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de of impairment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4초

Electrodiagnostic study of Sympathetic Skin Response on Normal Korean Subjects

  • 김대식;우종균;김병원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501-504
    • /
    • 2009
  • Sympathetic skin response (SSR) is defined as a minute change of skin potential after electrical stimulation. This test measures the change in voltage that originates from the surface of the skin and is attributed to sudomotor activ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riteria for validation of the responses. 40 normal subjects (20-73 years of age) with non-sympathetic dysfunction were tested and SSR was generated form all subjects. SSR latency was 1331.22${\pm}$177.51ms in the right palm, 1331.74${\pm}$156.42ms in the left palm, 1851.79${\pm}$220.99ms in the right sole, and 1874.10${\pm}$215.01ms in the left sole. And SSR amplitude was 595.83${\pm}$221.16${\mu}$V in the right palm, 605.33${\pm}$226.45${\mu}$V in the left palm, 291.76${\pm}$133.36${\mu}$V in the right sole, and 288.77${\pm}$129.70${\mu}$ V in the left sole. SSR latency and amplitude ha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side. SSR latency was consistently shorter (p<0.001) and SSR amplitude higher (p<0.001) in feet than in hands. SSR waveforms were P-type (32 subjects, 75%) and N-type (8 subjects, 25%), respectively. The SSR latency and amplitude in palms/sole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age (p<0.05) and height (p<0.05). The SSR test is one of methods assessing impairment of sympathetic fibers in peripheral neuropathy as well as a disorder of sympathetic system in other diseases and so our results from normal healthy subjects can be used as clinical criteria for SSR test.

  • PDF

Diabetes Management and Hypoglycemia in Safety Sensitive Jobs

  • Lee, See-Muah;Koh, David;Chui, Winnie Kl;Sum, Chee-Fa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2권1호
    • /
    • pp.9-16
    • /
    • 2011
  • The majority of people diagnosed with diabetes mellitus are in the working age group in developing countries. The interrelationship of diabetes and work, that is, diabetes affecting work and work affecting diabetes, becomes an important issue for these people. Therapeutic options for the diabetic worker have been developed, and currently include various insulins, insulin sensitizers and secretagogues, incretin mimetics and enhancers,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Hypoglycemia and hypoglycaemic unawareness are important and unwanted treatment side effects. The risk they pose with respect to cognitive impairment can have safety implications. The understanding of the therapeutic options in the management of diabetic workers, blood glucose awareness training, and self-monitoring blood glucose will help to mitigate this risk. Employment decisions must also take into account the extent to which the jobs performed by the worker are safety sensitive. A risk assessment matrix, based on the extent to which a job is considered safety sensitive and based on the severity of the hypoglycaemia, may assist in determining one's fitness to work. Support at the workplace, such as a provision of healthy food options and arrangements for affected workers will be helpful for such workers. Arrangements include permission to carry and consume emergency sugar, flexible meal times, selfmonitoring blood glucose when required, storage/disposal facilities for medicine such as insulin and needles, time off for medical appointments, and structured self-help programs.

일개 광역시 지역주민의 뇌졸중 조기증상 인식도와 관련요인 (Awareness of Stroke Warning Symptoms and Related Factors among Residents in a Province)

  • 이유미;김건엽;김기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116-5123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일개 광역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여 뇌졸중의 조기증상에 대한 인식도와 관련요인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뇌졸중 조기 증상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홍보 전략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 585명이었으며, 전화조사를 통하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뇌졸중 조기증상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언어, 발음장애(84.6%)', '편마비(73.9%)' 등에 대한 인식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몸의 균형장애(67.0%)', '시야장애(55.4%)', '심한 두통(51.3%)'에 대한 인식도는 낮은 편이었다. 선형회귀분석 결과 남성, 젊은 연령층, 가족력이 없을 때, 이웃의 뇌졸중 진단 경험이 없을 때, 학력이 낮을 때, 홍보물 접촉 경험이 없을 때 뇌졸중 조기증상에 대한 인식도가 낮았다. 뇌졸중 조기증상에 관한 인식도가 낮은 집단에 대하여 집단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홍보 및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간이 폐기능측정기 (mini-Wright)와 비강세척액 (Nasal Lavage)을 이용한 대기오염물질과 호흡기 건강영향 분석 (Effects of Ambient Air Pollution on Respiratory Health of Workers at Highway Tollgate)

