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eline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2초

Foreshore Resources Survey of Shanghai in QuickBird Image

  • Xingnan, ZHANG;Fei, NI;Shuangquan, XU;Longhua, GA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281-1283
    • /
    • 2003
  • By use of RS and GIS, the QuickBird image and geographic map were used for the survey of the foreshore resources of Shanghai. The image was processed and interpreted. The distribution maps of sea dike, foreshore, vegetation, soil, hydraulic structures, landscape, topography, and so on were extracted in manual classification. These data have been integrated in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the shoreline and foreshor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volvement analysis of the shoreline and foreshore.

  • PDF

거제 고현만 주변해역의 지형 및 해안선 변화 특성 (Coastal Topography and Shoreline Change in Gohyun Bay, Geojedo)

  • 김종규;김명원;이문옥;이연규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37-142
    • /
    • 2004
  •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troversy over the change of coastal topography and shoreline by coastal erosion in Gohyun Bay, Geojedo. In this study, we analyzed aerial photographs and surveyed coastal topography and shoreline. Changes between years were identified using a GIS overlay analysis and field surveys with DGPS, Total Station and Echo Sounder. As a result, we were able to identify changes by coastal erosion in the area of Gohyun Bay, Geojedo.

  • PDF

해안선 변형 예측에 대한 수치모델 연구 (A Study on the Numerical Model for Predicting Shoreline Changes)

  • 박정철;한건모;김재중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6-161
    • /
    • 1993
  • Structures built in the coastal area often cause unexpectedly severe shoreline change on the adjacent beaches. Therefore, beach evolu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the coastal engineering. Beach evolution in the coastal area consisted of wave transform model and sediment transport model. Ebersoale's elliptic mild slope equation which considered the effect of combind wave refraction and perline and Dean's one line theory for the sediment transport model were used in this study. Kwangan beach was selected as study area and field observations were done. Numerical simulation for beach evolution in the Kwangan beach was performed and shoreline change predictions were suggested as results.

  • PDF

원격 무인 자동 영상 관측 시스템을 활용한 해안선 변화 관측 및 분석 (Observation and Analysis of Shoreline Changes Using the Remote Unmanned Automatic Camera Monitoring System)

  • 김태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9-106
    • /
    • 2003
  • 부산 해운대 백사장에 설치된 원격무인 자동 영상 관측시스템에서 관측한 비데오 영상을 이용하여 해안선 변화를 관측하고 분석하였다. 1999년 10월 태풍 바트 기간 중 촬영된 비데오 경사 영상들에 평균영상처리 및 기하 보정 기법을 적용함으로서 파랑과 조석에 의하여 변화되는 해안선의 변화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카메라 관측 시스템은 파랑과 조석 등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해안선을 저비용 고효율로 장기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중관측 정보를 이용한 일산지 해안선변화 분석 (Analysis of Ilsan Beach Shoreline Change Using Multiple Observation Information)

  • 한충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574-583
    • /
    • 2013
  • 각 지자체가 관리하고 있는 해안지역은 지형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해안 공간에 대하여 최근 들어 공학적 측면과 경제적, 문화적 측면이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울산 동구에 위치한 일산지 해안에 대한 해안선 변화에 대하여 다중관측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해안선 분석을 위하여 VRS-RTK(Virtual Reference System by Real-Time Kinematic) 측량, 항공사진, 지상라이다 측량, 그리고 고정기준점에 의한 측량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고정기준점 설치를 통한 해안선 관측과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중관측정보를 분석한 결과 일산지의 경우 해안선의 중하단 부분은 침식현상(6~12m)이 나타나고 있으며, 상단부분은 퇴적현상(3~14m)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Impact Assessment of Beach Erosion from Construction of Artificial Coastal Structures Using Parabolic Bay Shape Equation

  • Lim, Changbin;Lee, Sahong;Park, Seung-Min;Lee, Jung Lyul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36-441
    • /
    • 2020
  • Wave field changes resulting from artificial coastal structures constructed in coastal zones have emerged as a major cause of beach erosion, among other factors. The rates of erosion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have varied mainly owing to the construction of various ports and coastal structures; however, impact assessments of these structures on beach erosion have not been appropriately conducted. Thus, in this study, a methodology to assess the impact of erosion owing to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s has been proposed, for which a parabolic bay shape equation is used in determining the shoreline angle deformation caused by the structures. Assuming that the conditions of sediment or waves have similar values in most coastal areas, a primary variable impacting coastal sediment transport is the deformation of an equilibrium shoreline relative to the existing beach. Therefore, the angle rotation deforming the equilibrium of a shoreline can be the criterion for evaluating beach erosion incurr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s. The evaluation criteria a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safety, caution, and danger. If the angle rotation of the equilibrium shoreline is 0.1° or less, the beach distance was considered to be safe in the present study; however, if this angle is 0.35° or higher, the beach distance is considered to be in a state of danger. Furthermore, in this study, the distance affected by beach erosion is calculated in areas of the eastern coast where artificial structures, mainly including ports and power plants, were constructed; thereafter, an impact assessment of the beach erosion around these areas was conducted. Using a proposed methodology, Gungchon Port was evaluated with caution, whereas Donghae Port, Sokcho Port, and Samcheok LNG were evaluated as being in a state of danger.

