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t-term feeding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5초

기관지폐 형성이상 미숙아의 젖병수유 시 저산소증: 생후 4개월까지 수유상태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Oxygen Desaturation during Nutritive Sucking in Premature Infants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 Its Effect on Feeding and Growth until 4 Months of Corrected Age)

  • 임창환;이주영;이현승;이정현;김소영;성인경;전정식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134-141
    • /
    • 2008
  • 목 적 : 기관지폐이형성을 가진 미숙아에서 젖병 수유(nutritive sucking) 시 산소포화도 저하를 알아보고 저하 정도의 차이가 수유 상태 및 단기 성장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 2002년부터 2007년까지 6년간 가톨릭의대 부속 성모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기관지폐이 형성으로 진단된 미숙아 중에서 심장, 위장관계 및 호흡 기계의 주요 기형이 없었던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재태주령 36주되는 시기에 관찰한 젖병 수유에 따른 산소 포화도의 저하 정도에 따라서 산소포화도 저하가 없거나 경한 14명(A군)과 중등도 이상의 산소포화도의 저하를 보였던 20명(B군)의 임상적 특성, 수유 상태 및 성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유 시 산소포화도가 저하되는 정도는 경증(85-89%), 중등도(81-84%), 중증(${\leq}$80%)으로 나누었다. 결 과 : B군이 A군에 비하여 출생 시 체중이 더 작고, 이른 재태주령에 출생하였으며, 입원기간이 길었고, 늦은 재태주령 시기에 퇴원하였으며, 인공환기 및 산소요법 기간이 더 길었다. B군은 A군보다 젖병 수유를 늦게 시작하였으며, 수유 전 산소포화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젖병 수유 시 산소포화도의 저하 정도가 심했다. 재태주령 40주되는 시점에 수유곤란을 경험한 영아는 B군에 더 많았고, 평균 체중 및 평균 성장 속도도 B군에서 A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교정연령 4개월 시점에는 수유곤란을 경험한 영아의 수, 평균 체중, 성장 속도 등에 있어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기관지 폐 이형성을 가진 미숙아에서 젖병 수유에 의하여 유발되는 산소포화도 저하가 중등도 이상인 경우 수유 곤란 및 성장 부진과 연관이 있으나 그 적용기간은 4개월 미만이었다.

Effect of Triticale Dried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on Ruminal Bacterial Populations as Revealed by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 Wu, R.B.;Munns, K.;Li, J.Q.;John, S.J.;Wierenga, K.;Sharma, R.;Mcallister, 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1호
    • /
    • pp.1552-1559
    • /
    • 2011
  • Real time PCR was us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 of triticale dried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TDDGS) as a replacement for grain or barley silage in finishing diets on the presence of six classical ruminal bacterial species (Succinivibrio dextrinosolvens, Selenomonas ruminantium, Streptococcus bovis, Megasphaera elsdenii, Prevotella ruminicola and Fibrobacter succinogenes) within the rumen contents of feedlot cattle. This study was divided into a step-wise adaptation experiment (112 days) that examined the effects of adaptation to diets containing increasing levels of TDDGS up to 30% (n = 4), a short-term experiment comparing animals (n = 16) fed control, 20%, 25% or 30% TDDGS diets over 28 days, and a rapid transition experiment (56 days) where animals (n = 4) were rapidly switched from a diet containing 30% TDDGS to a barley-based diet with no TDDGS. It was found that feeding TDDGS as replacement for barley grain (control vs. 20% TDDGS) decreased 16S rRNA copy numbers of starch-fermenting S. ruminantium and S. bovis (p<0.001 and p = 0.04, respectively), but did not alter 16S rRNA copy numbers of the other rumen bacteria. Furthermore, feeding TDDGS as a replacement barley silage (20% vs. 25% and 30% TDDGS) increased 16S rRNA copy numbers of S. ruminantium, M. elsdenii and F. succinogenes (p<0.001; p = 0.03 and p<0.001, respectively), but decreased (p<0.001) the 16S rRNA copy number of P. ruminicola. Upon removal of 30% TDDGS and return to the control diet, 16S rRNA copy numbers of S. ruminantium, M. elsdenii and F. succinogenes decreased (p = 0.01; p = 0.03 and p = 0.01, respectively), but S. dextrinosolvens and S. bovis increased (p = 0.04 and p = 0.009,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replacement of TDDGS for grain reduces 16S rRNA copy numbers of starch-fermenting bacteria, whereas substitution for barley silage increases 16S rRNA copy numbers of bacteria involved in fibre digestion and the metabolism of lactic acid. This outcome supports the contention that the fibre in TDDGS is highly fermentable.

