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e leaf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9초

Evaluation of Photosynthetic Ability in Two Representative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in Korea

  • Kim, Dong-Hak;Park, Yong Mok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47-1153
    • /
    • 2017
  • To maintain a rich biological diversity is important to develop for biomaterial resources such as Korean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the distribution of which is restricted to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e assesse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Quercus acuta and Castanopsis sieboldii, the representativ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in order to establish a basis for conservation strategy related to distributional change in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the sun and shade leaves of the two species. Sun leaves in both species revealed higher light compensation point and maximum photosynthetic rate compared to the shade leaves. In addition,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r in Q. acuta than C. sieboldii, which was supported by a higher leaf nitrogen content and leaf mass per area. Water use efficiency was also higher in Q. acuta as compared to that in C. sieboldii. Similar photosynthetic rate, however, was shown in photosynthetic response to $CO_2$ concentration in the intercellular spa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species could respond differently to the changing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climate chang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distributional changes resulting from a differential growth rate.

1 묘포의 광도및 토양함수량이 인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Intensity and Soil Water Regimes on the Growth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Seedling.)

  • 이성식;이종화;박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65-74
    • /
    • 1984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soil water regimes on the growth of ginseng seed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ximum light intensity and optimum temperature in 1,le photosynthesis of ginseng seedling were 10,000 lux and 23 $^{\circ}C$. Respiration rate was increased at high temperature. 2. Air and soil temperature under the shading were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but soil water contents were decreased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whereas air and soil temperature were decreased as the increase of precipitation under the shade b5: soil water contents were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precipitation under the shade. 3. The higher the transmittance of the shade, the greater the specific leaf weight (S.L.W.) and stomatal density. In contrast, however, the contents of total chlorophyll, chlorophyll a and b, and stomatal length was decreased. There was no any significant difference light intensity of the a/b ratio of chlorophyll. 4. The highest photosynthesis was occurred in ginseng leaves grown under the shade 5% L.T.R. and net photosynthesis ra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soil water contents. 5. Optimum condition for usable seedling yield were 5% L.T.R. and 3.3% precipitation under the shade. Useless seedling increased with increasing precipitation under the shade.

  • PDF

광도(光度)가 내음성(耐陰性)이 서로 다른 3수종(樹種)의 광합성(光合成) 생리(生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Photosynthetic Activity of Shade Tolerant and Intolerant Tree Species)

  • 김판기;이용섭;정동준;우수영;성주한;이은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476-487
    • /
    • 2001
  • 본 연구는 내음수(耐陰樹)가 임상(林床)의 낮은 광도조건에 적응하는 기작을 구명하기 위해서, 양수(陽樹)와 내음수(耐陰樹)의 생육 광도 저하에 대한 광합성계(光合成系)의 적응반응을 서로 비교하였다. 이태리포플러, 음나무, 졸참나무 1년생 묘목을 대상으로 PPFD $920{\mu}mol\;m^{-2}s^{-1}$과 PPFD $80{\mu}mol\;m^{-2}s^{-1}$의 광도조건에서 5개월간 생장한 개체의 엽록소함량, 잎의 분광특성, 광합성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양수인 이태리포플러는 생육 광도의 저하로 엽면적, 단위 엽면적 당의 엽록소함량, 빛의 흡수율 및 광합성에 대한 이용효율 등이 감소하고, 광합성의 광화학계 및 탄소고정계의 활성 저하로 낮은 광합성능력을 나타냈다. 그러나 내음성이 이태리포플러보다 강한 음나무와 졸참나무는 엽면적, 엽록소함량, 순양자수율을 증가시켜 빛의 흡수량과 광합성에 대한 이용효율을 높이는 적응반응을 나타냈다. 그리고 이들 수종은 낮은 광도에서도 광합성의 광화학계 및 탄소고정계의 활성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일사 저하에 대한 벼의 형태적 특성 및 광합성 반응 변화 (Morphological and Photosynthetic Responses of Rice to Low Radiation)

