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e growing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3초

SOME ASPECTS OF THE CANADIAN CULTURE OF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PARTICULARLY THE GROWING ENVIRONMENT

  • Proctor J.T.A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0년도 학술대회지
    • /
    • pp.39-47
    • /
    • 1980
  • The harvesting and export of Canadian ginseng from the cool, shady hardwood forests of southern Canada can be traced to 1796. Because of its high dollar value and diminishing woodland supplies it was decided in 1896 that it should be cultivated under wood lath screens. Present day economics dictate changes in production techniques to allow for a decreasing supply of expensive labour. Traditional wooden lath screens have a surface area of wood of 70 per cent and permit light penetration of only about 18 per cent. Experimental woven black polypropylene shade has an estimated surface area of 72 per cent and permits light pentration of about 28 per cent. While differences in air and leaf temperatures under the two shade structures can be measured it is doubtful if these are great enough to cause differences in plant growth under the two structures. Shade grown ginseng had a low fresh and dry weight and total chlorophyll content (ratio of a to b was 3 to 1) comparable to other shade species. There was no differences in fresh and dry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 of leaves from plants grown under the two shade structures. Maximum net photosynthesis of leaves was 0.175 g $CO_2\;m^{-2}\;hr^{-1}$ and light saturation level was about $200{\mu}E\;m^{-2}\;s^{-1},$ or about 10 per cent of full sunlight.

  • PDF

광도 저하에 대한 5개 활엽수의 생리적 응답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Five Deciduous Hardwood Seedlings Growing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s)

  • 조민석;권기원;김길남;김판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6호
    • /
    • pp.680-68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박달나무, 개벚나무, 고로쇠나무를 대상으로 차광처리를 통해 4가지 수준(상대 차광률; 전광처리구, 전광대비 65~72%, 29~40%, 7~12%)으로 광도 조건을 달리하여 광합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및 박달나무는 차광처리에 의하여 광합성 능력과 엽록소 형광이 저하하여, 내음성 수준이 낮음을 시사하였다. 개벚나무는 조사 시기별 차이는 있었으나, 강피음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세 처리구에서 좋은 광합성 능력을 나타내, 보통 수준의 내음성을 보였다. 한편 고로쇠나무는 전광대비 29~40%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광합성 능력과 엽록소 형광을 나타내, 내음성 수준이 공시수종 중에 가장 높음을 시사하였다.

임분의 광환경이 활엽수 3수종의 광합성율 및 엽록소 함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Enviroment on Photosynthetic Rate and Chlorophyll Contents of Three Broad-leaved Species Growing in the Forest)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8-192
    • /
    • 2005
  • 이 연구는 큰 나무 아래 어린 나무를 심어 (수하식재) 새로운 숲을 가꾸는 방법 (임분갱신법)을 찾고자 낙엽송 간벌지에 음나무, 물푸레나무 및 층층나무 묘목을 1998년 봄에 수하식 재 한 것과 이웃에 위치 한 동일한 묘령의 임간포지에서 생육하는 개체들과의 엽록소항량과 광합성율을 2000년 7월에 측정$\cdot$비교하였다. 이는 식물종에 따른 광량에 대한 적응력 차이 (내음성)를 생리학적으로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낮은 광도에 적응하기 위하여 음나무 잎은 다른 수종들에 비하여 보다 많은 엽록소함량과 광합성능을 증가시 키는 반응을 보였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내음성은 음나무, 물푸레나무, 층층나무의 순으로 낮아지는 것이라 판단된다.

