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llow shell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2초

연속주조된 강재 슬래브 표면의 Oscillation Mark 형성에 관한 평가 (An Assessment on the Formation of Oscillation Mark of the Continuously Casted Steel Slabs)

  • 박태호;김지훈;최주;예병준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257-267
    • /
    • 2003
  • In early solidification during the continuous casting of steel slabs, the formation of oscillation marks on the surface of slabs was mainly affected by carbon contents and casting conditions. The control of oscillation mark is required for the HCR(Hot Charged Rolling) process because the deep oscillation marks seriously deteriorate the surface qualities of steel slabs. The metallographic study has revealed that the oscillation mark can be classified principall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mall 'subsurface hook' and the depth of the oscillation marks in the subsurface structure at the basis of individual oscillation marks. The subsurface hook of oscillation marks was either straight or curved. When the amount of overflow was small and the subsurface hook was formed in the top of oscillation marks, the subsurface hook was straight and the oscillation mark was shallow. The oscillation marks without subsurface hook have small early solidification shell and were formed wide. The actual negative strip time$(t_N)$ was changed by the effect of meniscus level fluctuation Therefore irregular early solidification shell and oscillation mark were formed.

축대칭 쉘 구조물의 형상 설계민감도해석 및 최적설계 (Shape Design Sensitivity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Axisymmetric Shell Structures)

  • 김인용;곽병만
    • 전산구조공학
    • /
    • 제7권2호
    • /
    • pp.147-153
    • /
    • 1994
  • 전미분 개념과 보조변수식을 사용하여 한 평면상에 투영할 수 없는 일반 형상의 축대칭 쉘 구조물에 대한 형상 설계민감도 해석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의 기본 개념은 대상 구조물을 여러 구간으로 나눈후, 각 구간마다에 얕은 아치나 축대칭 쉘에 사용되는 설계민감도 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설계민감도식은 투영면에 수직한 방향의 변분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각 구간 사이의 연속성을 유지하기가 곤란하므로, 이식을 확장하여 곡면의 법선 방향 변분에 관한 민감도 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개발된 방법을 원자력발전소 부품의 최적설계 문제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그 타당성과 유용성을 보였다.

  • PDF

Instability and vibration analyses of FG cylindrical panels under parabolic axial compressions

  • Kumar, Rajesh;Dey, Tanish;Panda, Sarat K.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1권2호
    • /
    • pp.187-199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the semi-analytical development of the dynamic instability behavior and the dynamic response of functionally graded (FG) cylindrical shallow shell panel subjected to different type of periodic axial compression. First, in prebuckling analysis, the stresses distribution within the panels are determined for respective loading type and these stresses are used to study the dynamic instability behavior and the dynamic response. The prebuckling stresses within the shell panel are the same as applied in-plane edge loading for the case of uniform and linearly varying loadings. However, this is not true for the case of parabolic loadings. The parabolic edge loading produces all the stresses (${\sigma}_{xx}$, ${\sigma}_{yy}$ and ${\tau}_{xy}$) within the FG cylindrical panel. These stresses are evaluated by minimizing the membrane energy via Ritz method. Using these stresses the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of FG cylindrical panel are formulated by applying Hamilton's principal assuming higher 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HSDT) and von-$K{\acute{a}}rm{\acute{a}}n$ non-linearity. The non-linear governing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re converted into a set of Mathieu-Hill equations via Galerkin's method. Bolotin method is adopted to trace the boundaries of instability regions. The linear and non-linear dynamic responses in stable and unstable region are plotted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instability regions of FG cylindrical panel. Moreover, the non-linear frequency-amplitude responses are obtained using Incremental Harmonic Balance (IHB) method.

