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apinic acid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다양한 pH조건에서 가열처리에 의한 시나핀산의 화학 안정성 및 생리활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stability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inapinic acid by heat treatment under different pH conditions)

  • 허윤선;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16-62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pH 환경에서 식품의 가공 및 조리과정 중에 빈번히 적용되는 가열처리 과정을 적용하여 시나핀산의 화학 안정성, 산화방지활성 및 세포독성 등의 생리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95℃에서 각 시간별로 가열처리한 시나핀산은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더 많이 분해되었으며 pH가 상승할수록 더 신속하게 분해되었다. 가열처리에 의해 시나핀산의 ABTS 라디칼소거능 및 FRAP 환원능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특히 pH 7과 8에서는 가열처리 시간에 유의적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HCT116 인간 대장암세포에 대한 시나핀산의 세포독성 평가에서 가열처리 전의 시나핀산은 500 μM 농도까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 pH 8에서 가열처리한 후에는 해당 농도에서 유의적인 세포독성을 발현하였으며 세포 내 glutathione 수치 또한 감소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시나핀산의 화학 안정성 및 생리활성이 가열처리와 pH 환경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시나핀산이 함유된 식품을 알칼리 조건에서 가열처리 시 성분의 손실 및 활성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ertiary Matrices for the Analysis of Polyethylene Glycols Using MALDI-TOF MS

  • Hong, Jangmi;Kim, Taehee;Kim, Jeongkwon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5권2호
    • /
    • pp.49-51
    • /
    • 2014
  • The effectiveness of tertiary matrices composed of the combination of three common matrices (dihydrobenzoic acid (DHB), ${\alpha}$-cyano-4-hydroxycinnamic acid (CHCA), and sinapinic acid (SA)) was compared with that of single or binary matrices in the analysis of polyethylene glycol (PEG) polymers ranging from 1400 to 10000 Da usin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A tertiary matrix of 2,5-DHB+CHCA+SA was the most effective in terms of S/N ratios. CHCA and CHCA+SA produced the highest S/N ratios among the single matrices and the binary matrices, respectively. The improvement observed when using a tertiary matrix in analyses of PEG polymers by MALDI-TOF M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uniform morphology of the MALDI sample spots and synergistic effects arising from the mixture of the three matrix materials.

Pseudomonas sp. LG2의 Ferulic acid esterase 및 Xylanase 유도와 부분적 특성 (Partial Characterization and Induction of Ferulic Acid Esterase and Xylanase from Pseudomonas sp. LG2)

  • 김용균;이상몽;박현철;김근기;손홍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68-574
    • /
    • 2007
  • 리그닌 분해 세균인 Pseudomonas sp. LG2는 lignocellulose 기질을 분해하여 APPL 화합물을 생성하는 균주이다. 이 균주를 BSG(brewer's spent grain)가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에서 APPL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세포외 조효소들의 유도에 관한 여러 가지 탄소원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glucose 배지에서는 xylanase의 효소활성만 확인 되었고 xylose, arabinose에서 배양한 조효소에서는 FAE 및 xylanase의 효소활성이 없었다. Oat spelt xylan, HBSG I(hydrolyzed brewer's spent grain I), HBSG II(hydrolyzed brewer's spent grain II) 및 AFBSG(autoclaved fraction from brewer's spent grain)를 탄소원으로 배양한 조효소에서는 FAE 및 xylanase의 효소활성이 확인됐다. Pseudomonas sp. LG2를 oat spelt xylan, HBSG I, HBSG II 및 AFBSG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14일 동안 배양하면서 배양기간에 따른 세포외 효소들의 FAE와 xylan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Xylanase의 최고 활성은 xylan을 탄소원으로 6일간 배양 했을때 5.3 U/mg으로 가장 높았으며, FAE의 최고 활성은 AFBSG를 탄소원으로 배양했을 때 배양 8일째 15.4 mU/mg으로 가장 높았다. Oat spelt xylan, HBSG I, HBSG II 및 AFBSG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배양한 배지에 분리된 ferulic acid가 확인되었다. 세포외 효소의 FAE 활성은 methyl ferulic acid, methyl caffeic acid, methyl p-coumaric acid에 대해 esterase의 활성을 보였으나, methyl sinapinic acid, methyl vanillic acid 및 methyl gallic acid에 대해서는 esterase의 활성이 없었다.

