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t-range wireless acces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4초

Sheetlike Waveguide for 2.4 GHz and 5 GHz Bands

  • Eom, Kun-Sun;Hiroyuki, Arai
    • ETRI Journal
    • /
    • 제32권1호
    • /
    • pp.112-119
    • /
    • 2010
  • We present a useful design for a free access mat which supports two frequency bands of 2.4 GHz and 5 GHz. The free access mat is a sheet-shaped waveguide which consists of a tightly coupled double-layered microstrip resonator array. It provides easy access for devices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Interference is a common problem with conventional applications which use free space transmission. Our proposed wireless access system uses a subsidiary waveguide, the free access mat. Wireless devices are proximately coupled to the free access mat through which the coupled electromagnetic (EM) wave transmits. The arrival domain of the EM wave of an application is therefore limited to an area close to the free access mat. Wireless devices can be coupled to the free access mat at an arbitrary position without contact. We previously presented a free access mat for a single frequency band. This paper presents a free access mat for the two frequency bands of 2.4 GHz and 5 GHz. The free access mat uses a ring patch resonator array which is easily excited by typical antennas and is resistant to interference. These characteristics are demonstrated by numerical simulation and confirmed by experiment.

On the Interference of Ultra Wide Band Systems on Point to Point Links and Fixed Wireless Access Systems

  • Giuliano, Romeo;Guidoni, Gianluca;Mazzenga, Franco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6권2호
    • /
    • pp.163-172
    • /
    • 2004
  • Ultra Wide Bandwidth (UWB) spread-spectrum techniques will playa key role in short range wireless connectivity supporting high bit rates availability and low power consumption. UWB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wireless local and personal area networks providing advanced integrated multimedia services to nomadic users within hot-spot areas. Thus the assessment of the possible interference caused by UWB devices on already existing narrowband and wideband systems is fundamental to ensure nonconflicting coexistence and, therefore, to guarantee acceptance of UWB technology worldwide. In this paper, we study the coexistence issues between an indoor UWB-based system (hot-spot) and outdoor point to point (PP) links and Fixed Wireless Access (FWA) systems operating in the 3.5 - 5.0 GHz frequency range. We consider a realistic UWB master/slave system architecture and we show through computer simulation, that in all practical cases UWB system can coexist with PP and FWA without causing any dangerous interference.

차량 통신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지능형 WAVE/DSRC 플랫폼 기술 연구 (Intelligent WAVE/DSRC Platform Technology for Efficient Data Transmission in Vehicle Communication)

  • 김재완;전현민;김승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519-1526
    • /
    • 2017
  • The existing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scheme has a limitation in providing various service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lligent WAVE/DSRC hybrid wireless platform that can improve data transmission speed and extend the effective communication range. This paper introduces WAVE/DSRC integrated platform technology using WAVE(Wireless Access in Vehicle Environment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DSRC. First, the desinged software configuration of the WAVE/DSRC integrated platform is described. Then each task operation scheme and WAVE software design are described. By applying the WAVE/DSRC integrated platform, we can compensate the shortcomings of DSRC. It can provide more accurate and reliable services.

딜레마구간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를 위한 로봇카 기반의 개념검증 모형 시스템 (A Robotcar-based Proof of Concept Model System for Dilemma Zone Decision Support Service)

  • 이혁준;정영욱;이형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7-62
    • /
    • 2014
  • 최근 들어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WAVE(Wireless Access for Vehicular Environment) 등의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고속 이동 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안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딜레마구간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를 위한 로봇카 기반의 개념검증모형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소개한다. 제안하는 모델 시스템은 무선랜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임베디드 리눅스기반의 로봇카 및 차량탑재장치 에뮬레이터, 운전자의 동작을 모사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원격조종기, 신호제어기와 신호시스템을 모사하기 위한 노트북 PC, 노변기지국을 모사하기 위한 무선랜 AP(Access Point)로 구성된다.

