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ub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6초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21 microsatellite markers in Daphne kiusiana, an evergreen broad-leaved shrub endemic to Korea and Japan

  • Lee, Jung-Hyun;Cho, Won-Bum;Yang, Sungyu;Han, Eun-Kyeong;Lyu, Eun-Seo;Kim, Wook Jin;Moon, Byeong Cheol;Choi, Goya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10
    • /
    • 2017
  • Microsatellite markers were isolated for Daphne kiusiana var. kiusiana (Thymelaeaceae), an evergreen broad-leaved shrub endemic to Korea and Japan. Because its populations in Jeju Island are morphologically controversial, and consistently threatened by anthropogenic pressures, taxonomic delimitation and conservation effort are required at the genetic level. We developed 21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from Next Generation Sequencing data. The primer set included di-, tri-, and tetra-nucleotide repeats. Variability in the markers was tested for 80 individuals of D. kiusiana from three natural populations in Jeju Island and Japan. Among the 21 loci, three were unavailable for population JKJU of Japan. The Neighbor-Joining tree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s described here classified the three population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geographical or morphological traits. These will be a powerful genetics tool for determining the taxonomic boundary and establishing suitable conservation strategies for D. kiusiana in Jeju Island.

보문산 삼림(森林) 군집(群集)의 구조(構造)와 동태분석(動態分析) (II) (The Structural and Dynamic Analysis of the Forest in Mt. Bomun (II))

  • 김지문;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22-27
    • /
    • 1983
  • 보문산의 관목시(灌木尸)을 대상(對象)으로 수종(樹種)의 종군(種群) 분류(分類)와 천이(遷移) 계열(系列)을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5{\times}5m$의 quadrat 22개소(個所) 선정(選定)하였다. 관목(灌木)의 분석(分析)에는 reciprocal averaging(RA) ordination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보문산에 출현(出現)한 관목수종(灌木樹種)은 45종(種)이었으며 우세종(優勢種)은 Quercus aliena, Quercus serr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등(等)이다. 2. RA ordination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보문산의 관목(灌木)은 Zanthoxylum schinifolium에서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Rubus crataegifolius 를 거쳐 Quercus류(類)로 천이(遷移)되며, 또 하나는 Stephanandra incisa-Corylus heterophylla에서 Lespedeza maximowiczii를 거쳐 Quercus류(類)로 천이(遷移)된다.

  • PDF

Grow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Native Habitats in Korea

  • Lee, Da-Hyun;Son, Ho-Jun;Park, Sung-Hyuk;Kim, Se-Chang;Park, Wan-Ge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31-40
    • /
    • 2019
  •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is an endangered deciduous shrub distributed in mountain areas that i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habitats of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habitat in Korea in order to help with management decisions on ecosystem restoration. Rock exposure was 15 to 35%, with an average of 24%. The native habitat of D. pseudomezereum included 129 taxa consisting of 46 families and 95 genera. Two-way cluster analysis divided the habitat into three plant communities: Community I (dominaterd by Tilia amurensis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I (dominaterd by Fraxinus rhynchophyll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ommunity III (dominaterd by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The diversity indices for Communities I, II, and III were 1.124, 1.047 and 0.932, respectively. The soils were loam or clay loam. Soil pH, organic matter content, and available phosphoric acid were 5.40, 14.38%, and 31.08 ppm, respectively. Ordination analysis resulted that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D. pseudomezereum distribution were magnesium content of soil, shrub layer, and altitude.

멸종위기 식물 왕제비꽃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Environment of Natural Habitat of an Endangered Plant, Viola websteri)

  • 송재모;이기영;김남영;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267-276
    • /
    • 2010
  • 환경부 멸종위기 식물과 산림청 희귀식물로 지정된 왕제비꽃의 5개 지역 천연집단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을 조사한 결과 돌배나무-신나무-산뽕나무 우점군락(강원도 홍천군 내면), 신갈나무-물푸레나무-산뽕나무 우점군락(경기도 연인산), 층층나무-당단풍-산뽕나무 우점군락(경기도 유명산), 고로쇠나무-찰피나무(신갈나무)-고추나무 우점군락(경기도 대부산), 일본잎갈나무-고로쇠나무-물푸레나무 우점군락(충북 월악산)으로 조사되었으며, 자생지의 평균 산도는 pH 5.23, 전기전도도 0.30 ds/m, 유기물함량 12.6%, 전질소함량 0.68%, 유효인산 21.66 ppm 및 양이온치환용량 23.45 cmol(+)/kg로 나타났으며, 치환성양이온의 경우 $Ca^{2+}$ > $Mg^{2+}$ > $K^{2+}$순으로 감소하였다. 왕제비꽃은 둥굴레 및 이질풀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포아풀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본층에서는 대부산 지역이, 초본층에서는 월악산 지역의 종다양성지수가 각각 0.9656, 1.3295로 가장 높았으며, 최대종다양도는 목본층의 경우 홍천군 내면 지역이 1.3010, 초본층의 경우 대부산 지역이 1.6435로 가장 높았다. 균재도의 경우 목본층은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인 월악산 지역(0.5330)을 제외하면 0.6185~0.8947 범위에, 초본층은 0.6984~0.8356 범위에 있었으며, 우점도는 목본층의 경우 월악산 지역(0.4670)을 제외하면 0.1053~0.3815, 초본층은 0.1644~0.3016의 범위에 있었다.