품종 및 도정도별 백미와 미강의 특성 및 페놀산 함량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 김성란;안지윤;이현유;하태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30-93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오대, 남평, 추청, 일미 4품종으로부터 각각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의 백미와 미강을 제조하고 품종과 도정도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총 폴리페놀과 페놀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현미의 성분 중 지방과 회분 함량이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하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변화가 크지 않았다. 미강의 지방과 회분 함량은 품종에 따른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정도에 따른 차이는 적었다.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쌀가루의 호화개시온도가 낮아지고 피크점도(P)와 $95^{\circ}C$ 15분간 유지 후 점도(H)가 증가하였으나 반면 냉각점도, 최종점도, setback 등은 도정도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기보다는 품종에 따른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93.9-88.8 mg catechin eq/100 g이고 도정한 백미 중에는 30.3-71.9 mg catechin eq/100g 범위였으며, 미강에는 310.0-541.6 mg catechin eq/100g이었다.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 p-coumaric acid가 주요 성분이었으며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27.9 mg%였으나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되고 ferulic acid 조성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 중에서는 추청과 일미에서 도정으로 인한 phenolic acid 함량 감소가 컸다. 미강의 경우 ferulic acid는 157.8-240.2 mg%, p-coumaric acid는 31.8-90.4 mg% 범위로 나타났고 현미와 백미와는 달리 sinapinic acid, benzoic acid, m-hydroxybenzoic acid의 함량도 높았다.

Molecular Weight Determination of Polymers by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in Mass Spectrometry

  • Kim, Jin Sung;Yoo, Jong Shin
    • 분석과학
    • /
    • 제8권4호
    • /
    • pp.465-468
    • /
    • 1995
  •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in mass spectrometry is a fast and accurate method to determine the molecular weight of natural and synthetic polymers. Unknown peptides such as elastase inhibitor and $\small{D}$-hydantoinase were analyzed using sinapinic acid as matrix and their molecular weigh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protein sequencer and gel filtration chomatography, respectively. Synthetic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glycol, polypropyleneglycol, polydimethylsiloxane, and polystyrene were analyzed using matrices such as 2,5-dihydroxybenzoic acid, 4-hdroxyazobenzenecarboxylic acid, and 2-nitrophenyl octyl ether.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polystyrene were compared with molecular weights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 PDF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phenolic acids와 총 폴리페놀 함량

  • 김성란;하태열;이지연;이세은;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6.1-226
    • /
    • 2003
  • 최근 쌀 소비량이 감소되고 쌀중심 식생활의 영양적 우수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쌀은 주식으로서 위치가 흔들리고 있다. 그동안 쌀의 영양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주로 탄수화물 급원으로서의 당질에 관한 연구와 미강을 중심으로한 식이섬유, 미강유등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미곡 부산물인 미강으로부터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확인되어 그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가 기능성 소재로서 제품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제 우리의 식생활에서 섭취되고 있는 백미 또는 현미상태에서의 유효성분의 분포 및 함량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의 영양적우수성을 규명하고자 유효성분 중 phenolic acid와 폴리페놀 함량을 품종 및 도정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조생종인 오대와 만생종인 남평 품종으로부터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로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도정도별 미강을 각각 제조하였다. Ferulic acid 등 쌀과 미강에 존재하는 phenolic acid 는 알칼리로 추출한 후 pH를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반복 추출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현미에 함유된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가 가장 많아 50% 내외를 차지하였으며 p-coumaric acid, benzoic acid, sinapin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오대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 mg%로서 남평 현미의 57.2 mg%보다 높았으며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백미 중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감소되었다. 미강 중에는 백미의 10배 량에 해당하는 phenolic acid가 검출되었고 benzoic acid와 m-hydroxy benzoic acid는 미강 시료에서만 검출되었다. 도정한 백미 중의 phenolic acid는 28.8∼51.7 mg%, 미강에서 321.4∼438.4 mg%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준 페놀화합물로 카테친을 사용하고 비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오대 현미의 폴리페놀 함량은 78.4 mg%, 남평 현미 88.8 mg% 였다. 도정한 백미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0.3∼56.9 mg%, 미강이 541.5∼472.6 mg%의 범위였다. 이상과 같이 쌀에는 phenolic acid 및 총 폴리페놀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배유보다는 강층에 많이 존재하므로 이들 성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쌀의 섭취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y on Bioactive Property of a Naked Oat Cultivar, Daeyang (Avena sativa L.), Which is Enhanced by Spring Seeding

