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ub layer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4초

내장산국립공원 굴거리나무군락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Communit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최송현;오구균;조현서;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5-188
    • /
    • 2011
  • 내장산국립공원 금선계곡을 중심으로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굴거리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37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분석 중 TWINSPAN기법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군락 I과 군락 II는 서어나무군락, 군락 III은 낙엽활엽수군락, 군락 IV는 느티나무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내장산국립공원 내의 금선계곡지역의 굴거리나무는 교목층에서는 출현하지 않은 반면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추후에는 굴거리나무가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아교목층 및 관목층에서 주요종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임령분석결과 금선계곡부에서 서어나무와 느티나무가 우점종인 산림은 약 50여년 내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굴거리나무는 20여년의 수령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石灰岩 地域 굴참나무群集의 構造와 土壤의 物理, 化學的 性質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Chinese Cork Oak ( Quercus variabilis ) Forests in Limestone Area)

  • Kim, Joon-Ho;Hyeong-Tae Mun;Young-Se Kwa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2호
    • /
    • pp.159-169
    • /
    • 1991
  • Floristic cmposition and soil properties were analyzed in chines cork oak(quercus variabilis)cmmunities in the limestone area, tanyang, ch'ungbuk province in korea. The tree layer was composed of quercus dentata, platycarya strobilacea, fraxinus rhynchophylla and others as wel as quercus variabilis. the shrub layer was dominated by ulmus davidiana for. suberosa,shrubby q. variabilis. euonymus alatus and rhus chinensis. among these, u. davidiana for. suberosa was known to have a restricted distribution to calcareous area, and 9 species in the shrub layer including e. alatus, indigofera kirilowii and rhamnus davurica belonged to the calcicole. The herb layer was dominated by carex lanceolata and spodiopogen cotulifer. ten specirs including g. lanceolata, clematis mandshurica, isachne globosa, lithospermum arvense and scabiosa mansenensis belonged to the calcicode. soil texture was classified to clay loam in both top and subsoil. Water cotent and organic matter were consistentl higher in top soil than in subsoil. soil ph rangd 7.8~8.4. Total n concentration in top soil ranged from 0.2 to 0.4mg/g, which was higher than that in subsoil. Available p and exchangeable k concentretion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op soil than in subsoil. However, exchangeable ca concentration was similar betweenthe top and the subsoil. Unlike the other nutrients, exchangeable mg concentration in top soil was lower than that in subsoil. orangic matter, n, p and k content in this chinese cork oak stand showed as much as the other noncalcareous sites. Soil properties in this study area seem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casts forming activities of earthworms.

  • PDF

경포도립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Flora of Kyongpo Provincial Park Area)

  • 박용진;유기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4-235
    • /
    • 1998
  • 본 조사는 1997년 6월부터 1998년 6월까지 4회에 걸쳐 조사된 경포대 일대의 관속식물 종조성과 우점종군을 분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본 지역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87과 240속 281종 51변종 7품종으로 총 339종류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노랑갈퀴, 오동나무(재), 개쑥부쟁이 등 3종은 한국특산종이다. 양치식물계수는 0.61로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은 12종류로 이는 우리나라 귀화식물 218종류의 5.5%에 해당한다. 우점종은 해송과 소나무로 대표되었으며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소나무와 해송, 관목층은 해송, 소나무, 산벗나무, 초본층은 큰기름 새, 김의털, 장구채, 쑥, 애기수영, 닭의장풀, 털질경이 등이 우점하였고, 전체적으로는 아교목층과 관목층이 매우 빈약한 불안정한 임상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남 곡성지역 히어리 군락의 입지환경 및 식생구조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Corylopsis coreana Communities in Gokseong, Jeonnam Province)

  • 문현식;노일;김종갑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96-203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히어리가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전남 곡성군 죽곡면과 오곡면 지역을 대상으로 히어리 군락지의 보존과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히어리 군락은 평균 토양 pH 5.05, 유기물함량 5.22%, 전질소 함량 0.24%, 유효인산 3.25ppm인 토양환경에서 군락이 발달하고 있었다 조사지역의 교목층에 있어서의 중요치는 죽곡이 소나무, 굴참나무, 오곡이 신갈나무, 졸참나무, 소나무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두 지역 모두 히어리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죽곡과 오곡 조사지역의 히어리가 주로 분포하고 있는 아교목층의 종다양도는 각각 0.567, 0.779, 균재도는 0.401, 0.509, 우점도는 0.599, 0.491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목층의 종다양도는 죽곡 1.453,오곡 1.266, 균재도는 죽곡 0.920, 오곡 0.866, 우점도는 죽곡 0.080, 오곡 0.134로 조사되었다. Morisita's index에 의한 히어리의 분포형은 아교목층과 관목층에 있어서 모두 임의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지환경에 따른 잣나무 차대검정림 하층식생 구조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for Prolific Open-Pollinated Progeny Stands of Pinus koraiensis by Environmental Factor)

