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y sun dryin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조리전 전처리 방법에 따른 시래기의 무기성분의 변화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before Cooking on Mineral Retention in Siraegi (Raddish Leaves))

  • 박세원;유양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35-638
    • /
    • 1997
  • Dried raddish leaves were prepared by using three different pre-treatment methods (shady sun-drying, freezing after blanching, and shady sun-drying after blanching). Then, the retention of minerals in dried raddish leaves was determined. It was shown that the retention of most minerals (Na, K, Fe, Ca, Mg) except P was higher when shady sun-drying method was used. The retention of P was shown to be the lowest when freezing after blanching method was used.

  • PDF

쑥의 건조 방법에 따른 품질 변화 (Influence of Dry Methods on Qualities of Artemisia sp.)

  • 박성옥;김충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8-118
    • /
    • 2006
  • This study is on different dry methods for Artemisia sp. which were not affected by the dry matter percent. Essential oil components such as 1,8-cineol and terpineol were highly affected by the dry method. 1,8-cineol and terpineol components were decreased by adaptation of the heated oven-drying method and the freeze-drying method. Borneol components were increased through shady sun-drying, sun-drying and freeze-drying. Heated oven drying method decreased the vitamin C content. Vitamin C content was decreased in oven-drying about 50% during this period, but only 10% decreased in the freezing dry method. Qualities were chang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Therefore, different dry methods of Artemisia sp. were applied to the flavorgen.

  • PDF

쑥의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지방산(脂肪酸) 변화(變化)에 관하여 (Changes in Compositions of Fatty Acid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f Mugwort (Artemisia asiatica Nakai))

  • 김덕웅;최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5-98
    • /
    • 1985
  • 생쑥의 건조방법에 따른 지방산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강화도산 생쑥을 양건(陽乾), 음건(陰乾), 열풍건조(熱風乾燥) 및 냉동건조(冷凍乾燥)시켜 ethyl ether extract함량과 그 구성 지방산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1. Ethyl ether extract의 함량은 냉동건조(冷凍乾燥)된 쑥이 5.68%로 가장 높았고 열풍건조(熱風乾燥)된 쑥이 2.45%로 가장 낮았다. 2. GLC에 의한 지방산 분석 결과 11종의 지방산 중 주된 지방산은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외에 palmitic acid가 다량 함유되어 식품 영양학적인 면에서 고무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3. 건조 방법에 따른 건조쑥의 지방산의 종류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 조성은 상이하였다. 즉 냉동건조(冷凍乾燥)된 쑥은 산화(酸化)되기 쉬운 고도(高度)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C_{18:2}+C_{18:3})$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저비점지방산(低沸點脂肪酸)들의 감소가 가장 적었다. 한편 열풍건조(熱風乾燥)된 쑥은 저비점지방산(低沸點脂肪酸)들이 상당량 감소되었으나 고도(高度)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은 음건(陰乾) 및 양건(陽乾)시킨 쑥보다 다소 안정하였으며 양건(陽乾)시킨 쑥의 변화가 가장 현저하였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at and Viscera of Dri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Prepared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 박정욱;이영재;박인배;신궁원;조영철;고소미;강성국;김정목;김해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86-698
    • /
    • 2009
  • 생전복과 3가지 건조방법, 음건법, 냉풍건조법 및 진공동결건조법으로 건조한 전복의 육과 내장에 대하여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생전복 육은 수분이 $78.88{\pm}1.01%$, 조단백질 $9.24{\pm}0.27%$ 및 탄수화물 $10.05{\pm}0.81%$ 이었다. 건조 전복 육의 경우 수분은 냉풍건조가 $18.38{\pm}0.91%$로 가장 많았으며, 진공동결건조 한 것이 $1.05{\pm}0.05%$로 가장 적은 함량을 보였다. 생전복 내장은 육과 비교하여 조단백질은 적었지만 다른 성분은 많았다. 생전복은 구성아미노산 총함량이 $17,124.05{\pm}493.18\;mg%$이고, glutamic acid가 $2,233.93{\pm}64.34\;mg%$로 가장 많았으며, 주요 구성아미노산으로는 aspartic acid, glycine, valine leucine, lysine, arginine 및 proline 등 이었다. 음건 전복 육의 총 함량은 $12,969.92{\pm}583.65\;mg%$, 냉풍건조는 $13,328.78{\pm}653.11\;mg%$ 이었다. 전복 내장은 육과 비교하여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적었다. 생전복 육의 유리아미노산 총 함량은 $4,261.99{\pm}106.55\;mg%$ 이며, arginine, taurine, glutamic acid, proline 및 glycine 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 이었다. 이와 비교하여 건조한 전복 육은 음건법 $6,336.50{\pm}285.15\;mg%$, 냉풍건조법 $5,072.04{\pm}248.53\;mg%$ 및 진공동결건조법 $4,638.85{\pm}218.03\;mg%$ 등으로 생전복 육보다 적은 함량이었다. 생전복 내장은 $2,920.74{\pm}73.02\;mg%$ 이고, 건조한 경우는 냉풍건조법이 $9,189.95{\pm}450.31\;mg%$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음건법이 $5,037.18{\pm}272.01\;mg%$ 이었다. 생전복 육의 경우 포화지방산이 $47.00{\pm}0.99%$, 단일불포화지방산이 $22.18{\pm}1.05%$ 및 다가불포화지방산이 $30.82{\pm}1.45%$ 이었고, 내장은 각각 $36.72{\pm}0.74%$, $25.44{\pm}1.12%$$37.84{\pm}1.67%$ 이었다. 콘드로이친황산 함량은 생전복의 경우 육에서 $11.95{\pm}0.35%$, 내장에서 $7.71{\pm}0.19%$의 함량을 보였다. 음건법의 경우 각각 $16.57{\pm}0.90%$$9.24{\pm}0.50%$이고, 냉풍건조법은 $16.17{\pm}0.79%$$12.44{\pm}0.61%$이며, 진공동결건조는 $25.17{\pm}1.16%$$15.22{\pm}0.70%$로 가장 많은 함량이었다. 콜라겐 함량은 생전복 육이 $69.80{\pm}3.07\;mg/g$이고, 내장이 $40.62{\pm}1.79\;mg/g$ 이었다. 음건법으로 건조한 전복의 육과 내장은 각각 $144.05{\pm}7.78\;mg/g$$44.16{\pm}2.39\;mg/g$ 이었으며, 냉풍건조 전복은 $133.29{\pm}6.53\;mg/g$$69.20{\pm}3.39\;mg/g$ 이고, 진공동결건조 전복의 경우는 각각 $137.51{\pm}6.33\;mg/g$$60.61{\pm}2.79\;mg/g$ 이었다. 휘발성염기질소는 생전복 육이 $10.10{\pm}0.44\;mg%$, 내장이 $19.01{\pm}0.84\;mg%$ 로서 내장이 육보다 높은 값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건조한 전복에서도 일치하였다. 음건법육에서 $136.77{\pm}7.37\;mg%$ 이고, 내장에서 $197.97{\pm}10.69\;mg%$로 나타내었으며, 냉풍건조 육이 $27.32{\pm}1.34\;mg%$, 내장이 $71.37{\pm}3.50\;mg%$이였다. 진공동결건조 육과 내장은 각각 $16.23{\pm}0.75\;mg%$$21.53{\pm}0.99\;mg%$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