  • 이종태;정용;현연주;조혜련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4권1_2호
    • /
    • pp.21-33
    • /
    • 1999
  •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indicated associations between the impairment of respiratory health and exposure to ambient air pollutants such as ozone (O$_3$) , nitrogen dioxide (NO$_2$) , sulfur dioxide(SO$_2$) , particulate matters (PM$\_$10/). To evaluate this associations, we used the pulmonary function tests (peak expiratory flow rate : PEFR) by mini-wright peak flow meter and counting neutrophils in the nasal lavage (NL) as biomarker. From 15 June to 16 July 1998, for the workers in the highway tollgates, PEFR and NL were measured three times daily and twice per week. and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of air pollutants and PEFR and NL were analyzed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and the poisson regression model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all measured air pollutants (SO$_2$, NO$_2$, O$_3$, PM$\_$10/)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value of PEFR. On the other side, SO$_2$, NO$_2$, PM$\_$10/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neutrophils in NL. The increase in SO$_2$, NO$_2$of 10ppb and in PM$\_$10/ of 10$\mu\textrm{g}$/m$^3$was associated with 24%, 21%, 35% increases in neutrophil counts. But the ozone exposure was not associated with NL.

  • PDF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지능형 입력 장치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Intelligent Input Device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전병운;고등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99-205
    • /
    • 2007
  • 국내에 보급되어 사용 중인 장애인용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대부분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기나 소프트웨어이며, 특정 장애 유형과 특정 장애 부위에만 적용 가능한 것들이 대부분이고, 장애정도가 비교적 경도인 장애인의 특수 키보드 또는 특수 마우스 장치가 주류를 이룬다. 이 또한 전체 장애 인구에 비하면 보급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지능적인 특수 입력장치를 통해 다양한 장애 유형과 장애부위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연구하여, 이를 실제 제품화 가능한 수준으로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더 보편적인 보조입력 장치의 설계 및 구현 방안을 위한 제안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건강 기능성 게임의 확산을 위한 유통 전략 연구: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사용자 인식을 중심으로 (Which is the More Important Factor for Users' Adopting the Serious Games for Health? Effectiveness or Safety)

  • 김용영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9호
    • /
    • pp.23-32
    • /
    • 2023
  • 게임을 통해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건강 기능성 게임(SGHs)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디지털 치료제(DTx)는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보한 치료제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의약품 유통방식을 따라야 하지만, SGHs는 웰니스 제품으로 DTx에 비해 보급과 확산이 유연하다. 또한 SGHs는 일시적인 치료 효과가 아닌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효과적이며, SGHs를 인지장애치료나 행동교정 등에 적용할 경우 오작동과 부작용이 경미하다. 본 연구는 SGHs의 지각된 혜택과 위험을 동시에 고려하는 밸런스 프레임워크(Valence Framework)를 기반으로 142명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여 지각된 혜택만이 SGHs 사용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실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SGHs 수용에 있어 혜택(유효성)을 중심으로 홍보하고, 데이터 주도형 (data-driven) 접근방법의 중요성과 데이터 주도형 유통 및 분석 플랫폼 전략의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관절경하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슬와 낭종의 직접적 제거술 (Arthroscopic Direct Removal of Popliteal Cyst by Posteromedial Portal)

