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texture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9초

HCI를 위한 트리 구조 기반의 자동 얼굴 표정 인식 (Automatic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sing Tree Structures for Human Computer Interaction)

  • 신윤희;주진선;김은이;;;박세현;정기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60-6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자동으로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휴리스틱 정보를 기반으로 설계된 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행복, 역겨움, 놀람의 감정과 무표정을 인식한다.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들어오면 먼저 얼굴 특징 검출기에서 피부색 모델과 연결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획득한다. 그 후에 신경망 기반의 텍스처 분류기를 사용하여 눈 영역과 비 눈 영역으로 구분한 뒤 눈의 중심 영역과 에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눈, 눈썹, 입 등의 얼굴 특징을 찾는다. 검출된 얼굴 특징들은 얼굴 표정 인식기에 사용되며 얼굴 인식기는 이를 기반으로 한 decision tree를 이용하여 얼굴 감정을 인식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MMI JAFFE, VAK DB에서 총 180장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테스트하였고 약 93%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지방피부복합조직 이식을 이용한 화상 후 콧방울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Post Burn Ala Defect Using Adiposocutaneous Graft)

  • 권민주;이종욱;고장휴;서동국;최재구;장영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451-457
    • /
    • 2011
  • Purpose: As a central feature of the face, the nose has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appearance and expression. Reconstruction of full thickness defects of the nasal ala has always been a challenge because of the 3-dimensional structure. For reconstruction of post burn defects of ala, skin graft, local or pedicled flap and composite graft are optionally available. We have reconstructed the ala defects using adiposocutaneous graft and observed the outcome. Methods: From March 2003 to December 2010, 19 cases in 11 patients with scar contracture and defect on ala portion were performed operation using adiposocutaneous graft. As a donor site, we used the inguinal crease and posterior auricular area and the donor site was primarily closed. We made incision through the superior rim of ala and released fully. A graft is applied to recipient site with larger size than recipient volume.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 was 38.6 years (16~51), males are seven patients and females are four patients. The operation was performed bilaterally in 5 patients and unilaterally in 6 patients. Composite grafts were harvested from inguinal area in 13 cases and posterior auricular area in 6 cases. In one case, we did 4 times of operation to get enough volume. All the grafts were well taken. The mean size of the graft was 3.63 $cm^2$. Conclusion: For reconstruction of post burn defects of ala, it's not easy to use local flap or pedicled flap because of hardness and fibrosis of surrounding tissue. So, we choose adiposocutaneous graft for ala deformity reconstruction, got satisfactory outcome in color matching and texture.

Successful replantation of an amputated helical rim with microvascular anastomosis

  • Seo, Bommie Florence;Choi, Hyuk Joon;Lee, Min Cheol;Jung, Sung-No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4-308
    • /
    • 2018
  • Replantation using microvascular anastomosis is considered to be the optimal method in treating the amputated ear in terms of resulting color, texture, and shape. Only a few cases of ear replantation have been reported because it is anatomically difficult to identify suitable vessels for anastomosis. We successfully replanted the amputated helical rim of the ear using single arterial anastomosis. A 37-year-old man had his helical rim amputated by a human bite. The amputee was about $4{\times}1cm$ in dimension, composed of skin and soft tissue including auricular cartilage. Replantation was performed anastomosing a small artery of the amputee with a terminal branch of the posterior auricular artery. After replantation, intravenous heparinization was performed and prostaglandin E1 and aspirin were administered. Venous congestion was decompressed by stab incisions applied with heparin solution soaked gauze. Venous congestion of the amputee slowly began to resolve at 4 days after the operation. The amputated segment of the helical rim survived completely with good aesthetic shape and color. The authors propose that performing microvascular anastomosis should be attempted especially if it is possible to detect vessels on cut surfaces of ear amputee and stump. Proper postoperative care for venous congestion, arterial insufficiency, and infection should be followed for amputee survival.

가토모델에서 배양 구강상피를 이용한 근-점막 피판의 형성에 관한 연구 (FABRICATION OF MYOMUCOSAL FLAP USING CULTURED ORAL EPITHELIUM IN RABBIT MODEL)

