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cell detritu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다시마(Laminaria japonica)를 single cell detritus로 분해하는 해양세균의 분리 (Isolation of Marine Bacterium Decomposing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to Single Cell Detritus)

  • 이건욱;신일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37-240
    • /
    • 2006
  • 다시마(Laminaria japonica)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예비단계로, 다세포의 다시마를 미립자의 single cell detritus(SCD)로 분해하는 해양세균을 해수, 다시마(Laminaria japonica), 미역(Undaria pinnatifida), 성게(Anthocidaris crassispina), 불가사리(Acanthaster planci), 소라(Batillus cornutus)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한 71개의 균주 중 다시마 조체의 연화능과 알긴산 분해활성을 동시에 가지는 균주는 14개이었으며, 균주 No. 34가 가장 강한 다시마 조체의 연화능과 알긴산 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균주 No. 34는 배양 15일 만에 다세포의 다시마를 미립자의 SCD 형태로 분해하였으며, 그 크기는 $5-10{\mu}m$이었다. 균주 No. 34는 vibrio sp.으로 동정되었으며, Vibrio sp. YKW-34로 명명하였다.

소라에서 분리한 Vibrio균으로 제조한 다시마 Single Cell Detritus(SCD)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 Tangle Single Cell Detritus (SCD) Manufactured by Vibrio sp. Isolated from Batillus cornutus)

  • 방상진;신일식;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06-612
    • /
    • 2006
  • 해조류를 식품으로 이용하기에는 분말화가 필수적이나 분쇄 등의 분말화 과정에서의 온도상승은 이들 생리활성성분의 열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수십$\sim$수백 ${\mu}m$의 분말입자는 입자 상호간의 응집으로 인하여 유동성이 좋지 않다. 해조류의 기계적 분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시마(Laminaria japonica)의 분해능이 강한 Vibrio sp.를 소라(Batillus cornutus)에서 찾아 다시마 SCD(Single Cell Detritus)를 제조하였으며 SCD가 가지는 여러 가지 성분 및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다시마 SCD의 조단백 함량과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다시마분말보다 높았으나 ash의 함량은 낮았다. 다시마 SCD와 분말시료의 항암활성은 각각 31.20과 29.27%로 차이가 없었다(p<0.05). ACE저해효과는 분말시료가 39.31%로 SCD의 26.07%보다 약간 높았다. 항혈액응고 측정 결과 다시마분말은 55.3초로 다시마 SCD의 34.5초보다 높았다. 또한 다시마 SCD와 분말은 항산화효과와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사 억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다시마 SCD의 생리활성은 분말보다 약간 떨어지나 조단백질, 아미노산 및 지질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빵, 국수 및 수산 연제품 등의 첨가제로서 응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다시마 Single Cell Detritus(SCD)를 첨가한 국수의 최적화 가공조건 (Optimum Process Condition of Noodles with Sea Tangle Single Cell Detritus (SCD))

  • 방상진;신일식;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8-74
    • /
    • 2006
  • 다시마를 Vibrio sp.로 분해하여 제조한 SCD를 modified distance design의 최적 배합 비율에 따라 기능성 국수를 제조하였다. 밀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다시마 SCD 국수의 texture parameter논 증가하였고, 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texture parameter는 반대로 감소하였으며 SC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texture parameter는 감소 후 증가하였다. 밀가루와 SC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물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L 값과 b 값은 증가하였으며, a 값은 밀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 후 증가하였다. Constraint coefficient 값의 분석 결과 SCD는 건면과 조리면의 texture parameter와 색도의 L(명도) 및 b(황색도) 값, 물은 a(적색도) 값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hardness를 제외한 texture parameter와 색도에서 원료간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Modified distance design에 의해 결정된 최적 배합비율은 밀가루, 물, SCD의 함량이 각각 63.3, 31, 3.7%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잔해수로 처리한 SCD 국수는 시중제품보다 모든 면에서 점수가 약간 떨어지나, 전해수 미처리 SCD 국수보다는 월등히 높은 점수를 받아 전해수의 처리는 본 SCD 국수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시마 Single Cell Detritus(SCD)를 첨가한 기능성 빵의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Bread with Sea Tangle Single Cell Detritus (SCD))

