한의 생체신호로서 심전도 신호를 이용하였다. PhysioNet에서 제공하는 수면무호흡 환자의 심전도 데이터로부터 1분간의 R-R 간격의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R-R 간격과 S점 크기의 power spectrum 등을 계산하였고, 이를 신경망에 적용함으로써 폐쇄성 수면무호흡 검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에 심전도 신호를 적용하여 검출 성능을 평가한 결과, 평균 $89.66\%$의 sensitivity와 $95.25\%$의 specificity를 얻었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검출파라미터들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여러 가지 저전력 MAC들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 IEEE802.15.4은 동기화로 인한 전력소모가 많은 단점을 가지며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수면(sleep)과 각성(awake)을 반복하는 슈퍼프레임(superframe) 동작으로 지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표적 비동기 B-MAC은 체크인터벌에 따라 지연시간을 짧게 할 수는 있지만 송신단에서는 과도한 프리엠블로 전력소모가 발생하며 수신단에서는 오버히어링으로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기존 MAC들의 지연시간과 전력소모 불균형으로 인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비동기식 B-MAC 기법에 체크인터벌을 적응형으로 운용하는 방법[1]이 제안된 바 있다. 제안 방식에 따른 스루풋과 지연시간 측면의 성능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시간이나 스트레스가 잔존 치아 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 성인 3,261명을 최종대상자로 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chi-square 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ogistic regression으로 수면시간이나 스트레스와 잔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95% 신뢰구간으로 정하였다. 수면시간이 9시간 이상인 대상자의 잔존 치아 수가 20개미만으로 적을 위험비가 1.52배 (95% confidence interval: 1.074-2.135)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인지정도가 많은 대상자의 경우 잔존 치아수가 적을 위험비가 2.39배 (95% confidence interval: 1.855-3.090)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이, 성별 그리고 기타 변수를 보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gustatory functions in a sleep disordered breathing (SDB)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pathogenesis of SDB has not been fully understood. Though the precise contributions of neuromuscular and anatomical factors on SDB pathogenesis are still debated, we hypothesized that the gustatory dysfunction could be predisposed to SDB. Methods: All patients were diagnosed as SDB by polysomnography (PSG). On the basis of PSG results,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snoring, mixed,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The control group comprised healthy volunteers who were the same age as those of the SDB group and whose breathing was verified as normal using a portable sleep monitor device. The pati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evaluated for gustatory functions with an electrogustometry (EGM).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s were measured in the anterior, midlateral, and posterior sides of the tongue and soft palatal regions, both side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EGM scor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 test with 95% confidence interval and p<0.05 significance level. Results: The patients with SDB had higher EGM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at all spots tested, except for the right midlateral of the tongue, and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vided SDB groups, respectively. Among the divided SDB groups, the snoring group ha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the measured spo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snoring, mixed, and OSA groups. Conclusions: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neurologic alterations with sleep disordered breathing could be associated with gustatory dysfunction. In the future, further systemic studies will be needed to confirm this study.
The baroreflex is one kind of homeostatic mechanisms to regulate acute blood pressure (BP) changes by controlling heartbeat interval (HBI). To quantify the effect of baroreflex, we suggested a new approach of analyzing Granger causality between systolic BP (SBP) and HBI. The index defined as baroreflex effectiveness (BRE) was generated by the hypothesis that more effectual baroreflex would be related to more effective Granger causal influence of SBP on HBI. Six obstructive sleep apnea (OSA) patients (apnea-hypopnea index, AHI ${\geq}5$ events/hr) and six normal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SBP and HBI during nocturnal sleep were obtained from a non-invasive continuous BP measurement device. While the BRE ($mean{\pm}SD$) of normal subjects was $47.0{\pm}4.0%$, OSA patients exhibited the BRE of $34.0{\pm}3.8%$. The impaired baroreflex function of OSA patients can be explained by the physiological mechanism associated with recurrent hypoxic episodes during sleep. Thus, the significantly lower BRE in OSA patients verified the availability of Granger causality analysis to evaluate baroreflex during sleep. Furthermore, the range of BRE obtained from normal subjects was not overlapped with that obtained from OSA patients. It suggests the potential of BRE as a new helpful tool for diagnosing OSA.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