단기간의 식이섬유 첨가물의 섭취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의 당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ort-Term Feeding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on Glucose Metabolism in Subjec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 이연경;이혜성;김보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46-854
    • /
    • 1996
  •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식이섬유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병원에서 처방된 식사에 더하여 일일 5g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콩가루 비스켓(15명, 대조군), 20g을 포함하는 비지 비스켓(9명 , 불용성 고식이섬유군) 또는 25g을 포함하는 다시마 비스켓(10명, 수용성 고식이섬유군)을 2주 동안 첨가 섭취시킨 후 당질대사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기간 중 당뇨병 환자들의 일일 열량 섭취량은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하루 실제로 섭취한 평균 총 식이섬유량은 대조군이 $19.1\pm4.3g(13.8\pm8.0g/1000kca1),$ 비지 비스켓군이 $32.5\pm4.1g(19.7\pm3.8g/1000kcal),$ 다시마 비스켓군이 $38.1\pm5.5g(24.5\pm4.5g/1000kcal)이었다.$ 비지 비스켓과 다시마 비스켓의 2주간 섭취 후 공복시 고혈당의 하강폭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컸으며 (p<0.05), 경구 포도당 부하 후의 내당능도 뚜렷하게 개선되었다(p<0.05). 경구 포도당 부하검사 및 글루카곤 자극검사를 통해 관찰한 바 혈청 인슐린과 C-peptide 수준 및 혈장 글루카곤의 농도는 2주간의 고식이섬유 첨가물의 섭취에 의해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당화혈색소 수준은 2주간의 식이 섬유 첨가물 섭취 후에 다소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변화로는 판정되지 않았고 일일 요당의 배설량은 세군 모두에서 비스켓 섭취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2주 동안의 식이섬유 첨가 섭취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의 당질대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므로 비지와 다시마 첨가물이 당뇨병의 식사요법에서 유용한 고식이섬유 식품 첨가물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볏짚 및 톨페스큐 건초 급여가 홀스타인 육성기의 성장, 초산월령 및 사료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ice Straw and Tall Fescue Hay for Holstein Dairy Heifers on Growth, Age at First Calving and Feed Cost)

  • 유진수;이신자;김현진;이성실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0-29
    • /
    • 2024
  • 본 연구는 톨페스큐와 볏짚의 급여가 육성기 젖소 성장과 초산연령 및 사료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다. 결과적으로 번식 기간 동안 볏짚 처리구는 톨페스큐 처리구에 비해 성장과 초산연령에서 지연이 있었지만, 단기적으로는 사료 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하지만 단기적인 사료값 절감효과로 생각해서는 안되며, 초산 분만 이후 착유우의 생산성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와 연구가 꼭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수입산 톨페스큐를 대체할만한 볏짚을 제외한 국내산 조사료의 이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지며, 이를 위한 국내산 조사료의 품질 향상 및 생산 증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Nutrient intake, digestibility and performance of Gaddi kids supplemented with tea seed or tea seed saponin extract

