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ver nitrate-impregnated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들깨유로부터 $\alpha$-Linolenic Acid의 순수분리 (Isolation of Pure $\alpha$-Linolenic Acid from Perilla Seed Oil)

  • 정보영;류수노;허한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28-1032
    • /
    • 1997
  • Low-temperature crystallization method silver nitrate-impregnated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were applied for the isolation of pure $\alpha$-linolenic acid(ALA) from perilla seed oil. ALA or 78% in purity(HALA; yield, 83%) was obtained from the fatty acid mixture(ALA, 65.7%) derived from perilla oil by the low-temperature crystallization method, when the mixture was frozen at -8$0^{\circ}C$ for 210min. ALA over 90% in purity(yield, 71%) was also obtained from HALA ethyl esters(ALA, 78%) by the silver nitrate-impregnated silicic acid column(100cm$\times$10cm, i.d.) chromatography. In addition, the silver nitrate-impregnated silicic acid could be semipermanently used for isolation of ALA, because $Ag^{+}$ ion was not dissociated from the stationary phase.

  • PDF

Ag 담지 다공성 세라믹 비드 제조 및 항균 특성 (Preparation of Ag-impregnated Porous Ceramic Beads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 서원학;한요섭;정영;박재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9-554
    • /
    • 2005
  • 골격 구조를 가진 다공성 세라믹 비드에 질산은 용액을 이용하여 Ag를 담지 하였으며, Ag 담지된 비드의 대장균,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상용화된 Ag-활성탄과 항균 특성에 대해 비교실험도 진행하였다. 질산은 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비드의 내 외부 표면의 Ag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담지된 Ag 입자의 크기는 $0.5{\sim}2.0\;{\mu}m$ 범위로 나타났다. Ag 담지된 비드의 항균 특성은 다음과 같이 관찰되었다 : i) 질산은 용액 농도 및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ii) 포도상구균에 비해 대장균의 경우 더 좋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파속류의 잔류농약분석과정에서 silver ion-silica solid phase extraction에 의한 황화합물의 제거 효율성 (Efficiency of Silver Ion-Silica Solid Phase Extraction for Elimination of Sulfur Compounds during Pesticide Multiresidue Analysis in Allium Species)

  • 박진우;문경미;최영환;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0-65
    • /
    • 2010
  • 파속류에 다량 함유된 황화합물들은 GC/ECD에 민감하게 반응하기에, 이 농산물들의 잔류농약분석에서 방해 물질로 작용하여 농약성분의 분리정량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최근 잔류농약분석에서 정제법으로 여러 가지 고상추출법(solid-phase extraction)이 개발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황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20% 질산은($AgNO_3$)용액 3 ml을 Florosil cartridge (1 g packing, 6 ml tube)에 처리한 은이온흡착 cartridge (silver nitrate impregnated florosil cartridge)를 조제하였다. 이 cartridge를 이용하여 파속류 각 2, 4, 6 및 10 g에 해당하는 추출액을 고상추출법으로 정제한 결과, 양파 6 g, 대파 4 g, 쪽파는 4 g 까지는 황화합물의 95% 이상을 제거할 수 있었다. 그리고, 40종의 농약을 각 파속류에 첨가하고 이 cartridge에서 유출하여 회수율을 분석한 결과 34종이 70~120%의 범위 안에 들었다.

은첨착 대나무 활성탄의 제조와 NO 가스 반응 특성 (Production of Silver Impregnated Bamboo Activated Carbon and Reactivity with NO Gases)

  • 박영철;최주홍;이근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807-813
    • /
    • 2014
  • 대나무를 원료로 탄화 및 활성화온도 $900^{\circ}C$에서 대나무 활성탄을 만들고, 이 대나무 활성탄을 질산은 수용액에 침지시켜 은첨착 대나무활성탄을 제조하였다. 0.002~0.1 mol/L 농도의 질산은 수용액에서 농도변화와 시간 변화 조건에서 은첨착실험을 하였다. 제조된 첨착활성탄의 은첨착량, 비표면적 및 세공분포 등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폐대나무활성탄의 재활용을 위하여 대나무활성탄과 NO 기체의 반응 특성 실험을 열중량분석기를 사용하여 반응온도 $20{\sim}850^{\circ}C$, NO 농도 0.1~1.8 kPa 변화 조건에서 하였다. 실험 결과, 첨착시간 2시간 내에 은첨착이 완료되었고, 질산은 수용액 농도가 0.002~0.1 mol/L로 증가됨에 따라 은첨착량은 1.95 mg Ag/g 활성탄(0.2%)~88.70 mg Ag/g 활성탄(8.87%)로 증가되었다. 대나무 활성탄 특성 분석에서 은첨착량이 증가할수록 세공 부피와 표면적은 은첨착 0.2%일 때 최대이고 은첨착량이 증가할수록 세공체적이 감소하였다. 비등온과 등온 NO 반응에서는 전체적으로 은첨착 대나무활성탄[BA(Ag)]이 대나무활성탄[BA]에 비하여 반응이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NO 반응에서의 활성화에너지는 80.5 kJ/mol[BA], 66.4 kJ/mol[BA(Ag)]로 나타났고, NO 분압에 대한 반응차수는 0.63[BA], 0.69l[BA(Ag)]이었다.

