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hape fitnes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7초

2·30대 저체중 여성의 상의 치수체계 제안 (A Suggestion of the Size-designation for the Underweight Women's Tops in their 20s-30s)

  • 임지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23-429
    • /
    • 2013
  • This study helps out-size consumers purchase tops and improve the fitness of unde-weight women in their 20s-30s and by the establishment of a size system. The criteria for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ose under 18.5($kg/m^2$) of the BMI; subsequently, a total of 233 females were enrolled. The results were: First, the nominal size for female adult formal dress suggested by the KS standard is suggested in 20 sections. The sections for underweight women are 7, (34 women who accounted for 14.59% out of 233 in total). The cover efficiency was 2.08% (which was very low). Second, tests showed that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part body size of 7 sections for underweight women in the normal size section of bust cir.- hip cir.- height, and KS standard, waist cir. among reference sizes was rather small in the case of a nominal size for long height. Therefor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ize in the KS standard and a sizing system proven improper for underweight woman. Third, the basic body sizes and reference body sizes were different due to the size system establishment according to measurements of underweight subject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underweight types according to bust girth and hip girth sizes that represent basic sizes as well as to design patterns that consider the underweight body shape characteristics when women's tops are designed.

The Modified Hanbok Jeogori Pattern Development Using Virtual Dressing System - Based on Female Bodice Pattern -

  • Jeon, Seong Yeon;Wee, Hye J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6호
    • /
    • pp.66-76
    • /
    • 2017
  • This study used a virtual wearing system equipped with body shape data with a 3D scanner, based on a female basic bodice, to develop a modified Hanbok Jeogori with high fitness capabilitie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ified Hanbok Jeogori pattern for the academic and industrial fields. In this study, the representative modified Hanbok design which most frequently appeared in broadcasting ads and on line was selected. The wearing test was conducted by six professionals, and three times wearing tests were implemented based on 17 evaluation item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processed statistically using SAS 9.0. We conducted, the F-test for significance verification, the Duncan-test for a post test, and a correlation analysis of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a reliability test of dressing test results were implemented for each of the three tests. The pattern of the developed modified Hanbok Jeogori overcame the defects of the short length of the conventional modified hanbok, and could fix the length issue. The developed Hanbok pattern solved the overlapping problem of the shoulder, back neck point-sleeve length(Whajang), and armhole, displayed in a straight line from the Godae point of the previous modified Hanbok; it suggested the position of the Seop and neck line in the basic bodice. Based on this, the Seop width, Git form, Goreum and the width, length, and position of the string whose dimensions can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국내 여성의 애슬레저 웨어 제품구매추구 및 착용실태 조사 - 20~50대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urchasing and Wearing Status of Korean Women's Athleisure Wear Products - Focusing on Women in Their 20s to 50s -)

  • 이종규;임호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70-379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earing status and design preferences regarding athleisure wear, focusing on you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participating in yoga and fitness activities. A total of 332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survey by setting the same number of samples for each age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you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exhibited weight control, and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maintained their health in relation to exercise. Athleisure wear brands were found to prefer foreign brands over domestic brands. When purchasing athleisure wear, the foremost considerations were material functionality, fit according to body shape, and reasonable prices. The preferred athleisure wear leggings design showed that both middle-aged women and young women preferred nine-piece leggings. Women in their 20s to 50s were found to purchase and acquire information on athleisure wear online. Hence, the pattern of life is rapidly transitioning from offline to online, and the market structure of athleisure wear is gradually transitioning toward an omni-channel society with a distribution market structure that combines information technology(IT) and mobile technolog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thleisure wear of various functional products that meet the trends according to the global market environment and consumer class.