  • 방상진;최승화;신일식;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430-1437
    • /
    • 2009
  • 다시마를 Vibrio sp.로 분해하여 제조한 SCD로 기능성 빵을 만들기 위하여 mixture design을 이용한 원료의 최적 배합 비율을 구하였다. 다시마 SCD 빵의 max weight, strength, hardness 및 비용적의 값은 밀가루와 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반면, SCD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밀가루와 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SCD의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발효팽창력의 값은 증가하였다. 밀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SCD의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SCD 빵의 L(명도) 값과 b(황색도) 값은 증가하였으며, 밀가루와 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SCD의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다시마 SCD 빵의 a(적색도) 값은 감소하였다. ANOVA 분석에 의한 다시마 SCD 빵의 max weight, strength, hardness, 비용적, 색도 b(황색도) 값 및 수분흡착력은 linear model이 결정되었으며, distance, 발효팽창력, 색도 L(명도) 및 a(적색도) 값은 nonlinear model(quadratic model)이 선정되었다. Constraint coefficient 값의 분석 결과 SCD는 SCD 빵의 texture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물은 발효팽창력, 비용적 및 수분흡착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밀가루는 SCD 빵의 색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Distance에서는 flour-SCD 및 water-SCD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발효팽창력에서는 flour-SCD 상호작용이 있었다. 또한 SCD 빵 색도의 L(명도)에서는 flour-SCD의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a (적색도)에서는 flour-SCD 및 water-SCD 상호작용이 있었다. Mixture(modified distance) design에 의해 결정된 다시마 SCD 빵의 밀가루, 물 및 SCD의 최적 배합비율은 각각 48.25, 30.89 및 3.86%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전해수로 처리한 SCD 빵은 시중제품보다 모든 면에서 품질이 낮았으나, 전해수 처리 SCD 빵은 대조구(전해수 미처리)보다 월등히 높은 점수를 받아 전해수로 처리된 SCD 빵의 맛, 조직감 및 향을 개선한다면 SCD의 산업화가 가능할거라 판단된다.

다시마 Single Cell Detritus(SCD)를 첨가하여 제조한 수산연제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rimi-Based Product with Sea Tangle Single Cell Detritus (SCD))

  • 방상진;신일식;정동화;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7-341
    • /
    • 2006
  • 다시마를 Vibrio sp.로 분해하여 제조한 SCD를 첨가하여 수산 연제품을 만들어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원료의 최적 배합 비율을 구하기 위하여 mixture program의 modified distance design을 적용하였다. 수리미와 SCD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hardness와 cohesiveness 값은 감소 후 증가하였다. SCD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hardness의 값은 증가 후 감소하였으나 cohesiveness 값은 감소 후 증가하였다. 수리미와 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SCD의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gumminess와 brittleness의 값은 증가하였다. SCD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물의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수분보유력과 백색도의 값은 증가하였다. 수리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백색도의 값은 증가한 반면, 수분보유력은 감소하였다. ANOVA 분석에 의한 다시마 SCD 어육 gel의 Hardness 및 cohesiveness는 nonlinear model(Quadratic model)이 결정되었으며, gumminess, brittleness, 수분보유력 및 백색도는 linear model이 결정되었다. Constraint coefficient 값의 분석 결과 수리미는 hardness 및 백색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cohesiveness, gumminess, brittleness에서는 SCD가, 수분보유력에서는 물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Hardness는 surimi-SCD의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cohesiveness에서는 surimi-water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Modified distance design에 의한 다시마 SCD 어육 gel의 수리미, 물 및 SCD의 최적배합 비율은 각각 36.80, 57.05 및 4.14%이었다.

자궁내막증식증의 세포학적 고찰: 정상자궁내막세포 및 자궁내막선암종과 비교 (Cytologic Features of Endometrial Hyperplasia : Comparison with Normal Endometrium and Endometrial Adenocarcinoma)

  • 홍성란;선미임;김의정;전이경;김혜선;김희숙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ellular characteristics of endometrial hyperplasia without/with atypia in cervical smears. These cellular featur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endometrium and endometrial carcinoma. We reviewed 265 cervical smears : 64 normal proliferative endometrium, 118 endometrial hyperplasia without atypia, 21 endometrial hyperplasia with atypia, and 62 endometrial adenocarcinoma. Of these smears, 72(27.2%) smears which had diagnostic endometrial epithelial cell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cytologic abnormalities about cellularity, background, changes in cellular architecture, alterations in nuclear size, anisokaryosis, chromatin pattern, nucleoli, cytoplasmic vacuoles, and mitosis were observed. Nuclear enlargement(1.6 to 2 times of the nucleus in the intermediate squamous cell) and anisokaryosis(${\geq}$2 fold in size variation) were highly suggestive of endometrial hyperplasia without/with atypia. The nuclei from endometrial hyperplasia with atypia were more coarsely granular in chromatin patterns than hyperplasia without atypia(33.3% vs 3.4%). Micronucleoli were observed in all endometrial conditions, but the presence of macronucleoli were more suggestive of hyperplasia with atypia(22.2%) and adenocarcinoma(55%). The changes in cellular architecture(loss of polarity, uneven internuclear distance, overlapping and loose arrangement) were seen in hyperplasia with atypia and adenocarcinoma. Characteristically, bloody background was seen in endometrial hyperpiasia, and cellular detritus or granular proteinaceous material was only observed in endometrial adenocarcinoma. Mitoses were also observed in adenocarcinoma.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is no single parameter useful for the cytologic differential diagnosis of endometrial lesions, combined cytologic evaluation can be used to diagnose hyperplasia cytologic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