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man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4초

중국 무속복식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 귀주성 덕강현 나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ymbolism of Shaman's Costume in China - Focusing on Naje, Deokgang-hyun, Guiju-seong -)

  • 김은정;김초영;장국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1-124
    • /
    • 2015
  • This study inferred the symbolism of shaman's costume in China from shamanism and types of shaman's costume in Naje, Deokgang-hyun, Guiju-seong, China through field survey. Shamanism in China has complicated aspects due to negotiations with other culture for a long time while maintaining its own consistency based on ethnicity. Symbolism of shaman's costume in Naje, Guiju-seong, China is observed as follows. First, the shaman's costume in China appears differently from every Jangcha in relation to the position of god appearing in Jangcha when Tolosa takes the position of god as a symbol of sex and god. In Naje of China, the most important shaman's costume indicating the position of god has a unique mask for every deity. It communicates that Tolosa wearing a costume appropriate for the god of wine shall become the god in that Jangcha. Second, the shaman's costume in China has something to do with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of Taoism as a symbol of shamanism visio of the universe and system of reason. Most of Tolosas hosting Naje are men but dress up as women by wearing Nagun looking like a skirt. Nagun is usually red, the color of Yang, which symbolizes that by wearing such costume that takes color of Yang, Tolosa expels an ominous thing by balancing yin and yang and taking god's strong power. Third, Tolosa takes an eight-breadth Nagun, as a symbol of people. An eight-breadth worn by Tolosa in Naje strengthens the spirit of union and fight of the Tujia nationality who live in Deokgang-hyun, Guiju-seong through folk legends. In this course, a symbolic meaning of the national spirit has been provided on an eight-breadth Nagun, a shaman's costume.

  • PDF

경북 동해안별신굿 맞굿의 전승 양상과 의미 (Transmission Pattern and Meaning of Gyeongbuk East Sea coast Byeolsingut matgut - Focusing on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of gut and shaman)

  • 마소연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393-413
    • /
    • 2019
  • 맞굿은 주로 10년 두리로 굿을 거행하는 영덕과 울진의 해안 마을에서 연행된다. 맞굿은 1)무당 맞이, 2)당신(堂神)에게 고함, 3)무당소개와 패기 보기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맞굿이 연행되는 이유는 마을에 따라서 당주가 없거나, 당주가 있더라도 큰굿을 연행할 능력이 부족할 경우 굿을 연행할 무당을 섭외해 맞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당주무의 역량에 충분하더라도 별신굿은 많은 수의 무당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러 무당을 섭외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항상 맞이해야 할 무당이 있을 수밖에 없고, 일부 경북 해안 마을에서는 그 무당들을 대상으로 하는 맞굿이 연행된다. 별신굿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듯이 맞굿 역시도 변화하고 있는데, 2000년대 이후 맞굿은 별신굿의 전체 일정이 갈수록 짧아지면서 2)당신에게 고함 3)무당소개와 패기보기 절차가 사라지고 있다. 2000년대 이후 맞굿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중요한 변화는 맞굿 연행 담당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옛날에는 마을 사람들이 연행의 주체로서 부족하나마 그 역할을 성실히 수행했다. 그런데 최근에는 마을에서 점차적으로 농협 풍물단 등 외부에서 사물놀이패를 초청하여 맞굿을 연행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맞굿은 속(俗)의 영역에 있는 무당들을 성의 영역으로 편입시키는 일종의 통과의례로써 연행하게 된다. 또, 맞굿은 무당패의 능력을 확인하는 절차로도 활용되었다. 그러나 굿에 대한 인식이 전통 예술로 변화하고, '굿박사' 어르신들도 얼마 남아 있지 않다보니 점차 맞굿은 마을 외부의 존재인 풍물단과 무당패가 흥겨운 분위기를 만드는 정도의 절차로 변화하고 있다. 또 굿의 주관을 대부분 무집단에게 일임하고, 굿의 의미와 목적을 모른 채 연행되다보니 굿거리의 형식조차도 온전히 지켜지지 못하고 있다. 오랫동안 경북 동해안 별신굿의 주요한 특징으로 거론되어 오던 맞굿은 이제 과거의 그 목적과 기능을 점차 잃어가고 있으며, 이제는 한바탕 신나는 놀이판을 형성하는 굿거리로 변화하고 있다.

동해안별신굿 굿놀이의 변화양상과 요인 (Changing Aspects and Factors of Shaman's Play in Donghaeanbyeolsingut)