  • 조진호;김용훈;김동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2-237
    • /
    • 2005
  • 목적: 슬와낭종의 치료에 있어서 70도 관절경과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직접적 제거술 및 관절낭 주름 제거술 술기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관절경을 이용한 슬와낭종의 직접적 감압술의 방법으로 치료받은 21명, 2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 분포는 35세에서 78세로 평균 54세 였으며, 남자 5명, 여자 16명이었고, 우측 슬관절이 8예,좌측 슬관절이 11예,양측에 발생한 예가 4예 있었다. 수술전 슬관절내 동반 병변의 유무 파악을 위해 전예에서 MRI를 시행하였고, 술후 6개월과 1년째에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낭종의 재발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슬관절 통증과 낭종의 촉지 유무를 관찰하였고, 임상 평가를 위해 Rauschning and Lindgren criteria를 사용하였다. 결과: 23예중 전예에서 1년이상의 최종 추시시 방종이 촉지되지 않았으며, 초음파 검사에서 낭종이 재발한 예는 없었다. 통증 및 보행장애는 없었으며, 합병증은 1예에서 전동절삭기에 의한 후내측 구획부위의 피부손상이 있었다. 수술 후 전예에서 Rauschning and Lindgren criteria는 Grade 1 이상이었다. 결론: 70도 관절경과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치료방법은 낭종재발의 원인이 될 것으로 사료되는 check valve 형태의 낭주름 제거가 용이하며, 슬관절 후면의 피부절개가 없어 미용상 보기 좋으며 그로 인한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므로 슬와 낭종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요양병원 재원 노인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과 관련 요인 (Physical Restraints Use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고영주;하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67-174
    • /
    • 2019
  • 본 논문은 요양병원에 재원 중인 만 65세 이상 노인들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 실태와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3일부터 3월 29일까지 4개의 요양병원에 재원 중인 만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전산 의무기록을 통해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재원 노인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률은 83.7%였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신체적 억제대 유형은 침상난간으로 93.8%의 사용률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는 낙상 위험점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MMSE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로는 낙상 위험점수, MMSE, 치료기구 개수가 신체적 억제대 사용 관련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낙상위험도가 높은 노인 환자의 경우, 인지장애가 심한 경우, 치료기구의 개수가 많아 유지하기 위해서 신체적 억제대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과 관련된 요인을 통해 노인 환자들에게 신체적 억제대가 아닌 대안을 먼저 적용 할 수 있도록 임상간호실무는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폐쇄형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Nasal CPAP의 치료 효과 (The Effect of Nasal CPAP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김치홍;권순석;김영균;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501-508
    • /
    • 1993
  • 연구배경 : 수면무호흡증후군은 성인남자의 1~4%에서 발생되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시 고혈압, 야간 심부정맥, 주간과다졸음, 인지장애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폐쇄형 수면무호흡증후군에 대한 치료로서 여러가지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는데 그중에서도 1981년 Sullivan 등에 의해 개발된 nasal CPAP이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현재 폐쇄형 수면무호흡증후군의 1차적 치료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국내보고가 미비해 저자들은 폐쇄형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의 nasal CPAP의 치료효과와 nasal CPAP 사용에 따르는 문제점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 하였다. 방법 : 수면검사를 통하여 폐쇄형 수면무호흡증후군이 확인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nasal CPAP 착용시의 수면검사를 실시하여 수면중의 호흡변화를 관찰하였고, 환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nasal CPAP 착용에 따르는 문제점들을 알아 보았다. 결과: 1) 대상환자중 무호흡지수가 nasal CPAP 전보다 유의한 감소를 보인 환자가 17명(85%) 이었고, nasal CPAP 전보다 오히려 증가한 환자는 3명(15%) 이었다. 2) 대상환자의 평균 무호흡지수는 nasal CPAP 전의 $34.1{\pm}18.9$/시간에서 nasal CPAP 후의 $15.4{\pm}10.3$/시간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01). 3) 대상환자의 전체 수면시간에 대한 총무호흡시간은 nasal CPAP 전의 $28.5{\pm}16.0%$에서 nasal CPAP의 $11.9{\pm}9.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05). 4) 대상환자의 최장 무호흡시간과 무호흡중 최저산소포화도는 nasal CPAP 후에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5) nasal CPAP의 부작용으로는 마스크착용에 대한 불편감이 16명(80%)으로 가장 많았고, 비강의 건조함이 13명(65%)으로 나타나 nasal CPAP의 장기적 사용에 있어 해결되어야 할 정도로 지적 되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보아 nasal CPAP이 폐쇄형 수면무호흡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장기간의 추적을 통한 nasal CPAP 의 효과와 nasal CPAP의 부작용의 개선을 통한 환자의 순응도 제고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A Study on the Major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Stroke Survivors)

  • 양정빈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239-1261
    • /
    • 2010
  • 본 연구는 장기간 노인(전문)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규명함으로써 대상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방안들을 제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충청지역 및 D 광역시 소재 노인(전문)병원 18곳과 요양시설 13곳에서 장기 입원(입소)하고 있는 55세 이상의 뇌졸중 생존 노인들이며 서베이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08년 12월 16일부터 2009년 1월 17일까지 실시되었고, 총 328부의 설문지가 통계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건강관련 삶의 질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특히 건강관련 삶의 질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영역 중 사회적 관계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투입된 독립변수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우울', '향후 경제적 부담감', '일상생활수행능력', '장애수용', '중복질환', '경제적 주부양자가 배우자인 경우'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기재활 및 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질병관련 요인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규명되었고, 그 가운데서도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이 제일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사회복지사들의 역량을 고취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방안들이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