남극큰띠조개 Laternula elliptica (이미패강 : 띠조개과 ) 의 생태 및 생물학적 특성 (Ecology and Biology of the Antarctic Soft - shelled Clam, Laternula elliptica ( Bivalvia : Laternulidae ))

  • 안인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1-46
    • /
    • 1994
  • The Antarctic soft-shelled clam, Laternula elliptica is widely distributed in shallow waters around the Antarctic Continent and islands. This bivalve species occurs in densepatches particularly in sheltered but frequently ice-impacted areas. This species mostly occurs at atound 20-30 m depth and is rarely found at depths shallower than 5 m where ice abrasion by drifting or grounded icebergs is severe. It burrows deep into sedimint(frequently >50 cm), which seems to be primarily a means for avoiding ice impacts. A pair of stout and highly extendable siphons appear to be a morphological reature to feed in the ice-scoured substrates while staying deep in the sedimint. As one of the largest bivalves in the Antarctic waters, L. elliptica appears to grow rapidly, reaching to a shell length of approximately 100 mm in 12 or 13 years. L. elliptica feeds sctively during summer when food is sufficiently provided, implying that food may be the most inportant fator regulating the growth. Seasonal variations in food availability, and metabolic process in starvation condition possibly during winter, however, are yet to be further investigated.

  • PDF

Five newly recorded foraminifera from off the southern coast of Jeju Island, Korea

  • Lee, Somin;Lee, Wonchoel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4호
    • /
    • pp.473-479
    • /
    • 2020
  • In this study, we briefly describe five newly recorded foraminiferal species from off the southern coast of Jeju Island: Ammolagena clavata, Neoeponides bradyi, Nodosaria lamnulifera, Rhabdammina abyssorum, and Uvigerina schwageri. Ammolagena clavata and Rhabdammina abyssorum are the first reports of the genera Ammolagena and Rhabdammina in Korea. In addition, R. abyssorum is reported from a depth of 103 m, which is a relatively shallow record within the distribution depth range for this agglutinated deep-sea species. Ammolagena clavata also shows interesting characteristics that the test usually attaches to substrates including shell fragments, sediment particles, or other foraminiferal tests. All other three species have typical calcareous and hyaline tests. The present report on unrecorded species improves the understanding of foraminiferal species diversity in Korean waters and confirms the need for the further research on foraminifera in the adjacent seas of Korea.

First Record of Deshayesiella curvata (Polyplacophora: Protochitonidae) from Korea

  • Shin, Youngheon;Lee, Yucheol;Park, Joong-K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4권4호
    • /
    • pp.215-219
    • /
    • 2018
  • Protochitonidae Ashby, 1925 is a family of small to medium sized chitons that includes a single fossil genus and two extant genera. Of the two extant genera, Deshayesiella Carpenter in Dall, 1879 contains 5 described species. Although most Deshayesiella species are known to be found in deep sea habitats(over 100 m), D. curvata (Carpenter in Pilsbry, 1892) is found from shallow waters(1-20 m). In this study, we provide details of microstructure of shell and radula character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D. curvata, and its partial sequence of mitochondrial DNA cox1 gene as DNA barcode sequence. In addition, we compare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D. curvata from other congeneric species.

얕은 타원포물곡면쉘의 동적 불안정 현상의 규명을 위한 비선형 동적 응답의 스펙트럼 분석 (Spectral Analysis of Nonliner Dynamic Response for Dynamic Instability of Shallow Elliptic Paraboloidal Shells)

  • 김승덕
    • 전산구조공학
    • /
    • 제8권2호
    • /
    • pp.153-161
    • /
    • 1995
  • 세계적으로 대공간 구조물의 건설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 추세와 함께 붕괴 사고 또한 점차 늘어나고 있다.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구조물의 구축을 위해서는 사고 및 붕괴의 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규명을 위하여 대공간 구조물의 붕괴 메커니즘의 정확한 규명이 필요하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Step 하중 하에서의 동적 파괴 메커니즘은 비교적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주기성을 가진 동적 외력에 의한 파괴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Step 하중하에서의 메커니즘과는 매우 다르리라 예상된다. 본 연구는 주기성을 가진 동적 외력에 의한 얕은 EP 쉘(Elliptic Paraboloidal Shell)의 동적 불안정 현상을 Fourie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즉 1 자유도의 얕은 EP 쉘의 동적 좌굴 현상과 파라메트릭 공진 현상과의 상호 작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선형 응답의 연속 스펙트럼(runing spectrum)을 이용한다. 연구 결과, 동적 불안정 현상은 외력의 성질에 따라 크게 다른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복모드 대륙붕 퇴적물의 퇴적환경 연구: 한반도 남해대륙붕 (Sedimentary Environment of Bimodal Shelf Sediments: South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n Peninsula)