  • 김신효
    • 공연문화연구
    • /
    • 제38호
    • /
    • pp.33-69
    • /
    • 2019
  • 이 글은 한 마을의 별신굿 변화과정을 살피는 일환의 하나로 굿놀이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현재 동해안별신굿에서 연행하는 굿놀이를 하나의 별신굿에서 모두 볼 수 있는 곳은 영덕군 병곡면 백석2리와 남정면 구계리별신굿을 들 수 있다. 그 가운데 백석2리별신굿은 5년두리로 10년두리인 구계리별신굿에 비하여 굿의 주기가 짧아 변화를 포착하기에 용이하다. 백석2리별신굿에서는 중도둑잡이. 원님놀이, 탈굿, 말놀이, 호탈굿, 거리굿 등 다양한 굿놀이가 연행되고 있다. 동해안별신굿에서 연행되는 굿놀이는 연행될 때마다 새로운 본이 만들어 질 만큼 일정부분 변화가 지속되고 있다. 변화의 정도에 따라 소극적인 변화와 적극적인 변화로 구분할 수 있다. 소극적인 변화는 즉흥적인데 반해 적극적인 변화는 의도적인 경우가 많다. 즉흥적인 변화에 해당하는 굿놀이는 중도둑잡이, 말놀이, 호탈굿을 들 수 있고 의도적인 변화는 원님놀이, 탈굿, 거리굿이다. 굿놀이의 가장 큰 변화는 마을의 별신굿이 사라지는 일이다. 인적자원의 부족이나 경제적인 어려움, 종교적 갈등 또는 합리적인 사고로 인하여 굿을 중단하게 되면 결국 굿놀이도 없어지므로 가장 큰 변화이다. 그 다음 변화가 별신굿 기간을 줄이거나 시간의 단축이다. 이로 인한 굿놀이의 탈락 또는 축약으로 변화의 원인이 된다. 온전한 마을굿에서 굿놀이의 변화는 가변적이며 창의적이다. 관중의 개입으로 인한 변화는 주로 즉흥적이다. 이에 비해 연행자의 사전 계획에 의한 변화는 의도적이며 그 변화의 폭도 크다. 굿놀이의 변화요인은 시대적인 요구와 전승집단의 인식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전승환경에 따른 변화로는 인적자원의 부족과 개인주의, 생업환경의 변화와 시간제약을 주요원인으로 들 수 있다. 연행주체에 따른 변화로는 연행자의 교체와 편입을 들 수 있다. 이와 함께 연행자에게 자율성을 부여함으로써 굿놀이가 변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영행양상에 따른 변화로는 관중의 개입과 감독자의 부재, 사회적 관심사의 수용을 들 수 있다.

서울지방의 무당복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man's Costumesin in Seoul)

  • 이자연
    • 복식
    • /
    • 제30권
    • /
    • pp.117-126
    • /
    • 1996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haman's costumes which were observed in the ritual of Jae-Soo-Kut held in Seoul. In this study the forms and functions of the shaman's costumes in Jae-Soo-Kut a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Korean traditional costumes and differences are identified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lso compaed with those of the study on the shaman's costumes in Chun-Sin-ut and other Koean traditional costumes. Shaman's costumes have undergone changes with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believers in Kut resulting from the diffusion of foreign religion the weakening of believers' faith in Kut resulting from the improv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igher education and the invention of new textiles and development of sewing technology. The reasons why the Kut is performed even nowadays are also discussed. Among those reasons firstly Koreans hold to their own folk religions. Secondly the kut has peculiar artis-tic value for Koreans. Thirdly Koreans seek peace of mind through performing the Kut.

  • PDF

기메를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based on Gime)

  • 김현미;장애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49-658
    • /
    • 2013
  • Various paper ornaments appear in Gut, the rite of shaman in Jeju, and these are frequently called Gime, Gimekijeon or Gimejeonji. Gime are slips of white or colored paper, made to resemble the shape of god and used in the ritual shaman dances of Jeju. These Gime are hung around an altar, fastened to the end of a green bamboo pole, or held in the shaman's hands when they dan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extile design based on the formative features of Gime, as a way of using Myth of shaman in Jeju. This study is used Gime made by 'Kim Yoon-Su' Simbang (shaman) who plays a rol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The 71th 'Jeju Chilmeoridang Yeongdeunggut'. As a result, it was to develop the Komusaljang pattern, Seongjukkot pattern, Jijeon pattern, Jowoangki pattern and Cheoljjukdae pattern design of Jeju image using Gime that is one of the unique, indigenous pattern of Jeju.

현행 굿거리에서 무복 겉옷의 착용실태와 명칭에 관한 연구 (Study on Wearing State and the Name of Outer Clothing of Current Gutgeori)

  • 김은정;배리듬;임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588-594
    • /
    • 2016
  • The outer clothing of shaman that are put on while performing current gutgeori is lacking in form and composition, diversified with kinds. Above all, name of shaman clothing is not unified, accordingly, there's a big difference from traditional Gutgeori, which was definitely divided in the role of outer clothing of shaman in respect of function and role of Gutgeori. Here, this research attended a site that performed Gutgeori based on the advanced literature research data research and analyzed the state and name of outer clothing by conducting a survey and interview investigation. Survey was conducted during 2 years from 2014 to 2015 classifying Gutgeori of Seoul, Gyeongsang, Honam, Jeju, Chungcheo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ts of outer clothes were put on along with shamanism type in Seoul, accordingly, names were diversified. Name of outer clothing was not unified by focusing on level of divinity or behavior of Gutgeori, with no consistency being mixed. Second, name was not consistent even the outer clothing of the same type shaman along with the region, sometimes put on in different meaning, accordingly, called in different name. Combination of such name of shaman is determined to be a big reason of lack of accurate information on shaman clothing and genealogy of name of shaman clothing in shamans, as the initial research on shamanism was conducted by folklorists in advance.