서울 일부지역 중학생의 희망 체질량지수에 따른 에너지 섭취 상태 (Energy Intake according to Expected Body Mass Index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 고민정;배윤정;김현진;최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0-3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희망하는 체질량지수에 따른 에너지 섭취 상태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28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또는 희망하는 체중과 신장을 근거로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도군으로 분류하여 체형 및 체중조절에 대한 인식과 에너지 섭취 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15세이었으며, 남학생은 147명(52.5%), 여학생은 133명(47.5%)이었다. 현재 비만도군에 따라 성별 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희망하는 비만도군에 따라서 저체중군은 남녀 각각 15%와 82%, 정상체중군은 71.4%와 16.5%, 과체중군은 13.6%와 1.5%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01) 여학생은 체중감소를, 남학생은 체중증가를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체형에 대해 저체중군은 적당하다(38.7%), 정상체중군은 적당하다(45.5%)와 약간 뚱뚱하다(39%), 과체중군은 약간 뚱뚱하다(65.2%)라는 응답이 가장 높아, 현재 비만도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에 있어 현재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은 보통이다(36.9%, 44.7%), 과체중군은 관심이 많다(52.2%)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던 반면, 저체중 희망군은 관심이 많다(55.7%), 정상체중 희망군은 보통이다(51.2%), 과체중 희망군은 관심이 없다(45.5%)라는 응답이 가장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각 P<0.001). 체중조절 경험이 있다는 비율은 전체대상자의 47.9%이었으며, 현재 과체중군(71.7%), 정상체중군(51.2%), 저체중군(34.2%)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0.001), 희망 비만도군에 따라서는 저체중 희망군(57.3%), 정상체중 희망군(40.2%), 과체중희망군(36.4%) 순으로 높았다(P<0.001). 전체대상자의 1일 에너지 섭취량은 2,057.1 kcal이었으며, 현재 비만도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희망 비만도군에 따라서는 저체중 희망군의 에너지 섭취량이 1943.1 kcal, 정상체중 희망군이 2165.0 kcal, 과체중 희망군이 2152.1 kca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체중감소를 더 희망하고, 체중감소를 원할수록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과 경험이 높고, 에너지 섭취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음 치유의 숲 Vita Parcours 도입 사례 연구 - Vita Parcours 도입을 사례로 - (A Case Study on Introducing Vita Parcours as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y in Saneum Healing Forest)

  • 이진규;김기원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1-81
    • /
    • 2018
  • 삶의 질을 중시하는 가치관, 산림 기본계획 등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 질적으로 향상된 산림레포츠 시설조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산림레포츠시설보다 이용 편의가 높은 Vita Parcours의 도입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Vita Parcours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해보기 위해 아세안 자연휴양림, 운악산 자연휴양림, 유명산 자연휴양림, 중미산 자연휴양림, 산음 자연휴양림, 양평 치유의 숲 등 수도권 산림복지시설의 운동시설과 숲길 현황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운동시설은 총 31개이며 시설당 평균 5.2개가 조성되어 있었다. 조성 위치는 숲길 안 2개, 숲길 옆 9개, 숲길 경계 2개, 숲길 외 장소에 위치한 경우는 18개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 동작은 총 44개이며 민첩성 23개, 지구력 12개, 근력 9개로 나타났다. 숲길은 총 34개이며 시설 당 평균 5.7개가 조성되어 있었다. 법정 숲길 종류는 트레일 30개소, 둘레길 2개소, 휴양 치유숲길 1개소, 탐방로 1개소로 조사되었다. 형태는 직선형 32개, 환상형 2개이며 평균 길이 652.6m, 고도차 60.0m로 나타났다. 이들 대상지의 숲길 환경을 Vita Parcours가 지닌 지형, 거리, 경사 등 특성과 비교 분석한 결과 산음 자연휴양림이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음 자연휴양림 안에는 현재 치유의 숲이 운영되고 있고 우수한 임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Vita Parcours를 도입하기에 가장 잠재력이 높고 타당성이 높은 곳이다. 따라서 Vita Parcours 도입 시 정책적 도움을 주기 위해 산음 자연휴양림 내에 도입 후보지를 제안하였다. 산음휴양림 내 길이 1.84km, 고도차 73.0m의 숲길을 선정하였으며, 운동지점과 전체 운동 동작 수는 Vita Parcours와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그리고 산음휴양림 내 Vita Parcours 시설 조성 시 이용자의 이용 편의를 위해 적정한 숲길 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왜곡도 계수를 고려한 GEV 분포의 도시위치공식 유도 (Derivation of Plotting Position Formulas Considering the Coefficients of Skewness for the GEV Distribution)