실용적 해안선 후퇴 반영 알고리즘 (A Practical Algorithm to Simulate Erosion of On-Shore Zone)

  • 김효섭;이정수;진재율;장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23-430
    • /
    • 2013
  • 일반적 형태의 해안영역에서의 퇴적물이동, 퇴적 및 지형변화를 예측하는 수치모형에서 전빈의 침식으로 인한 해안선 후퇴가 가능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평균해수면 기준의 해안선 인근 영역에서는 저면 경사가 저면 퇴적물의 종류, 조석과 조류, 파랑, 연안류 등 외력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해안선에서의 저면경사는 어느 정도 안정된 범위내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연중 변화 또한 거의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사의 변동 한계값을 이용하여, 해중 침식이 지속되어 해안선에서의 저면 경사가 계속 증가하는 경우, 이러한 한계 경사를 넘게 되면, 이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저면경사가 한계값 내로 돌아오도록 해안선 인근에서의 저면 형상을 조정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침식이 지속되는 경우 해안선이 지속적으로 후방으로 후퇴하는 현상을 수치모형에서 재현할 수 있게 된다. 개발한 알고리즘을 우물함수형의 침식 상황, 즉 한 점에서 일정 플럭스로 준설을 지속할때 주변 지형이 우물함수 분포 형상으로 침식되어 가는 과정을 잘 재현하였다. 발달하는 해안선의 형태가 거의 원형의 동심원으로 나타나므로 알고리즘의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또 개발한 알고리즘을 침식지역이 일정속도로 하강하는 가상상황에 적용하여 보았으며, 동심원적 지형 변화를 잘 재현하였다. 본 알고리즘을 기존의 수치모형 CST3D 시스템에 채택하여, 등경사 평판형 해안에 이안제가 놓여 있을 경우에 대한 지형변화 수리모형실험의 조건과 동일한 조건을 대상으로 모형실험을 수행한 결과, 해안선의 변화를 정성적으로 만족스럽게 재현하였다.

후포해빈에서 해안선의 장기변화 및 전연안표사량의 추정 (Long-Term Shoreline Change and Evaluation of Total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Rate on Hupo Beach)

  • 박일흠;이영권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5-20
    • /
    • 2007
  • The harbor siltation by longshore sediment transports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on the East Coast of Korea. A reasonable prediction of the longshore sediment rate is important to approach the siltation problem effectively. In the recently developed 1-line model, the empirical constants of the sediment transport formula, which include the absolute quantity of sediment transport rate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breaking wave height by wave deformation, are treated as calibration parameters. Since these constants should be determined by the very long-term shoreline data, the longshore sediment rates are much more reasonable values. The method was applied to Hupo Beach, which has experienced heavy siltation. The authors also discuss long-term shoreline change using aerial photos and the observed wave-induced cur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W-direction sediment transport rate was $146,892m^3/year$, and the NE direction was $2,694,450m^3/year$ at Hupo Beach for the last 11 years. The siltation in Hupo Harbor might be affected by the NE-direction sediment transport from Hupo Beach.

장기 바람 관측 통계치에 의한 수영만의 해안선 변화 (Shoreline Change Based on Long Term Wind Statistics in Suyeong Bay)

  • Kang, Hyo-Jin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0-156
    • /
    • 1994
  • 연안 퇴적물 이동에 의한 수영만의 광안리와 해운대 지역의 해안선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 지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동쪽과 남쪽 사이에서 부는 바람의 15년간 풍향별 발생 빈도를 이용한 월별 평균 풍향과 풍속을 계산하여 JONSWAP법에 의한 심해 유의파를 추정하고, 굴절 및 천수효과에 의한 쇄파고와 쇄파각을 계산하였으며, 그에 의한 연안 퇴적물 이동량을 계산하고 퇴적물 이동량의 수급에 따른 해안선의 변화를 계산하였다. 광안리 지역에서는 주된 연안 퇴적물 이용이 남서에서 북동방향으로, 해운대 지역에서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안리 지역의 해안선은 북동쪽이 전진, 남서쪽이 후퇴하는 양상을 보이고, 해운대 지역은 동쪽이 후퇴, 서쪽이 전진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