망자천도굿에서 상징하는 무복의 특성 -진도 씻김굿과 서울 진오기굿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man Costume Symbolized in Mangjachoendo gut -Using the Comparison Between Jindo Sitggimgut and Seoul Jinoggi Gut)

  • 김은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330-1337
    • /
    • 2003
  • According to the way of expression and the ritual procedu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stume between Jinoggigut in Seoul and Sitggimgut, hereditary dance in the southern part of Joella province. Even though they share the same story, which is to soothe the spirit of the deceased and to listen to the grudge of the remained, the two shaman rituals are slightly different in their costu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 in Seoul Jinoggigut, and Jindo Sitggimgut are as follows; First, both in Seoul Jinoggigut, a spiritual dance and Jindo Sitggimgut, a hereditary dance, the universal roles of shaman costume, which are generally shown in "gut", are found-build a sacred environment, prepare for the experience of the spiritual world, listen to the grudge of the deceased and wish for God's bless. Second, the shaman costume has a special role to express specific and complex symbols-representing God on one hand, symbolizing the dead on the other. Third, unique symbols are found in the costume of Mangjachoendogut with the formality of the ritual procedure.

제석거리 무복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Jaesuk -kori Shaman's Custom)

  • 김은정;김용서
    • 복식
    • /
    • 제50권3호
    • /
    • pp.5-12
    • /
    • 2000
  • Jaesuk-koli an important part of the 12 shamanistic rituals, is an accepted buddhist monk's costume. In this paper, the Jaesuk-kori costume and its meaning are studied. The ornaments of shaman's costume differe somewhat from region among individual shamans, but the symbolic meansing are fairly similar. The significance of Jaesuk-kori shaman's costume ar as followed ; First , a Buddhist monk's costume is accpted in the Jaesuk-kori ritual costume. Second, a shaman wears Jangsam (long-sleeved buddhist robe) and Kasa (surplice) in the Jaesuk-kori rituals. Third, the ornament of Sipjangsang objects search for earthly happiness while the rotus flower embroidered on the costume , depicts purity in the heaven world. Fourth, five colors in the Jaesuk-kori costume represented, Yin and Yang of universal harmony. Jesuk-kori ritual costumes signify that traditioal shamanism was accepted and absorbed into Buddhist rituals system.

  • PDF

한국 오컬트 영화 속 무당과 굿의 재현 양상 연구 -<검은 사제들>(2015), <곡성>(2016), <장산범>(2017)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presentation of Shaman and Gut in Korean Ocult Films - Focused on , , )

  • 유재응;이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496-501
    • /
    • 2021
  • 한국영화에서 무속 혹은 무당의 표상은 시대에 따라 달라져왔다. 2000년대 이후 무속과 무당은 영화의 주요소재와 인물로 이전보다 빈번히 등장하게 된다. 무당에 대한 본격적인 탐구는 다큐멘터리 작업에서 이루어지는데 <영매>, <사이에서>, <비단꽃길> 등이 이에 해당되는 작품들이다. 극영화에서도 무속과 무당은 보다 다양한 양상으로 소환된다. 무속인은 유괴사건을 해결하는 탐정의 역할로 등장하기도 하고, 로맨틱 코미디의 남, 녀 주인공이 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최근 한국 오컬트 영화에 등장한 무속과 무당 표상에 대해 비교, 분석해 보려 한다. 공포영화의 하위 장르인 오컬트는 신비하고 초현실적인 존재를 인간과 대비시켜 공포 효과를 창출하는 영화이다.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 <검은 사제들>, <곡성>, <장산범>은 이전까지 한국 오컬트영화에서 보기 힘들었던 새로운 소재와 시각적 효과를 활용한 작품들이다. 세 편의 영화에서 무당과 굿의 의미는 확연한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이들 영화의 분석을 통해 한국적 오컬트 영화의 특성과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 접근을 통한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해석 (Interpretation of Siberian shaman costume through Roland Barthes's semiotics approach)

  • 유수;권미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6호
    • /
    • pp.858-874
    • /
    • 2020
  •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the ethnic groups to which different types of shamans belong in Siberia from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lothing through Roland Barthes's semiotic theory. The research method here is to analyze three types of shaman costume classified by Holmberg, which are bird-type, deer-type, and bear-type,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to investigate the analysis process of Roland Barthes's semiotics theory. Roland Barthes's approach to semiotics presents an analysis model that can explore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Siberian shaman costum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type, to be closer to the god of the upperworld, shamans transform themselves into birds by decorating their costumes with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birds such as feathers and wings. In the second type, the shamans' costumes are made of deerskin, and the headdress is shown in the shape of antlers to make it easier to receive messages from the upperworld and run fast in the underworld. In the third type, the shaman's costume is made of bearskin, the head is covered with bearskin, and the body is decorated with bear pendants. Through the power of the bear, the shaman is sent to the underworld to defeat evil gods and remove diseases. Shamans can show their particularity of being a demigod and non-binary gender through clothing. They use this to reflect their authority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man and g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