  • 신영민;정헌종;안강민;박희정;성미애;김성민;황순정;김명진;장정원;김성포;양은경;송계영;이종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3호
    • /
    • pp.226-237
    • /
    • 2005
  • Purpose : Extensive defect of oral and maxillofacial area is usually reconstructed with composite flap including skin paddle. However, if the defects are lined with only skin components, the mucosa's role in mastication and texture are not restored. Furthermore, stiffness and hair-growing prevent denture rehabilitation and good oral hygien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composite soft tissue flaps including the skin and to make a model for myo-mucosal flaps. Materials and methods : Buccal mucosa sized $0.5\times1.0\;cm^2$ from New Zealand rabbit (around 1.5kg) was harvested and cultivated by the modification of Rheinwald and Green's keratinocyte culture method. Cultured mucosa was grafted on the fascia of latismus dorsi as form of mucosal sheet. After 7, 10, 14 days, the myomucosal flap was excised and evaluated under light microscope with H & 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s control group, harvested buccal mucosa from rabbit was transplanted to gracilis muscle(n=6). Results : From 7 days after prelamination, the basal layer of the grafted mucosa resembled that of normal mucosa. As control group, transplanted mucosa had original shape but there's slight inflammatory reaction. Prelaminated mucosa has 19.8$\pm$4.59 cell layers and some samples have more than 20 layers. The expression rate of PCNA was relatively strong (42.9%$\pm$14.1) at the basal layer of grafted mucosa and the laminin was found at the basal layer. On the contrary, prelaminated mucosa at 10 days showed moderate expression rate of PCNA(32.4%$\pm$4.62). We found the mucosal layer was somehow disappeared and there is strong inflammatory reaction. After 14 days prelamination, the grafted oral keratinocytes were almost disappeared and expression of PCNA was not observed. Conclusion : We can make 75 fold large mucosal($3850mm^2$) sheet from small samples of mucosa $(50mm^2)$. Epithelial sheet that grafted on the fascia of muscle underwent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But after 10, 14 days, there was strong inflammatory reaction and the grafted mucosa was destroyed from surface layer. In rabbit model, transfer of fascio-mucosal flap should be done from 7 to 10 days after prelamination.

의상 특징 기반의 동일인 식별 (Person Identification based on Clothing Feature)

  • 최유주;박선미;조위덕;김구진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7
    • /
    • 2010
  • 비전 기반의 감시 시스템에서 동일인의 식별은 매우 중요하다. 감시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CCTV 카메라의 영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를 가지므로 얼굴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동일인을 식별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CCTV 카메라 영상에서 의상 특징을 이용하여 동일인을 식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건물의 주출입구에서 출입자가 인증을 받을 때, 의상 특징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그 후, 건물 내에서 촬영한 영상에 대해 배경 차감 및 피부색 발견 기법을 이용하여 의상 영역을 발견한다. 의상의 특징 벡터는 텍스처와 색상 특징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텍스처 특징은 지역적 에지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추출된다. 색상 특징은 색상 지도의 옥트리 기반 양자화(octree-based quantization)를 이용하여 추출된다. 건물 내의 촬영 영상이 주어질 때, 데이터베이스에서 의상 특징이 가장 유사한 사람을 발견함으로써 동일인을 식별하며, 의상 특징 벡터 간의 유사도 측정을 위해서는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사용한다. 실험 결과, 얼굴인식 기법이 최대 43%의 성공률을 보인 데 비해, 의상 특징을 이용하여 80%의 성공률로 동일인을 식별하였다.

F1 종자 딸기 '씨베리' 육성 (Breeding of 'Seeberry' F1 Hybrid Strawberry)

  • 정호정;이선이;조일환;노일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448-452
    • /
    • 2015
  • '씨베리' 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에서 2013년도 육성한 국내 최초의 일계성 딸기 $F_1$ 품종이다. '씨베리'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2004년부터 국내 보유 유전자원 중 특성이 우수한 품종들을 선발하여 약 10여 년에 걸쳐 주요 형질별로 근교계통을 육성하였다. 이중 고경도의 특성을 가진 근교계통인 '원교3115호'를 교배모본으로 하고 수량성과 과형이 우수한 근교계통인 '원교3116호'를 화분친으로 하여 $F_1$ 일대잡종 '씨베리' 품종을 육성하였다. '씨베리' 품종을 종자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관부 직경이 10mm 이상이 되도록 육묘하고 정식하여야 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씨베리'의 초형은 직립형이고 잎은 타원형이다. 초세는 영양번식 개체보다는 다소 약한 경향이고 화방당 꽃수는 12-15개, 화아분화는 대조품종과 비교하여 중간 정도의 특성을 나타낸다. '씨베리' 품종의 과실 특성을 보면 과형은 원추형, 과색은 연한 적색이고 평균과중은 15-16g 내외이다. 수량은 대조품종인 '아키히메' 품종의 92% 수준으로 다소 적은 경향이고 당도는 $9.7^{\circ}Bx$, 산도는 0.6%로 맛은 새콤달콤한 경향을 나타낸다. 병해충 저항성은 흰가루병에는 약하나 탄저병에는 강하고 진딧물과 응애는 다소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족저변 격막 피판의 해부학적 고찰 및 임상적 적용 (An Anatomic Study and Clinical Application of Medial Plantar Septo-cutaneous Flap)