  • 양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11
    • /
    • 2007
  • 일사 저하에 따른 벼의 형태적 변화와 광합성 특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3품종을 이용하여 분얼기, 생식생장기, 등숙기에 약 40% 차광 처리하고 자연광 처리를 두어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광 조건에서 벼는 단위 엽면적 및 엽록소계(SPAD) 측정값 증가, 엽신으로의 건물중 분배비율 증가 등 일조 부족에 대한 적응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분얼이 지연되고 건물 생산량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2.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는 자연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에 비하여 탄소동화속도가 늦었으나 조직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높게 유지되어, 차광 내 벼의 광합성이 낮았던 것은 광합성 기질인 이산화탄소의 제한이 아니고 photosystem의 전자전달 활성의 약화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를 자연광에 1일간 노출시켜 순화한 후 측정한 최대 광합성과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에 대한 광합성 반응은 자연광에서 생육한 벼의 광합성 반응과 차이를 보이지 않아,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는 자연광에서 생육한 벼 수준의 잠재 광합성 능력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차광에서의 광합성 저하는 단순하게 일사량 저하에 의한 현상이었다. 4. 분얼기간 동안 차광 조건에서 생육하고 유수형성기 이후 자연광에 노출되어 생육한 벼는 자연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에 비하여 유수형성기부터 출수기까지의 SPAD 값의 증가 정도가 적으며, 엽신 질소 함량의 감소 정도가 크고, $2,000\;{\mu}mol\;m^{-2}s^{-1}$ 이상으로 강한 광 조건에서는 광합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일조 부족에 적응한 벼는 photoinhibition 정도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5. 벼 수량은 자연광 처리에 비하여 유수형성기$\sim$출수기 차광에서는 수당영화수와 포트당 영화수의 감소에 의하여, 출수기$\sim$성숙기 차광에서는 등숙비율의 저하에 의하여 감소하였다.

광도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뉴기니아 봉선화 생육 특성 및 화색 변화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Characteristic and Flower Color Change of New Guinea Impatiens 'Fishlimp 149')

  • 이호선;김수정;신우근;유병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6-411
    • /
    • 2006
  • 뉴기니아 봉선화(Impatiens hawkeri)는 광조건에 따라 생리적 반응이 매우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신품종 보호 재배심사(DUS test)시 나타나는 여러 증상들이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 것인지 혹은 생리적 증상인지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뉴기니아 봉선화 'Fishlimp 149'를 비가림 하우스에 정식하고 광도조건에 따른 생육 및 화색발현을 구명하기 위하여 몇 가지 광도조건의 처리를 하였다. 실험결과 대조구 ($1,010{\mu}mol{\cdot}m^{-2}{\cdot}s^{-1}$)에 비해 차광 1($599{\mu}mol{\cdot}m^{-2}{\cdot}s^{-1}$) 및 차광 2($88{\mu}mol{\cdot}m^{-2}{\cdot}s^{-1}$) 처리구에서 초장, 초폭, 잎 크기 및 소화경 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가장 광도가 낮은 차광 3($30{\mu}mol{\cdot}m^{-2}{\cdot}s^{-1}$)에서는 오히려 이들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되었다. 개화특성 조사에서는 차광 1처리가 화경, 상부 꽃잎폭, 측면 꽃잎폭, 하부 꽃잎길이 등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의 경우 줄기, 잎 및 소화경에서는 차광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소화경의 경우 차광 1처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차광 1처리가 뉴기니아 봉선화의 생장특성을 조사하는데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생육과정 중 나타나는 안토시아닌 축적은 유전적인 요인이 아닌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생리적인 현상인 것으로 생각된다.

매듭풀 ( Kummerowia striata ( Thunb. ) Schindl. ) 개체군의 질소고정활성과 생육특성의 계절변화 (Seasonal changes of nitrogen fix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ummerowia striata(thunb)schindl. populations)