New Record of Two Oligohymenophorean Ciliates (Protozoa: Ciliophora) from Korea

  • Jung, Jae-H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7권4호
    • /
    • pp.280-286
    • /
    • 2021
  • During a field survey on Korean coastal marine waters, two ciliates belonging to the genera Pseudovorticella Foissner & Schiffmann, 1975 and Frontonia Ehrenberg, 1838 in the class Oligohymenophorea de Puytorac et al., 1974, were collected. Even though the two genera are very common in the aquatic ecosystems, they had been superficially studied in Korean habitats. Using the observation of living cells and specimens impregnated by protargol, silver carbonate, and silver nitrate, two newly recorded ciliate are identified as P. paramarina Sun, Ji, Warren & Song, 2009 and F. ocularis Bullington, 1939. A brief diagnosis, remark, and comprehensive micrographs are provided for each species.

가다랭이 안와조직으로부터 DHA의 추출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DHA from Skipjack Orbital Tissue Oil)

  • 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29-537
    • /
    • 1993
  • 가다랭이 안와유로부터 docosahexaenoic acid(DHA)를 정제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들을 적용하여 비교 검토하고, DHA의 효과적인 정제를 위해 조작방법을 개량하였다. 가다랭이 안와조직의 총지질은 $55.4\%$였으며, 이 중 DHA는 $23.7\%$였다. 저온분별결정법과 요소결정법을 적용한 결과 순도에서 각각 약 $46\%$$61\%$의 DHA가 얻어졌다. 이들 방법들은 순도면에서는 다소 떨어지나, 정제조작이 단순하여 다량의 DHA 분리에 적합하였다. 질산은 수용액법은 상기 2가지 방법에 비하여 순도면에서는 약간 개선되었으나, 회수율이 대단히 낮았다($10\%$ 이하). 질산은 함침 실리카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은 고순도 DHA의 정제방법으로써 적합하였다(순도 $98\%$ 이상, 회수율 $90\%$ 이상). 결과적으로 저온분별결정법과 질산은 함침 실리카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조합한 개량법(2단계 정제법)이 가다랭이 안와유로부터 고순도 DHA($99.9\%$)의 정제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 PDF

New Records of Three Dysteriids (Ciliophora: Pyllopharyngea) from Korea

  • Park, Mi-Hyun;Min, Gi-Sik
    • 환경생물
    • /
    • 제33권2호
    • /
    • pp.189-196
    • /
    • 2015
  • We verified three ciliates - Dysteria brasiliensis Faria et al., 1922, Dysteria lanceolata ${Clapar\grave{e}ede}$ and Lachmann, 1859, and Dysteria ovalis (Gourret and Roeser, 1886) Kahl, 1931 - as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in Korea. These three ciliates were collected from Incheon Harbor and Geojin Harbor in Korea. We describe the three species based on live observations, protargolimpregnated specimens, and silver nitrate-impregnated specimens.

Record of two soil ciliates (Ciliophora: Colpodea: Colpoda) from Korea

  • Kim, Kang-San;Ahn, Dong-Ha;Min, Gi-Si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463-467
    • /
    • 2016
  • We collected two unrecorded Colpoda species - C. cucullus $M\ddot{u}ller$, 1773 and C. inflata (Stokes, 1885) Kahl, 1931 from Jeju-do Province (Sarabong Park, $33^{\circ}31^{\prime}N$ $126^{\circ}32^{\prime}E$) in November, 2014. We described these species based on observations of live and impregnated (protargol and silver nitrate impregnation) specimens.

한국산 개암종실의 중성지질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eutral Lipid Components of Korean Hazel Nut)

  • 김미란;고영수;정보섭
    • 약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1-186
    • /
    • 1981
  • Compositions of neutral lipid of the hazel nut (Corylus heterophylla Fischer var. thumbergii Blume, Betulaceae) produced in Korea were analyzed by thinchrography (Iatrosoan TH-10 type), which was equipped with a flame ionization detector. The neutral lipid components were nearly separated of the basis of their degree of unsaturation by employing the chromatography on silica gel sintered rod impregnated with 12.5% silver nitrate and it was noted that triglyceride was the major lipid components of Korean hazel nut. The triglyceride compositions were trilinolenin 10.63, trilinolein 18.01, triolein 42.24, tripalmitin 17.57 and tristearin 11.55% by thinchrographic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