  • Kumar, M.;Kannan, A.;Bhar, R.;Gulati, A.;Gaurav, A.;Sharma, V.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486-494
    • /
    • 2017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utrient intake, digestibility, microbial protein synthesis, haemato-biochemical attributes, immune response and growth performance of Gaddi kids fed with oat fodder based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either tea seed or tea seed saponin (TSS) extract. Methods: Eighteen male kids, $7.03{\pm}0.16$ months of age and $19.72{\pm}0.64kg$ body weight, were distributed into three groups, $T_0$ (control), $T_1$, and $T_2$, consisting of 6 animals each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kids were fed a basal diet consisting of concentrate mixture and oat fodder (50:50). Animals in group III ($T_2$) were supplemented with TSS at 0.4% of dry matter intake (DMI), and group II ($T_1$) were supplemented with tea seed at 2.6% of DMI to provide equivalent dose of TSS as in $T_2$. Two metabolism trials were conducted, 1st after 21 days and 2nd after 90 days of feeding to evaluate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effects of supplementation. Results: The tea seed ($T_1$) or TSS ($T_2$)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DMI as well as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re, and acid detergent fibre. Nutritive value of diet and plane of nutrition were also comparable for both the periods. However, th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improved (p<0.05) for $T_1$ and $T_2$ as compared to $T_0$. The microbial protein supply was also higher (p<0.05) for $T_1$ and $T_2$ for both the periods. There was no effect of supplementation on most blood parameters. However, the triglyceride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decreased (p<0.05) and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 increased (p<0.05) in $T_2$ as compared with $T_0$ and $T_1$. Supplementation also did not affect the cell mediated and humoral immune response in goats. Conclusion: Tea seed at 2.6% of DMI and TSS at 0.4% DMI can be fed to Gaddi goats to improve growth rate, FCR an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Effects of a Very Low Carbohydrate (Pork Rind-Based) Diet on Weight Gain, Serum Levels of Cholesterol, Triacylglycerol, Glucose, Ketone Bodies and Insulin and Body Composition in Adult Rats

  • Seo, Kyung-Hoon;Koh, Mi-Ran;Lee, Chong-Eon;Kim, Kyu-Il
    • Nutritional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65-69
    • /
    • 2004
  • A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very low-carbohydrate diet on weight gain, body composition, and serum levels of cholesterol, triacylglycerol, glucose, ketone bodies and insulin. Twenty rats (mean initial weight, 212 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ach group was assigned a conventional high-carbohydrate diet (control) or a very low-carbohydrate diet containing 59.8% ground pork rind snack and fed the diet for four weeks.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the first two weeks, but was significantly lower in rats fed the very low-carbohydrate diet than in those in the control group during third (p<0.05) and fourth weeks (p<0.01). Feedintake as well as energy intake was lower in rats fed the very low-carbohydrate diet than i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very low-carbohydrate diet reduced (p<0.01) serum triacylglycerol (34$\pm$83 vs 82$\pm$8 mg/l00 mL) and insulin (3.90$\pm$0.53 vs 7.60$\pm$0.61 $\mu$IU/mL) levels, while increasing (p<0.01) ketone body level (368$\pm$25 vs 236$\pm$24 $\mu$mol/L), compared with the control. Serum glucos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not different (p>0.05) between the two dietary treatments. Proximate analysis of carcasses showed that the very low-carbohydrate diet decreased (p<0.01) body fat (26.1$\pm$1.04 vs 30.5$\pm$0.86%), while increasing (p<0.01) body protein (63.1$\pm$0.94 vs 59.4$\pm$0.70%) contents. Results indicate that short-term feeding of a very low-carbohydrate diet is beneficial for alleviating risk factors known to involve cardiovascular diseases or artherosclerosis. However, more studies with model animals as well as humans are recommended to examine the long-term health benefits of low-carbohydrate diets.