  • Song, Seung-Dal;Bae, Sang-M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4호
    • /
    • pp.377-386
    • /
    • 1992
  • Seasonal changes of symbiotic nitrogen-fixation activit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four different natural populations of kummerowia striata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during the growing period. the nitrogen-fixation activity of root nodules attained the maximum rates of 148, 132, 102 and 100$\muM\;C_2H_4\;\cdot\;g\;fw\;nodule^{-1}\;\cdot\;hr^{-1}$, respectively for sunny, multibranched, shade and unibranched populations at the optimum growth conditions. and the seasonal changes showed fluctuations by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light, temperature, nutrient contents, water stress and plant ages, etc. The multibranched plant showed the greater amount of leaf and root nodule biomass, and the higher nitrogenase activity than the unibranched plant. the optimum conditions of leaf chloropht11 and water content of each organ indicated the active growth and the maximum fresh biomass of 4 different populations were 1.92, 1.85, 0.97 and 0.56 g $fw\cdotplant^{-1}$ for shade multibranched, sunny and unibranched populations, respectively.

  • PDF

SOME ASPECTS OF THE CANADIAN CULTURE OF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PARTICULARLY THE GROWING ENVIRONMENT

  • Proctor J.T.A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0년도 학술대회지
    • /
    • pp.39-47
    • /
    • 1980
  • The harvesting and export of Canadian ginseng from the cool, shady hardwood forests of southern Canada can be traced to 1796. Because of its high dollar value and diminishing woodland supplies it was decided in 1896 that it should be cultivated under wood lath screens. Present day economics dictate changes in production techniques to allow for a decreasing supply of expensive labour. Traditional wooden lath screens have a surface area of wood of 70 per cent and permit light penetration of only about 18 per cent. Experimental woven black polypropylene shade has an estimated surface area of 72 per cent and permits light pentration of about 28 per cent. While differences in air and leaf temperatures under the two shade structures can be measured it is doubtful if these are great enough to cause differences in plant growth under the two structures. Shade grown ginseng had a low fresh and dry weight and total chlorophyll content (ratio of a to b was 3 to 1) comparable to other shade species. There was no differences in fresh and dry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 of leaves from plants grown under the two shade structures. Maximum net photosynthesis of leaves was 0.175 g $CO_2\;m^{-2}\;hr^{-1}$ and light saturation level was about $200{\mu}E\;m^{-2}\;s^{-1},$ or about 10 per cent of full sunlight.

  • PDF

차광이 반지형 잔디의 여름철 하고현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ade Net on Summer Stress of Cool-season Turfgrass)

  • 이재필;김석정;서한용;이상재;김태준;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1-64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름철 고온다습 환경 하에서 축구장에 조성된 한지형 잔디의 하고현상을 줄이기 위해 차광이 한지형 잔디의 하고현상을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1999년 5월부터 2001년 8원까지 35% tall fescue+50% kentucky bluegrass+15% perennial ryegrass의 한지형 잔디로 조성된 건국대 포장에서 실험되었다. 한지형 잔디의 여름철 하고현상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차광률(0, 50%, 75%), 차광색(검정, 녹색), 차광 높이(잔디면 0cm 위, 잔디면 30cm위) 및 차광시간(오전 10시부터 5시가지 7시간만 차광, 24시간 차광)을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차광처리는 1999년 6월8일부터 매년 여름 기간 동안 차광하였고 실험구의 크기는 1.25m$\times$3m이며 3반복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대조구 온도가 30~35$^{\circ}C$일 때 처리구간의 잔디표면 온도 차이는 2~3$^{\circ}C$로 적었지만 4$0^{\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차광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6~13$^{\circ}C$ 정도 낮았으며, 검정차광이 녹색차광보다 온도를 더 낮추었다. 맑은 날 조도는 대조구가 66,700~95,200 Lux인 데 비해 50%와 75% 검정차광처리구는 대조구보다 40~94% 정도로 지나치게 차광되었다. 반면 50%와 75% 녹색차광처리구는 25~54%의 차광률을 보여 검정보다 녹색 차광막의 차광률이 낮게 나타나 한지형 잔디의 광합성 측면에서 볼 때 녹색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차광률 및 차광색은 50%와 75%의 녹색 차광처리구에서 엽색, 잔디면 품질, 예지물량과 지하부 건물중이 우수하였다. 반면 75% 검정색 차광처리구는 한지형 잔디를 심하게 도장시켰으려 그 후 고온과 과습은 한지형 잔디를 갈변 후 부패시켰다. 50% 검정 차광막으고 차광높이를 달리한 실험에서 잔디면 바로 위에 덮은 처리구는 장마 후 고온으로 한지형 잔디를 각변 후 부패시켰지만 30cm 높이로 띄운 처리구에서는 하고현상의 피해가 적었다. 타광시간에 있어 50% 검정 차광막으로 30cm 높이로 24시간 차광처리구와 0cm 높이로 오전 10시부터 5시까지 7시간 차광 처리구에서 한지형 잔디의 엽색, 잔디면 품질, 예지물 및 지하부 건물중의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이상을 요약하면 50%와 75% 녹색착광막을 우리나라 여름철 장마기 중 강한 햇볕으로 잔디 표면 온도가 갑자기 상승하거나 경기장 이용 후 한지형 잔디를 회복시키고자 할 때 오전 10시부터 5시까지 차광을 지속하변 한지형 잔디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을 유지 또는 촉진하며 하고현상감소를 위한 관리적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고 판단된다. 그러나 녹색타괌만은 검정차광막보다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적어 온도를 6~13$^{\circ}C$로 낮추고 조도를 50,000~60,000만 Lux를 유지할 수 있는 녹색+검정색이 혼합된 차광막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자외선(紫外線)-B 증가조사(增加照射)에 대한 양수(陽樹)와 중성수(中性樹) 유묘(幼苗)의 생장(生長)과 생리적(生理的) 반응(反應)에 관한 연구(硏究)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Shade Intolerant and Intermediate Tree Seedlings to Enhanced UV-B Radiation)