  • 윤을식;김정배;계민석;동은상;한승규;이병일;구상환;박승하;김우경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1권1호
    • /
    • pp.53-62
    • /
    • 2002
  • Several investigators have reported clinical experience of medial plantar septo-cutaneous flap for reconstruction for soft tissue defect of the hand and digits. Jayme and Hamilton first described the anatomy of superficial branch of medial division of the medial plantar artery used in this flap through cadavaric study in 1997. But, they had a few cases for this flap and there was no anatomic study in Korean. We experienced the reliability of medial plantar septo-cutaneous flap for reconstruction for soft tissue defect of hand and digits through an anatomic study (20 fresh specimens dissected) and clinical application (17 patients). An anatomic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diameter and length of the vessels between Korean and Caucasian. The diameter of vessels in Korean is larger than Caucasian one in each area. Based on this anatomic knowledge, we could harvest this flap safely, and have performed reconstruction on 17 patients with soft tissue defects of hand and digits using a thin, flexible medial plantar septo-cutaneous flap similar to the volar aspect of the hand and digits in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covering. The vessels used for this flap were superficial branches of medial division of the medial plantar artery and vena comitants, or the subcutaneous veins. The mean size of the flap was $2.82cm{\times}4.15cm$. All the flaps survived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s. A medial plantar septo-cutaneous flap possesses several advantages : (1) It is very thin in comparison with other standard free flap; (2) it has two draining venous pathways; (3) it provides a good color and texture match for hand and finger; (4) a good recovery of protective sensation is achievable.

  • PDF

명태 건조과정에서 일어나는 수분과 수분활성도 변화가 명태건조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Drying of Alaska Pollack in Controlled Conditions to Identify Major Factors for Textural Properties of Hwangtae)

  • 하주엽;이상현;정경진;조영득;김재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903-1907
    • /
    • 2010
  • 명태의 건조경향은 초기의 평형상태가 뚜렷하지 않은 과정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식품건조형태를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건조속도는 어육과 외기의 수분농도차이가 줄어듦에 따른 결과뿐만 아니라, 표면 건조에 의한 고화현상에 의해 수분이동이 억제됨에 따라 느려지게 된다. 명태의 부위별 건조속도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머리 부분이 몸통부분보다 빨랐다. 건조가 진행될수록 어육표면과 중심부의 수분함량과 그에 따른 수분활성도의 차이는 증가함으로써 어육내부의 수분이동이 잘 일어나지 않아 전체적인 건조속도의 저하를 나타내었다. 주어진 외기의 건조조건(온도, 습도, 풍속)에서 초기의 높은 건조속도에 의한 어육 표면응고로 인해 건조개시 수 시간 이내에 어피(피부)와 어피 바로밑부분의 어육과 어체 내부 어육의 수분함량 차이가 급격히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황태 제조과정의 전단계인 건조과정에서 건조가 시작된 뒤 주기적으로 수분활성도의 차이가 급격히 일어나는 시간(지점)은 황태 특유의 조직감을 형성하기 위해 건조과정에서 조직의 고화를 방지함으로써 일정한 건조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시점임을 제시해 준다.

이산화규소가 코팅된 산화아연의 제조와 자외선 차단 특성 (Preparation of Silica Coated Zinc Oxide and UV Protection Effect)

  • 김원종;강국현;이기용;김태원;최종완;이동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1-131
    • /
    • 2014
  • 산화아연은 뛰어난 자외선 산란효과로 인해 자외선 차단 화장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화장품용으로 쓰이는 산화아연은 자외선 차단 특성, 사용감, 광촉매 활성 저하, 분산성 및 안정성 등을 보다 우수하게 하기 위해 이산화규소 등의 물질로 표면처리 하는 방법이 시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 노화의 원인인 자외선을 차단하는 이산화규소가 코팅된 산화아연 복합 분체를 개발하였다. 화장품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마이크로 크기의 산화아연에 사용감, 자외선 차단 특성을 보다 우수하게 하기 위해 산업적인 용도로 많이 쓰이는 규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코팅하였다. 이산화규소를 코팅하기 위해 규산나트륨과 산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한 수열합성법을 적용하였다. 제조된 복합 분체의 자외선 차단 효과는 UV-Vis과 in-vitro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화장품에 실제 적용 하였을 때의 실질적인 장점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관능 평가를 통해 비교분석 하였다.

포도주가 함유된 돈육 패티의 품질 및 기호성 (Quality and Palatability of Pork Patty Containing Wine)

  • 정인철;윤동화;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55-360
    • /
    • 2007
  • 본 연구는 포도주의 첨가가 돈육 patty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제조과정에 포도주를 첨가하지 않은 돈육 patty(대조구), 포도주를 1% 첨가한 돈육 patty(WP-1), 포도주를 3% 첨가한 돈육 patty(WP-2) 그리고 포도주를 5% 첨가한 돈육 patty(WP-3) 등 네 종류의 돈육 patty를 제조하였다.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돈육 patty의 $L^*$$b^*$값은 대조구가 포도주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리고 열량, 보수력, VBN 함량 및 총균수는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pH 및 TBARS값은 WP-2 및 WP-3이 대조구 및 WP-1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총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 WP-1, WP-2 및 WP-3이 각각 18.29, 17.83, 17.85 및 17.37%로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조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가장 많았고,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가 가장 많았다. 가열 돈육 patty의 풍미, 조직감 및 다즙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맛과 종합적인 기호성은 WP-2 및 WP-3이 대조구 및 WP-1보다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