  • 김수영;허준행;최민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2호
    • /
    • pp.85-96
    • /
    • 2011
  • 연최대수문량의 도시적 분석에 주로 이용되어 온 확률도시위치는 표본자료와 적정 확률분포형의 적합도를 표시하여 초과확률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일부 적합도 검정에도 사용되기도 한다. 확률도시위치를 결정하는 도시위치공식은 오래 전부터 꾸준히 연구되어 왔는데, 특히 빈도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GEV 분포에 대한 연구는 다른 분포형보다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GEV 분포에 적합한 도시위치공식을 추정하고자 GEV 분포의 순서통계량의 평균 개념을 이용하여 이론적 축소변량을 유도하였다. 또한 다양한 표본크기와 형상 매개변수와 연관이 있는 왜곡도 계수를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도시위치공식을 적용하고,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도시위치공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유도된 도시위치공식의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해 이론적 축소변량과 금회 유도된 도시위치공식을 포함한 다양한 도시위치공식에 의해 계산되는 축소변량 사이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시위치공식은 GEV 분포의 형상 매개변수가 -0.25~0.10의 범위를 가질 때 이론적 축소변량과 가장 작은 오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여성용 브래지어 원형 개발연구(제2보) -패턴그레이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sic Brassiere Pattern for Adult Women(Part II)-Focusing on Pattern Grading-)

  • 박은미;손희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21-83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rading method of the basic brassiere patterns therewith, provide for 12 size's brassiere patterns and prove fitness of their's and shape.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AS 6.12 for Means, Standard Deviation,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asic sizes adopted at the first design stage (see fig.1-2) were 75AA, 75A and 75B each of which was designed as upper foundation basic pattern in reference to the cup size. At the second stage, each of the upper body foundation basic pattern was used to design lower cup, upper up, front panel and wing in their order(see fig.3-6). At the third stage, the other sizes were graded in reference to the three brassiere patterns (75AA, 75A and 75B) to produce 12 brassiere sizes(see Tab. 7-8). In order to develop the basic patterns of adult women's brassieres, 33 women were selected per 11 size combination(3 women per size combination), and then, their brassiere fitting was teated. As a result, the fronts of the basic patterns were found to have such problems as undone front center, poor levelling of upper cup's bottom line or lower cup's top line, poor shape of upper cup's outside top line and shoulder strip position. On the other hand, on the rear side of the basic patterns, the central part of the wing was slightly lifted, while the wing width and straps'interval did not befit the ful1-cup brassiere. The result of this first brassiere fitting test showed that the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of the basic pattern brassieres were more or less satisfactory, and thus, the problems were addressed for the second teat. In the second test, the aesthetics, breast-shaping effect and functionality of the basic pattern brassieres were much improved. 2. We were to present the final brassiere sizing system to extend the interior length of breast and the exterior length of breast on the basis of fitting test. Thereby, 75B$.$80A$.$80B$.$85A$.$85B's the interior lengths of breast were enlarged to 0.7cm, the rest size was enlarged to 0.5cm and the exterior length of breast was enlarged to 0.5cm regardless of sizes. 3. The upper foundation basic patterns of 75AA and 75B were presented and and the basic brassiere pattern and grading pattern were presented through to.