무선자원 서비스 수요예측 방안 (Forecasting Methodology of the Radio Spectrum Demand)

  • 김점구;장희선;신현철
    • 정보학연구
    • /
    • 제5권4호
    • /
    • pp.173-18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무선통신 서비스를 위한 필수 자원인 주파수의 수요예측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는 효율적인 국내 전파자원 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업무이다. 제안한 방법론은 크게 기본 서비스군 분류, 유효 트래픽 도출 및 주파수 수요예측의 세단계로 구성된다. 기본 서비스군 분류 단계에서는 기존의 주파수 수요예측 방법론의 결과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Wide area mobile, Short range radio, Fixed wireless access 및 Digital video broadcasting으로 나누며, 유효 트래픽 도출 단계에서는 총 트래픽을 erlang 및 bps 단위로 환산하여 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유효 트래픽 도출 단계에서는 사용자 분류, 기본 어플리케이션 분류 및 어플리케이션별 유효 트래픽 추정의 과정을 거친다. 끝으로, 주파수 수요예측 단계에서 각 서비스군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 수요예측 방법론을 제시한다.

  • PDF

IEEE 802.16 BWA 환경에서의 가입자 수용용량 분석 (Analysis of Termination Capacity in IEEE 802.16 Broadband Wireless Access Environments)

  • 임석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65-73
    • /
    • 2005
  •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대용량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무선랜은 도달거리가 짧아서 가입자가 기지국(Base Station)에서 멀어지면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고, 무선인터넷은 사용비용이 높다. 최근에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개발한 휴대 인터넷 시스템인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시스템은 휴대폰과 무선 랜의 중간 영역에 위치한 이동초고속인터넷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와이브로 시스템의 근간을 이루는 IEEE 802.16 BWA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서비스별 트래픽 모델과 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트래픽 혼합 비율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최종적으로는 WiBro 시스템에서 셀 당 수용 가능한 최대 가입자 수를 산출하였다.

  • PDF

홈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주파수 도약 펄스 위치 변조된 초 광대역 시스템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Time Hopping Pulse Position Modulated Ultra-Wideband System for Home Sensor Network)

  • 노재성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68-275
    • /
    • 2006
  • 가정과 사무실 정보 응용 및 서비스의 급격한 확산은 광대역 근거리 멀티미디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무선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고품질 미디어와 고속의 무선 연결을 위한 요구에 의하여 IEEE 표준화 그룹은 WPAN을 위한 고속 물리 계층을 고려하고 있다. 협대역의 펄스 전송을 기반으로 하는 UWB 다중 접속 기술은 고속의 서비스 제공, 낮은 전력 소모, 정확한 측위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 제어된 UWB 디바이스로 구성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페이딩 환경에 대한 UWB의 BER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얻어진 결과는 주어진 네트워크 구조에 따른 성능 분석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UWB 홈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유용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블루투스 기저대역 모듈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Bluetooth Baseband Module)

  • 천익재;오종환;임지숙;김보관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21-24
    • /
    • 2001
  • Bluetooth wireless technology is a publicly available specification proposed for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for short-range and point-to-multipoint voice and data transfer. It operates in the 2.4GHz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band and offers the potential for low-cost, broadband wireless access for various mobile and portable devices at range of about 10 meter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structure and the test results of the bluetooth baseband module we have developed. This module has a UART interface for HCI and a audio codec for voice. The interface between controller and this module supports common control interface. An FPGA implementation of this module is tested for file and bit-stream transfers between PCs.

  • PDF

멀티미디어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수요예측 모형 (Frequency Forecasting Model for Next Wireless Multimedia Services)

  • 장희선;한성수;여재현;최성호
    • 산업공학
    • /
    • 제18권3호
    • /
    • pp.333-342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forecasting methodology of the mid and long-term frequency demand in Korea. The methodology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classification of basic service group, calculation of effective traffic, and frequency forecasting.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e classify the services into wide area mobile, short range radio, fixed wireless access and digital video broadcasting in the step of the classification of basic service group. For the calculation of effective traffic, we use the measures of erlang and bps. The step of the calculation of effective traffic classifies the user and basic application, and evaluates the effective traffic. Finally, in the step of frequency forecasting, different methodology will be proposed for each service group and its applications are presented.

소셜 네트워킹 응용을 위한 NFC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FC Services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노재성;김완태;이만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8-570
    • /
    • 2013
  •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P2P(Peer-to-Peer) 통신을 제공하며 RFID를 능가하는 근접 비접촉 기술로 임의의 디바이스 형태로 언제 어디서든 전체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기술이다. NFC는 근거리 무선 기술로 데이터 교환, 연결 초기화, 보안 스마트 키, 입장권 구입, 접속제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킹 응용을 위한 NFC 서비스 사례를 연구하며 스마트 디바이스와 서버 모델을 위한 NFC P2P 기반의 SNS 응용 신호흐름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