  • 정동준;김홍률;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51-157
    • /
    • 2003
  • 본 연구는 경기도 가평과 충청북도 영동에 조성된 풍매차대검정림의 하층식생에 대한 입지환경에 따른 군락조성 및 구조에 대한 변화와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가평지역의 임분내 경사는 영동지역에 비해 완만했으며, 토양의 화학적 성질을 분석한 결과 가평지역이 전반적으로 영동치역 보다 전체적인 함량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분내 지역별 임상에 도달하는 상대광도는 가평지역보다 영동치역이 매우 높았다. 전반적으로 잣나무의 생장은 가평지역이 영동지역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생장상태를 보이고 있다. 잣나무 임분의 지역별 관목층의 종구성과 상대 밀도, 빈도, 피도 및 중요치 등에 대한 분석 결과, 가평지역은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영동지역은 상수리나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하층식생은 가평지역에 출현하는 종들은 대부분 토양이 습윤하며 음지에 볼 수 있는 종들로 구성되어 있다. 영동지역은 가평지역에 비해 적은 종이 출현하며 대부분 경사가 심하고 토양이 건조하며 햇빛이 많이 도달하는 곳에 출현하는 종들로 특히 산딸기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잣나무임분의 관목층 및 하층식생의 전체 종다양도는 가평지역이 영동지역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지역간의 지형적인 특성인 경사도의 상이한 차이로 판단되며, 가평지역은 잣나무 생장을 고려하여 간벌이 시행되어져야 하며, 영동은 하층식생에 대한 무육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서울시 아파트단지내 조경수목 배식특성 및 개선 연구 (Improvement Planting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Planting Design with Ornamental Trees in Apartment Complex, Seoul)

  • 이경재;한봉호;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6-248
    • /
    • 2004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조성된 아파트단지내 녹지를 대상으로 식재개념, 식재밀도, 식재유형 및 패턴 등 배식특성을 조사.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지는 아파트단지 녹지면적이 크게 달라지는 시기의 대표대상지인 1978년에 준공된 강서구 화곡주공아파트(2단지)(용적률:99%), 1983년에 준공되 강남구 삼익그린아파트(2차)(용적률:175%), 1992년에 준공된 강서구 동신대아아파트(용적률:225%)를 선정하였으며 녹지를 전면녹지, 측면녹지, 후면녹지로 구분하였다. 대상지의 녹지유형별 식재개념은 경관식재로만 이루어져 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식재종에 있어서도 외래종 조경수목이 주를 이루어 녹지공간별 차이는 없었다. 아파트단지의 식재밀도은 교목 및 아교목층 0.0~0.2주/$m^{2}$로 관목층의 식재밀도가 부족하였으나 조성시기에 따른 식재밀도의 차이는 없었다. 층위구조는 교목.아교목층과 관목층 수목이 각각 다른 위치에 평면적으로 식재된 단층구조이었으며 녹지공간과 관계없이 독립식재, 열식재, 부등변삼각식재가 주로 활용되었다. 아파트 단지내 녹지는 공가별 식재개념에 따라 식재종, 식재밀도, 층위구조, 식재패턴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식재개념에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전면녹지는 시각적 차폐와 미적인 기능, 후면녹지는 녹지량 증지 및 생태적 개념, 측면녹지는 녹지량을 증진을 주된 목적으로 조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산불 후 산림식생 및 토양환경의 변화 (The Changes of Forest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al after Forest Fire)