참재첩을 이용한 부영양호의 수질개선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 the Application of Filter-feeding Bivalve (Corbicula leana Prime) in a Eutrophic Lake)

  • 김호섭;박정환;공동수;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37권3호통권108호
    • /
    • pp.332-34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여과섭식성 이매패류인 참재첩(Corbicula leana)의 섭식에 따른 수체내 영양염 및 입자성 물질의 변화를 mesocosm (width ${\times}$ length ${\times}$ depth: 3 m ${\times}$ 3 m ${\times}$ 0.5 m)에서 분석함으로써 수질개선기법으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짧은 기간 동안의 mesocosm실험은 패류의 교체를 통한 연속적인 두 단계로 수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패류 투입 이후 8일 동안이며 패류의 교체 이후의 진행된 8일 동안의 실험은 두 번째 단계로 구분된다. 이러한 연속적인 실험을 통해 조개의 섭식에 따른 수질변화를 좀더 명확하게 비교할 수 있었다. 재첩 투입 직후 높은 패사율을 보였으나 처리구의 교체가 있던 8일의 재첩의 패사율은 4 ind $day^{-1}$ 이하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엽록소 a 농도는 투입 직후의 수체 내 농도와 비교해 패류의 교체전과 후에 각각 71%, 88% 감소하였고 부유물질은 70%, 77% 감소하였으며, 여과율은 평균 0.46과 0.61 mL AFDW $mg^{-1}$ $hr^{-1}$이였다. 폐사율이 높았던 시기에 수중 내 암모니아성 질소와 용존총인이 증가하였다. 폐사율과 암모니아 농도는 양의 상관성을 보인 반면에 (r = 0.95, P<0.001), 용존총인의 농도는 폐사율과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r = 0.94, P<0.001). 패류의 폐사율이 낮았던 교체 이후에도 암모니아의 농도는 증가하였고 실험 초기 대조구와 비교해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P= 0.042, ANOVA). 반면에, 용존 총인은 비록 농도가 증가하였으나 초기 대조구와 비교해 큰 차이는 없었다(P= 0.509, ANOVA). 이러한 결과들은 만약 패류가 투입 초기에 새로운 서식지에 성공적으로 정착한다면 부영양 호수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프래더 윌리 증후군의 유전학적 발병 기전에 따른 표현형 및 성장 호르몬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Phenotype-genotype correlations and the efficacy of growth hormone treatment in Korean children with Prader-Willi syndrome)

  • 배근욱;고정민;유한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315-322
    • /
    • 2008
  • 목 적 : PWS의 두 가지 대표적 유전형인 미세결실형과 mUPD (15)형에서, 유전형에 따른 표현형의 차이와 성장 호르몬 투여 효과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 1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15번 염색체의 미세 결실에 대한 FISH 검사 및 메틸화-특이 PCR 검사를 통해 PWS로 확진된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시 부모의 연령, 출생 체중, PWS의 주요 표현형인 신생아 시기의 저긴장증, 수유 문제, 남아의 경우 잠복 고환, 발달 지연 및 정신 지체, 저신장, 저색소증, 사시, 척추측만증 등의 유무, 성장 호르몬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미세결실형 군과 mUPD(15)형 군으로 나누어 유전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유전학적 검사상 53명의 대상 환아 모두 미세결실형 또는 mUPD(15)형으로 진단되었으며, 미세결실형은 39명, mUPD (15)형은 14명이었다. 평균 진단 연령은 $4.51{\pm}5.19$세였다. 출생 당시 부모의 연령은 mUPD(15)형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01), 저색소증(P=0.0001)과 신생아기의 수유 부전(P=0.049)은 미세결실형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나, 그 외의 조사된 표현형에서는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성장 호르몬은 20명의 환아[미세결실형 14명, mUPD(15)형 6명]에게 평균 $27.9{\pm}11.9$개월 동안 투여되었다. 두 유전형 간에 성장 호르몬 치료 전 및 치료 후의 신장 SDS, 체중 SDS, 체질량지수, IGF-1, IGFBP3, 신장 증가 속도, 체중 증가 속도의 값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PWS의 주요한 두 유전형의 비교에서, 부모의 연령은 mUPD(15)형에서 의미 있게 높았으며 신생아기 수유 부전과 저색소증은 결실형에서 의미 있게 많았다. 성장 호르몬의 치료 효과에서는 두 유전형 간에 의미 있는 반응의 차이는 없었다. 향후 두 유전자형과 다른 표현형들(예를 들면 행동, 발달, 지능 등) 과의 연관성에 관한 전향적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tability of the growth process at pulling large alkali halide single crystals