  • 김종진;홍성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69-476
    • /
    • 1999
  • 본 연구는 증가되는 UV-B 환경에 대한 양수(陽樹)와 중성수(中性樹)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을 탐구하고자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와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Hance)의 유묘(幼苗)를 대상으로 14주 동안 3 수준의 UV-B(ambient UV-$B_{BE}$, ambient+3.2, +$5.2\;KJ\;m^{-2}s^{-1}$) lamp가 설치된 야외포장에서 실시되었다. 자작나무와 물푸레나무 유묘의 수고생장(樹高生長), 근원경생장(根元徑生長), 엽면적(葉面積) 및 건물생산(乾物生産)은 UV-B 증가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UV-B 증가에 의해 물푸레나무 유묘 잎의 기공저항(氣孔低抗)은 커졌으며, 엽록소(葉綠素), carotenoid 함량의 감소는 자작나무에서 보다 물푸레나무에서 더 뚜렷하였다. UV-B 흡수물질(吸收物質)의 현저한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작나무에 비해 물푸레나무의 경우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UV-B 증가 환경에 대한 공시 두 수종의 생리적(生理的), 생화학적(生化學的) 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유용 자원식물의 진균성 신병해(III)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 (III))

  • 신현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7-209
    • /
    • 1995
  • This paper is a third report about the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 It contains short descriptions on symptoms, occurrence conditions, pathogen, and some phytopathological notes for each of 10 fungal plant diseases. They are angular leaf spot of Achyranthes japonica by Cercospora achyranthis causing leaf spot and defoliation in the shade of plants, leaf spot of Armoracia lapathifolia by Cercospora armoraciae causing leaf spot to blight from the rainy season to autumn, hypophyllous mold of Dioscorea tokoro by Distocercospora pachyderma causing leaf spot and yellowing, hypophyllous mold of Artemisia spp.by Mycovellosiella ferruginea causing leaf spot and yellowing, angular leaf spot of Aralia elata by Pseudocercospora araliae causing velvety leaf spot and defoliation, hypophyllous mold of Lycium chinense by Pseudocercospora chengtuensis causing velvety leaf spot and defoliation from the rainy season to autumn, angular leaf spot of Diospyros lotus by Pseudocercospora disospyri-morrisianae causing leaf spot and defoliation from summer to autumn, brown leaf spot of Impatiens textori by Pseudocercospora nojimae causing leaf spot to blight from the rainy season, leaf spot of Cephalonoplos segetum by Ramularia cirsii causing leaf spot to blight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and white mold of Leonurus sibiricus by Ramularia leonuri causing leaf spot to blight mostly in autum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