  • Dea-Wook Kim;Yu Young Lee;Hyeonsoo Jang;Yun-Ho Lee;Jong Tag Youn;Hee Woo Lee;Hak Yong Lee;Young Mi Par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3-183
    • /
    • 2022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avenanthramides(AVN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in the grains of a naked oat cultivar, Daeyang, which were seeded in the fall and spring, and examine the effects of alcohol extracts from the grains on natural killer(NK) cell activity in vitro. The content of AVN-A, AVN-B, and AVN-C in the spring-seeded oat grains was 2.2 folds higher than the fall-seeded oat grains on average. Among these AVNs, the content of AVN-C was 1.9-folds higher in the spring-seeded oat grains(66.1㎍/g), comparing to the content in the fall-seeded oat grains(34.8㎍/g). The content of other phenolic compounds, such as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in the spring-seeded oat grains was 1.1~4.7-folds higher than the fall-seeded oat grains. In particular, sinapin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phenolic acid in the spring-seeded oat grains(50.0㎍/g) and its content was 2.4-folds higher than its content in the fall-seed oat grains. Furthermore, NK cell activity in vitro treated with the spring-seeded oat grain extracts was 158%, and it was 18%p higher than NK cell activity treated with the extracts from the fall-seeded oat grain extracts. Our finding suggest that the bioactive properties of naked oat grains would be enhanced by spring seeding.

  • PDF

다양한 페놀성 물질과 Folin-Ciocalteu 시약의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평가 (Factors Affecting Reactivity of Various Phenolic Compounds with the Folin-Ciocalteu Reagent)

  • 홍정일;김현정;김지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05-21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F-C시약을 이용한 페놀성 물질의 정량방법에서 다양한 종류의 페놀성 성분들의 반응특성 및 반응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정량방법 중 $Na_2CO_3$를 선처리는 F-C시약을 먼저 처리하는 방법에 비해 대부분 페놀성 물질들의 발색반응도 감소를 야기하였으며, 특히 -OH 밀도가 높은 galloyl group을 가진 gallic acid 및 EGCG 등의 성분이 두드러진 감소를 나타내었다. F-C시약과 $Na_2CO_3$를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 F-C시약을 선처리 하는 경우에 비해 각 페놀성 물질의 반응성이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 원인은 페놀성 물질들이 산성인 F-C시약에서보다 $Na_2CO_3$ 용액의 알칼리 환경에서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이며, pH 7.4 및 9의 환경에서 페놀성 물질로부터 생성된 산화물들은 F-C시약과의 반응성이 약화됨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중에 같이 형성된 $H_2O_2$는 F-C와의 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eA와 SiA와 같은 monophenol류는 방법의 차이에 따라 큰 반응성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발색도는 느리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kinetics 패턴을 보였다. 실제 시료에의 적용을 위해 연잎 추출물을 제조하고 각 정량방법에 대한 반응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역시 $Na_2CO_3$ 처리환경에서 현저한 발색반응도 저하를 나타내었다. 보다 정확한 페놀성 물질의 정량을 위해 적절한 표준물질의 선택 및 정량 방법 등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