서울 도심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향상 연구 (A Study on Ai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nd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Street Green Areas in Seoul, Korea)

  • 정희은;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7-49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 내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수종, 식재유형, 가로녹지 구조, 녹량(녹지용적)에 따른 기온 변화량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종별 비교 가능한 3종 이상의 가로수가 식재된 유형은 교목 1열+관목이었으며, 보차간 기온차이 평균값 간 분석에서 소나무 $1.35^{\circ}C$, 느티나무 $1.84^{\circ}C$, 은행나무 $2.00^{\circ}C$, 양버즘나무 $2.57^{\circ}C$이었다. 규격이 크고 수관폭이 넓은 수종은 가로변에 그늘을 제공하여 기온 저감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로수 식재유형과 기온과의 관계 분석결과는 교목 1열 유형은 평균기온 차이 $1.80^{\circ}C$, 교목 2열 유형은 평균기온 차이 $2.15^{\circ}C$로 교목 열수 증가에 따라 보차간 기온차이 평균값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로녹지 구조별 기온 저감 효과 분석결과는 교목 유형 $1.94^{\circ}C$, 교목+관목 유형 $2.49^{\circ}C$, 교목+아교목+관목 유형 $2.57^{\circ}C$이었으며, 기온저감은 단층구조보다 다층구조에서 효과적이었다. 녹량(녹지용적량)과 기온저감량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녹량이 많을수록 기온저감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수관용적이 크고 교목층의 열수가 많으며, 다층구조인 식재형태는 가로 내 녹량과 관계가 있음을 의미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 기준을 제안하였다. 보도폭 3m 이하인 경우에는 수관용적이 작은 낙엽활엽수와 최대 1m의 띠녹지 조성을 통한 교목+관목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보도폭 3m 이상인 경우에는 수관용적이 큰 낙엽활엽수 다열 식재 및 1m 이상의 띠녹지 조성, 교목과 관목뿐만 아니라, 아교목 성상의 수목 식재를 통한 다층구조 녹지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로변 완충녹지의 식재구조에 따른 초미세먼지(PM2.5)농도 저감효과 연구 - 서울 송파구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Decreasing Effects of Ultra-fine Particles (PM2.5) by Structures in a Roadside Buffer Green - A Buffer Green in Songpa-gu, Seoul -)

  • 황광일;한봉호;곽정인;박석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61-7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계획시설로 조성되는 완충녹지가 $PM_{2.5}$(초미세먼지) 저감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도로변 완충녹지의 구조, 녹량(녹지용적), 식재유형에 따른 초미세먼지 변화량을 분석하여 초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완충녹지 조성 시 활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지는 송파구를 선정하였고, 양재대로, 송파대로에 인접한 5개의 완충녹지에서 16개 조사구를 선정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PM_{2.5}$ 농도 측정결과, 조사구별 평균농도는 계절 상관없이 보도 $46.6{\mu}g/m^3$, 녹지 $45.5{\mu}g/m^3$, 주거지 $42.9{\mu}g/m^3$로 모두 도로($53.2{\mu}g/m^3$)보다 낮았으며, 주거지 농도 값이 가장 낮았다. 완충녹지의 농도 저감효과 확인을 위해 완충녹지의 녹량과 초미세먼지 상대비율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교목과 관목 전체 녹량이 높은 그룹의 상대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완충녹지 녹량의 영향력을 증명했으며, 관목 부족형이 교목 부족형보다 농도상대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관목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교목과 관목의 식재구조에 따른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가 복합적으로 $PM_{2.5}$ 농도 저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교목의 열수와 관목의 층위구조가 $PM_{2.5}$ 농도 저감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겨울철 완충녹지의 $PM_{2.5}$ 농도저감 특성 분석결과, 관목의 녹피율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한반도 온대중부 낙엽활엽수림 장기생태조사지에서 15년간 하층식생 군집의 시계열적 변화 (Sequential Changes in Understory Vegetation Community for 15 Years in the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in Central Temperate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of Korea)