생활무용 참가가 여성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of Leisure Dance Participati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among Women)

  • 곽한병;구경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407-416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무용 참가가 여성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9년 서울 경기도지역에 있는 스포츠센터, 일반동호회, 지역동호회, 댄스학원, 일반인을 대상으로 생활무용에 참여하고 있는 20~50대 성인여성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300명을 추출 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분석결과 Cronbach's $\alpha$ 값이 .70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요인분석, 공변량분석,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무용 참가여성은 비참가여성에 비해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생활무용 참가기간은 체형, 만족, 유연성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참가강도는 체형과 근력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생활무용참가기간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참가빈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의 생활무용 참가정도는 신체 이미지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즉 생활무용 활동 정도는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신체이미지 변수를 통하여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에서 보듯이 신체이미지는 생활무용 참가와 자아존중감을 연결해주는 중요한 매개변수 역할을 한다.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기존 국소의치 맞춤 보철 제작과 심미적인 인공치 수리 증례 (Fabrication of surveyed crown and repairing the artificial teeth for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digital technology: a case report)

  • 김인아;오은지;박상원;임현필;윤귀덕;박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40권2호
    • /
    • pp.82-90
    • /
    • 2024
  • 치조제의 조직 변화, 의치 또는 지대치의 파절 등으로 인해 국소의치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기존 국소의치의 금속 구조물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하면 몇 가지 장점이 존재한다.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고, 새로운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 여러 번 내원할 필요가 없다. 자연치아가 파절되어 의치를 수리할 때 사용되는 인공치는 자연치아와 유사한 형태를 갖기 어려우며, 심미적인 인공치 수리를 위해서는 환자 개개인의 치아 형태와 유사한 맞춤형 인공치 제작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CAD/CAM 기술을 이용한 기존 국소의치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하여 높은 유지력과 적합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맞춤형 인공치아를 디자인하여 더욱 심미적이고 조화로운 의치 수리가 가능하다.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여 기존 국소의치에 맞춤형 보철물과 인접치열을 미러링한 맞춤형 인공치를 제작하여 의치를 수리한 증례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과정을 단순화하면서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적설 자료의 빈도해석을 위한 확률밀도함수 개선 연구 (Frequency analysis for annual maximum of daily snow accumulations using conditional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

  • 박희성;정건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9호
    • /
    • pp.627-635
    • /
    • 2019
  •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과거 눈이 내리지 않던 지역에 폭설이 내리거나 대설에 의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등의 설해가 발생하였다. 이에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에 대설에 의한 설해 대비를 포함하는 등의 정책적인 변화가 생겼으나, 우리나라는 그동안 대설 피해가 많지 않았었기 때문에 대설이나 적설 자료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다양한 각도에서 수행한 적이 거의 없다. 우리나라의 적설자료는 강우자료와 특성이 다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남해안 일부 지역은 연중 눈이 한 번도 내리지 않는 경우가 다수 있어, 연최대치계열 자료 중에 값이 없는 경우가 빈번히 존재하는 등 중도절단 자료(censored data)와 비슷한 특성을 가진다. 실제로 부산 지점은 적설관측시 시작된 이후 연최대치계열 자료의 값이 없는 경우가 전체 시계열의 36% 이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설자료의 빈도해석은 기존 강우자료의 빈도해석 절차에 준해 시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연최대치계열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존의 빈도해석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기간에 대해 0으로 가정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하거나 해당기간을 제외하고 빈도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가지 경우 모두 구해진 확률분포의 적합도가 매우 낮은 경우가 존재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적설자료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조건부결합확률분포를 이용하여 확률밀도함수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기본 방법에 비해 적합도가 더 높은 확률밀도함수를 구할 수 있었으며, 100년 빈도 이상의 고빈도에서 기존 방법에 비해 대체로 적설심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대 15%의 차이를 보였다. 눈의 단위중량에 따라 지역별로 하중은 달라질 수 있으며 그 영향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는 건축물의 설계기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재해저감을 위한 대책 수립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