  • 오기철;김종갑;정원옥;민재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9-29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covery of forest ecosystem at the burned areas of coniferous (Mt. Chosdae) and broad leaved forest (Samsinbong in Mt. Chiri) by investigating the changes of forest vegeta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Samsinbong,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ppeared at the burned area were 5 species at tree layer, 11 species at sub-tree layer and 24 species at herb layer, and at the unburned area were 5 species at tree layer, 14 species at sub-tree layer, 18 species at shrub layer and 23 species at herb layer, respectively. In the Mt. Chosdae,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ppeared at the burned area only showed to 83 species at herb layer, and at the unburned area were 7 species at tree layer, 13 species at sub-tree layer, 21 species at shrub layer and 46 species at herb layer, respectively. 2. I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the burned area of Samsinbong, pH was 5.8, and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_2O_5$, Exchangeable $K^+$, Exchange $Ca^{{+}{+}}$ and Exchange $Mg^{{+}{+}}$ were 7.42%, 0.73%, 28.5mg/kg, 1.3me/100g, 13.3me/100g and 2.2me/100g, respectively. But they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y passing the time. I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the burned area of Mt. Chosdae, pH was 5.3, and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_2O_5$, Exchangeable $K^+$, Exchange $Ca^{{+}{+}}$ and Exchange $Mg^{{+}{+}}$ were 6.42%, 0.25%, 24.4mg/kg, 0.7me/100g, 3.7me/100g and 2.1me/100g, respectively, and they also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y passing the time. 3. A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Samsinbong, the total evolved amounts of soil respiration were $4,049.1mg/m^2/h$ and $9,950.0mg/m^2/h$, respectively. A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Mt. Chosdae, the total evolved amounts of soil respiration were $4,392.4mg/m^2/h$ and $8,286.5mg/m^2/h$, respectively.

  • PDF

성균관대학교 학술림 식생 분석 (Vegetation Analysis at Sungkvunkwan University Forest)

  • 이상화;이규석;김재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5-95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Sungkyunkwan University Forest vegetation at Pocheon. Employing the releve method of Braun-Blanquet, 20 plots were sampled. The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Larix leptolepis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verage coverage rate was 91% in tree layer, 39% in subtree layer, 44% in shrub layer, 43% in herb layer, respectively. The importance values were 61.79% in Larix leptolepis, 52.08% in Quercus mongolica, 44.6% in Pinus koraiensis, 30.35% in Pinus densiflora, 17.78% in Styrax obassia, 10.9% in Fraxinus rhynchophyllia. DBH range of most Quercus mongolica was between 6cm and 15cm. Therefore, Quercus mongolica will be 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area for several more decades.

지리산(智異山) 물박달나무림(林)의 식생구조(植生構造)와 동태(動態)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a Betula davurioa Forest in Mt. Chiri)

  • 안현철;이정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45-458
    • /
    • 1998
  • 본 연구는 지리산 국립공원 오봉리 지역에서 집단적으로 분포하는 물박달나무림의 식생구조와 동태를 분석하여 물박달나무림의 경영과 분포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물박달나무림의 구조는 교목층(18종류), 아교목층(29종류), 관목층(43수종) 그리고 초본층(68종류)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위별 중요치는 교목층에서 물박달나무가 129.9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물오리나무(49.04%), 밤나무(25.58%), 졸참나무(25.02%), 노각나무(14.49%), 아교목층에서 물박달나무(70.81%), 졸참나무(37.47%), 물푸레나무(25.35%), 비목나무(24.52%) 및 노각나무(18.86%)가 높은 우점을 보였고, 관목층에서는 조릿대(28.28%), 비목(24.94%), 개윷나무(20.42%), 국수나무(19.90%), 그리고 초본층에서는 오미자(18.51%), 참취(12.26%), 애기나리(10.63%)로 우점하고 있었다. 30개 조사방형구에서 전층을 대상으로 출현 비출현에 의한 17수종에 대한 $x^2$ 검정결과 굴참나무-상수리나무, 노각나무-검노린재나무, 당단풍-신갈나무간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 밀도에 의한 Pearson 상관에서는 $x^2$ 검정에서 보다, 많은 7개 쌍의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Spearman 상관에서는 모두 18개의 상관이 있는 쌍이 인정되었다. 물박달나무림에 대한 직경급의 분포는 물박달나무림의 지속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치수 발생량이 거의 없어 앞으로 졸참나무, 노각나무 등 교목층과 아교목층을 형성하고 있는 활엽수종과 경쟁에 의하여 천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금원산 자연휴양림 산림식생의 종 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orest Vegetation in the Mt. Geumwon Recreational Forest)

  • 박준호;임종택;구관효;조민기;정혜란;이정환;문현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9-158
    • /
    • 2007
  • 본 연구는 금원산 자연휴양림 산림식생의 층위별 종 조성을 파악하여 산림자원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금원산 자연휴양림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각각 27종과 44종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층위별 중요치는 교목층의 경우 신갈나무와 졸참나무가 가장 높았으며, 아교목층은 당단풍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층과 초본층의 출현수종은 71종과 69종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종다양도와 균재도는 $1.0391\sim1.5403$ $0.7259\sim0.8320$로 각각 분석되었다. 층위별 우점도는 교목층 0.2741, 아교목층 0.2440, 관목층 0.1680, 초본층 0.1702로 금원산 자연휴양림은 전층에서 다수의 종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원산 자연휴양림의 식생구조 분석 결과는 향후 산림자원의 생태적 관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