  • 방효기;민건홍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2
    • /
    • 1995
  • 한반도 남해 대륙붕의 표층퇴적물 216개에 대한 모드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심 7 0~100 m에 분포하는 사니질 또는 니사질 혼합퇴적물은 복모드형(모래요소와 뺄요소) 을 나타낸다. 분리한 요소의 조직변수들은 현재 천해저 퇴적물에서 이미 인정된 입도 조직변수간의 상관관계와 잘 일치한다. 복모드형 가운데 모래요소의 특징은 다음과 같 다: (1) 모래요소의 평균입도, 분급도, 패각편 함량 분포는 등수심선과 유청사한 방향 으로 반복성을 보인다. (2) 모래요소는 다량의 패각편, 약간의 잔자갈과 산화된 석영 (iron-stained quartz)을 포함하는 중립 또는 세립다(Mz, 1-3$\psi$)로 구성되어 있다. (3) 석영 (quartz)입자의 표면에는 높은 에너지 환경에서 형성된 조가비 모양 (conchoidal breakage feature), "V"자형구조(V-shaped feature)가 잘 발달하고 있다. (4) CM-pattern에서 뺄요소는 uniform suspension 구간에 도시되었다. 이러한 특징들 은 섬진강으로부터 기원된 세립질 부유퇴적물이 대부분 단모드 뺄형분포해역에 퇴적되 었으며, 더욱 세립한 뺄요소가 외해로 이동되고, 해안전면퇴적물의 특징을 보이는 모 래 요소와 혼합된 것임을 지시한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퇴적환경 변화는 대륙붕퇴 적물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입도분포는 환경변화를 반응하고 있다, 복모드는 보이 는 대륙붕퇴적물의 퇴적환경 규명은 모드를 분리하고 각 모드의 환경을 추적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정현파 하중을 받는 EP(Elliptic Paraboliodal)쉘 구조물의 동적 불안정 특성 분석 (Analysis of Dynamic Instability Characteristic of EP Shell Structures under Sinusoidal Excitations)

  • 김승덕;김두리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27-134
    • /
    • 2010
  • 동적 불안정 좌굴현상에 관한 연구는 다소 발표되고 있으나 주기성을 가진 히중하에서의 동적 좌굴을 다룬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주기성을 가진 하중하에서의 거동은 스텝 하중하에서 거동과는 다르리라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불안정의 기본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하여 2자유도의 얕은 EP(Elliptic Paraboliodal)쉘이 정현파 하중을 받았을 때의 직접좌굴과 간접좌굴 현상을 조사한다. Newma가-$\beta$법에 의한 수치적분을 이용하여 비선형 운동 방정식의 변위응답을 구하고 얻어진 비선형 변위응답으로 위상곡면선의 끌개를 비교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에 의한 연속 응답 스펙트럼을 구해 동적 불안정 특성에 관해서 분석한다. 그 결과 동적 좌굴하중은 구조물의 고유주기와 외력 탁월진동수와의 관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 PDF

한국 연안 양식패류 패각 재활용을 통한 탄소수지 추정 (리뷰) (Estimation of Carbon Flux caused by the shell re-treatment at coastal shellfish aquaculture fields in Korea (Review))

  • 박영철;유재원;최근형;이창근;김혜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3
    • /
    • 2023
  • 연안의 양식 어장에서 식량자원으로 주로 생산되는 양식 패류는 성장에 따라 탄소가 저장된 패각을 형성한다. 수확된 패류를 식량자원으로 사용하고 남겨지게 되는 패각 부분을 탄소저장기능이 있는 방법으로 재활용할 경우, 탄소수지 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패류의 개체성장에 따른 패각 내 이산화탄소의 생성과 저장에 대한 기작을 분석하였고 자연 패류 및 양식 패류의 생산성 향상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얻어지는 탄소수지 추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양식 패류 생산의 부산물로 얻어지는 패각의 재활용방안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탄소저장 기능성을 가진 재활용 방법이 활용될 경우에 대한 탄소수지를 추정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잠재효과를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