  • 김민수;윤순진;박찬우;최원일;천정화;임종환;배관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3-236
    • /
    • 2021
  • 본 연구는 온대 낙엽활엽수림의 하층식생 변화를 구명하여 산림생태계의 체계적 보전과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3년 경기도 포천 광릉 숲에 1ha 크기의 영구조사구를 설치하였으며, 영구조사구는 10×10m 크기의 부조사구 100개로 구성되었다. 영구조사구의 임분동태 및 하층식생은 2003년부터 2018년까지 5년 간격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구에 출현하는 관속식물은 56과 128속 176종 18변종 4품종 1아종으로 총 199분류군 이었다. 관목층과 초본층의 종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RPP-test 분석 결과 관목층의 종조성은 2008년-2013년을 제외한 모든 연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본층의 경우 모든 연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중요치에서 관목층은 참회나무(18.23%), 당단풍나무(16.48%), 작살나무(13.85%)가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초본층에서는 단풍취(23.41%), 애기나리(9.45%), 주름조개풀(5.62%)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층은 상층 임분의 흉고단면적과 임분밀도가 높을수록 청미래덩굴, 청괴불나무, 고광나무의 풍부도가 높았으며, 흉고단면적과 임분밀도가 낮을수록 당단풍나무, 물참대, 산뽕나무, 산딸나무의 풍부도가 높았다. 시간이 경과할수록 흉고단면적과 임분밀도는 초본층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반면, 관목층의 참회나무와 당단풍나무의 피도는 초본층종 구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광릉 장기생태조사지의 하층은 종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이 과정은 상층 임분의 종다양성과 흉고단면적, 임분밀도가 하층식생 종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기오염 및 산성비가 서울지역 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Plant Community Decline by the Air Pollutant & Acid Rain in the Metropolitan Area)

  • 유창희;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0-94
    • /
    • 1992
  • To inspect the changing of the forest soil and plants community structrure by air plooutand & acid rain during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1990, the smapling sites were selected in the Piwon, Namsan and Kwangnung forest. In sites, plots were set up in Q. aliena forest at Piwon,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forest at Namsan and Q.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forest at Kwangnung. To obtain the individual number of trees, number of species, importance values and species diversity, using the Curtis & McIntosh methods. The results are following that; 1) In Pinus densiflora community, it was almost dominated by Q. spp. in the canopy layer and P. densiflora and Carpinus laxiflora through the subtree to shrub layer at Kwangnung. It wassaid that C. laxiflora is the climax species in moddle temperature zone. On the contrary, in Namsan forest, there is no appearance thesamplings of P. densiflora & C. laxiflora, but Styrax japonica and Stephanandra incisa that are acid-tolerance species are dominant ones. On the other hand, in Q. spp. community, Q. spp. and C. laxiflora are dominant ones. On the other hand, in Q. spp. community, Q. spp. and C. laxiflora are dominant species through all layer, and in addition C. cordata somewhat appear at Kwangnung. But at Namsan and Piwon forest, Q. mongolica & Q. aliena that were dominant species in canopy layer disappeared in the subtreeand shrub layer, and C. laxiflora and Corunus cordata absolutely disappeared. It were similarly dominated by Robinia pseudo-acacia, Styrax japonica, Sorbus alnifolia, Acer pseudo-sieboldianum, Rhododendrn mucronulatum and so on at Namsn and Piwon forest. In the light of these facts, it found out that disclimax was similar between Namsan and Piwon forest. 2) Species diversity and maximum species diversity were decreased in Kwangnumg, Namsan, Piwon in order. It was xpected that vegetational community was affected by environmental pollutant. 3) As the vegetational community structure analyses, using DCA technique among the ordination, ecological successional series are stopped to Q. spp. from P. densiflora at Namsan and Piwon, but that of Kwangnung is on the way that P. densiflora, Q. alena, C. laxiflora. It was obvi ously different from Namsan and Piwon. 4) In Q. spp. & P. densiflora community, the number of woody plants inNamsan & Piwon is much less than that of Kwangnung through all Layer. Especially, Piwon shown very severe difference. Through all community,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Piwon and Namsan are less than that of Kwangnung. Specially, that of the shrub layer is obvious. 5) In the growth rate of trees, it found out that all sites showed the growth decline phenomena. Especially, since in 1975, there have been the micro disclimax phenomena in Q. community of Kwangnung. 6) In the Q. community, soil acidity of Namsan & Piwon measured 4.57, 4.40 respectively. It was very strong acidity and far lower than that of Kwangnung. Also the content amount of Mg++ in Namsan & Piwon forest were still lower than Kwangnung.