  • V.I. Goriletsky;S.K. Bondarenko;M.M. Smirnov;V.I. Sumin;K.V. Shakhova;V.S. Suzdal;V.A. Kuznetzov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4
    • /
    • 2003
  • Principles of a novel pulse growing method are described. The method realized in the crystal growing on a seed from melts under raw melt feeding provided a more reliable control of the crystallization process when producing large alkali halide crystals. The slow natural convection of the melt in the crucible at a constant melt level is intensified by rotating the crucible, while the crystal rotation favors a more symmetrical distribution of thermal stresses over the crystal cross-section. Optimum rotation parameters for the crucible and crystal have been determined. The spatial position oi the solid/liquid phase interface relatively to the melt surface, heaters and the crucible elements are considered. Basing on that consideration, a novel criterion is stated, that is, the immersion extent of the crystallization front (CF) convex toward the melt. When the crystal grows at a <> CF immersion, the raised CF may tear off from the melt partially or completely due to its weight. This results in avoid formation in the crystal. Experimental data on the radial crystal growth speed are discussed. This speed defines the formation of a gas phase layer at the crystal surface. The layer thickness il a function of time a temperature at specific values of pressure in the furnace and the free melt surface dimensions in the gap between the crystal and crucible wall. Analytical expressions have been derived for the impurity component mass transfer at the steady-state growth stage describing two independent processes, the impurity mass transfer along the <> path and its transit along the <> one. The heater (and thus the melt) temperature variation is inherent in any control system. It has been shown that when random temperature changes occur causing its lowering at a rate exceeding $0.5^{\circ}C/min$, a kind of the CF decoration by foreign impurities or by gas bubbles takes place. Short-term temperature changes at one heater or both result in local (i.e., at the front) redistribution of the preset axial growth speed.

Reduction of slaughter age of Hanwoo steers by early genotyping based on meat yield index

  • Jeong, Chang Dae;Islam, Mahfuzul;Kim, Jong-Joo;Cho, Yong-Il;Lee, Sang-S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5호
    • /
    • pp.770-777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arly hereditary endowment to establish a short-term feeding program. Methods: Hanwoo steers (n = 140) were equally distributed into four groups (35/group) based on genetic meat yield index (MYI) viz. the greatest, great, low, and the lowest at Jukam Hanwoo farm, Goheung. All animals were fed in group pens (5 animals/pen) with similar feed depending on the growth stage. Rice straw was provided ad libitum, whereas concentrate was fed at 5.71 kg during the growing period (6 to 13 mo) and 9.4 kg during the fattening period (13 to 28 mo). Body weight (BW) was measured at two-month intervals, whereas carcass weight was determined at slaughtering at about 31 months of age. The Affymetrix Bovine Axiom Array 640K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chip was used to determine the meat quantity-related gene in the blood. Results: After 6 months, the highest (p<0.05) BW was observed in the greatest MYI group (190.77 kg) and the lowest (p<0.05) in the lowest MYI group (173.51 kg). The great MYI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ly (p<0.05) higher BW than the lowest MYI group. After 16 and 24 months, the greatest MYI group had the highest BW gain (p<0.05) and were therefore slaughtered the earliest. Carcass weigh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greatest and the great MYI groups followed by the low and the lowest MYI groups. Back-fat thickness in the greatest MYI group was highly correlated to carcass weight and marbling score. The SNP array analysis identified the carcass-weight related gene BTB-01280026 with an additive effect. The steers with the allele increasing carcass weight had heavier slaughter weight of about 12 kg. Conclusion: Genetic MYI is a potential tool for calf selection, which will reduce the slaughter age while simultaneously increasing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