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pjack viscera oi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참치 내장유 중에서 레시틴의 분리,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1. 레시틴의 분리 및 정제 (Studies on the Isolation, Refining and Utilization of Lecithin from Skipjack Viscera Oil 1. The Isolation and Refining of Lecithin)

  • 김귀식;정보영;배태진;오원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95-900
    • /
    • 1998
  • 참치 통조림 가공 중 얻어지는 부산물중 내장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레시틴을 분리한 후 탈색과 탈취 등의 정제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치 내장유에서 최적의 레시틴 분리를 위해 첨가하는 구연산량은 시료유 100ml에 대하여 0.4ml가 적당하였다. 레시틴의 탈색은 활성백토 $5\%$를 첨가하du 처리 ($40^{\circ}C$, 10분)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탈취조건은 4Torr 이하의 감압하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처리 ($130^{\circ}C$, 60분)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참치 내장유중의 주요 인지질은 phosphatidyl choline, sphingomyelin 및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었다. 참치 내장유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산의 함유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monoene산 및 polyene산의 순이였다. 이들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16:0, 18:1 (n-9), 22:6 (n-3), 18:0, 및 16:1 (n-7)의 순이였고 그 외에 14:0, 20:5 (n-3) 및 18:1 (n-7)도 주체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최후 정제공정을 거친 탈취 내장유 레시틴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산의 함유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olyene산 및 monoene산 순이였다. 또한 이들을 구성하는 주요지 방산은 16:0, 22:6(n-3), 18:1 (n-9), 14:0, 16:1 (n-7), 18:0 및 18:3 (n-3)순이였고 그 외에 16:1 (n-7), 20:5 (n-3) 및 14:0도 주체를 이루고 있었다.

  • PDF

참치 내장유 중에서 레시틴의 분리,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2. 레시틴의 이용 (Studies on the Isolation, Refining and Utilization of Lecithin from Skipjack Viscera Oil 2. The Utilization of Lecithin)

  • 김귀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01-907
    • /
    • 1998
  • 고도불포산인 EPA나 DHA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폐기되고 있는 참치 가공 부산물중의 내장지질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정제한 참치 내장중의 레시틴을 각각 첨가하여 어육소시지를 가공한 다음 저장시의 품질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레시틴 첨가어육소시지를 $5^{\circ}C$에서 40일간 저장하여 texture와 관능검사 결과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산화도 측정에서도 산패로 인한 품질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레시틴 자체가 항산화력을 갖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종합적인 판단으로는 모든면에서 $2\%$ 레시틴 첨가제품 (B)이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성인병 예방과 치료 및 학습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EPA나 DHA가 대조제품보다 2배 이상 함유되어 있어서, 참치내장유의 효율적인 이용면에서 $2\%$ 레시틴 첨가 소시지를 제조하여 섭취시 부족한 고도불포화산을 보충할 수 있는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식품소재로서 자숙 다랑어류뼈의 성분 특성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ooking tuna bone as a food resource)

  • 김진수;양수경;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8-42
    • /
    • 2000
  • 참치통조림 가공 부산물인 다랑어류뼈를 식품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자료로서 가다랑어뼈 및 황다랑어뼈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다락어류뼈의 건물당 조단백질 함량은 $29{\%}$로 두 어류뼈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미 노산 조성비는 황다랑어뼈 콜라겐 (193잔기/1,000잔기)이 가다랑어뼈 콜라겐 (173잔기/1,000잔기)보다 높았으나, 가축뼈 콜라겐보다는 낮았다. 조지방함량, 폴리엔산/포화산 및 DHA 조성비는 황다랑어뼈가 각각 $12.5{\%}, 1.04 및 24.0{\%}$로 가다랑어뼈의 $6.6{\%}$,0.90 및 $23.9{\%}$보다 높았으나, 오징어 내장유보다는 낮았다. 다랑어류뼈의 주요 무기질은 칼슘 및 인이었고, 이들의 함량은 가다랑어뼈의 경우가 각각 36.5 g/100g ash 및 17.2g/100g ash이었고, 황다랑어뼈의 경우가 각각 38.0g/100g ash 및 18.7g/100g ash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다랑어류뼈는 두 종류 모두가 콜라겐 및 지질 추출소재로 보다는 칼슘 추출소재로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