  • PDF

점봉산 생물권 보전지역내 온대낙엽수림에서 미소환경요인과 식생요인의 공간분포와 상관 분석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Microenviromnent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in Mt. Jrnbong Biosphere Reserve Area, Korea)

  • 이규송;조도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41-253
    • /
    • 2000
  • 생태계 내에서 미소환경요인과 식생 요인의 상호관련성을 밝히는 일은 생태계의 구성원리와 생태계의 관리에 많은 도움을 준다.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점봉산 일대의 온대낙엽수림에서 식생요인과 환경요인의 공간적 이질성을 정량화하고, 임상식생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미소환경요인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대부분의 환경요인과 식생요인은 영구방형구내 미소지소간에 변이를 나타내었다. 환경요인 중에서 공간의존도가 높은 요인들은 지형적요인(고도, 경사도), 낙엽층 두께, 토양수분 함량 및 상대광도이었고, 공간의존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요인은 낙엽층 두께, 상대광도 및 마그네슘 함량이었다. 식생요인 중에서 아교목층의 피도, 가을 초본층의 피도 및 철쭉꽃의 피도를 제외하고는 모든 변수들의 공간의존도는 높은 편이었다. 교목층의 피도, 관목층의 피도 및 가을 초본층의 종다양성 지수의 공간의존거리는 15 m 이내이었고,초봄 초본층의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지수 및 가을 초본층의 종풍부도의 공간의존거리는 28∼48 m이었다. 초봄과 가을 임상식물의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지수의 공간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낙엽층 두께, 경사도, 아교목층의 피도, 관목층의 피도, 조릿대의 피도 등이었는데,그 중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낙엽층 두께로서 낙엽층 두께가 두꺼운 곳일수록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지수가 낮은 경향이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낙엽층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는 바람의 방향, 미소지형 및 관목의 밀집정도로 추정되었다.

  • PDF

도농통합형 도시에 있어서 생물서식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III) - 천안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otop's Characters of the Mixed Rural City(III) - Case Study of Chonan -)

  • 방광자;이행렬;강현경;박성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8-57
    • /
    • 1999
  • This study was aimed to establish biotop unit of the mixed rural city for the method and process of the biotop mapping system. Survey site was Maejuri of Seunghwan(158ha), Gisanri of Mokchon(132ha) and Namkwanri, Pungsemeon(214ha). So the main process was divided by 4 schemes such as Biosphere, Geosphere, Antrosphere and Evaluation. Also the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as used to make the database of the biotop and biotop complex, analyze the cross-combinations and analyze the characters of the biotop. Biotop mapping system had 5 steps which were proceeded with research goals, constructing the spatial database and attribute database, classifying the 3 types of biotop such as tree/shrub biotop, grass biotop and wetland biotop, cross-analyzing 3 biotop types with land use, habitat characters, relief characters and danger/disturbance elements and evaluating the 3 types of biotop. The results of applicating the biotop mapping system on the research site as followings : The distributions of the land uses in Maejuri, Seunghwan eup in Chonan city were recorded by forest(29.8%), orchard(14.1%) and landscaping around building site(9.0%). Gisanri, Mokchonmeon were composed of forest(64.5%), farm(12.8%) and Namkwanri, Pungsemeon were concentrated rice field(39.6%), dwell district(22.4%). The Tree/Shrub biotop type was reclassed by the forest type, natural and artificial decidous type with natural coniferous. The Grass biotop type was reclassed by the wild grassland type, garden type and peddy field with wild grassland. The distributions of the wet land were pointed high at the wet land type with reed marsh and edge vegetation around wet land in reservoir and river. The evaluation of the mapped bitopes was completed to the following aspect, "amenit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 high value of 7.13%(1 class) was shown Maejuri, Seunghwan eup. The regions which were studied synthetically are divided to three parts ; the area where have nature and art mixed(Seunghwan), the area which is more artificial because people inhabit there for a long time(Pungsemeon) and the area that ecological environment is threatened by development pressure(Mokchonmeon). Therefore, ecological restoration plan which depends on specific property of the regions should be established. Also the interdisplinary researches were needed to develop the BMS(Biotop Mapping System) in Korea because of the differences with Germany, England's ecological habitat condi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