차광처리에 따른 애기소엽맥문동의 생장과 피복에 관한 연구 (Growth and Ground Coverage of Ophiopogon japonicus 'Nanus' under Different Shade Conditions)

  • 강애란;박석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68-75
    • /
    • 2017
  • 정원소재로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애기소엽맥문동(Ophiopogon japonicus 'Nanus')을 대상으로 18개월(2015년 5월~2016년 10월)간 차광생육실험을 실시해 내음성 범위와 피복정도를 알아보았다. 전남 장흥군 노지에 3년간 재배된 애기소엽맥문동을 공시재료로 이용했다. 전남 나주시의 실험장에서 식재상자($70cm{\times}70cm{\times}24cm$)에 애기소엽맥문동을 심고 차광막을 덮어 자연광을 차단했는데 차광처리 수준은 무차광(0%), 55%, 75%이었다. 차광처리구별 생장량(엽장, 엽수, 생중량 건중량)과 지표면 피복률을 조사했다. 애기소엽맥문동의 엽장 엽수는 무차광(0%)이 다른 처리구보다 통계적으로 높았다. 생중량 건중량은 무차광(0%) 차광처리 55%가 차광처리 75%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애기소엽맥문동이 정상적으로 생육가능한 내음성 범위는 차광률 0~50%정도며, 50%이상의 자연광이 차단되면 생장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차광처리구별 피복률은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애기소엽맥문동을 $1m^2$당 220분얼을 심었는데 18개월 후에는 지표면 80%까지 덮었다. 애기소엽맥문동은 비옥한 토양에서 생육이 적합해 조기 피복을 위해선 충분한 질소비료 시비가 필요하다. 본 실험장에서 애기소엽맥문동은 동해를 입지 않아 온대 남부지역까지 식재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논토양에서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재배방법이 인삼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tion Using Plastic-Film House on Yield and Quality of Ginseng in Paddy Field)

  • 김동원;김종엽;유동현;김창수;김희준;박종숙;김정만;최동칠;오남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0-216
    • /
    • 2014
  • The average and maximum temperature were $29.5^{\circ}C$ and $33.2^{\circ}C$ at 2:00 p.m. respectively, in the plastic-film house covered with shade net, and both of temperature were lower $0.6^{\circ}C$ and $1.3^{\circ}C$ than those of conventional shade. Light transmittance was 14% in the plastic-film house, while 9.9% in conventional shade during growing season from May to October. Withering time of aboveground part was on October 3rd in conventional shade with 60% of withering leaf, while it was on November 10th with 3.7% of withering leaf in the plastic-film house, about 40 days longer survival. The main disease incidence were 15% of anthracnose, 17% of leaf spot, 5% of phytophthora blight and 3% of gray mold in the conventional shade, while 0 ~ 0.1% disease incidence and 95% of emergence rate in the plastic-film house. The growth in the aboveground and underground part of ginseng was totally better, particularly characteristics affecting yield such as root length, main root length and diameter in the plastic-film house. The fresh weight was increased by 128%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ade and harvested roots per $3.3m^2$ were 36 roots in the conventional shade and 58 roots in the plastic-film house and futhermore yield per $3.3m^2$ was increased by 216%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ade. As covering materials, the rice straw in the plastic-film house was excellent. The ginsenoside contents affecting the quality of ginseng were higher in the plastic-film house indicating 0.333% of Rg1, 0.672% of Rb1, 0.730% of Rc and rate of red rusty root was less than 4.0 ~ 6.1%. Above the results, the quality of ginseng grown in the plastic-film house covered with shade net was improved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hade.

Seasonal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Regimes in a Ginseng Garden

  • Bailey, W.G.;Stathers, R.J.;Dobud, A.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53-62
    • /
    • 1988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arid interior of British Columbia, Canada to assess the seasonal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regimes in an American ginseng garden. As a consequence of the man-modified microclimate (elevated shade canopy and surface covering of mulch), the growing environment of the crop was fundamentally altered when compared to adjacent agricultural growing environments. In the ginseng garden, soil temperatures were found to remain low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whereas soil moisture remained high when compared with the outside garden environ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ven in the hot, arid environment of the interior of British Columbia, the growing of ginseng is undertaken in sub-optimal conditions for the major part of the growing season. This poses challenges for the producers of the crop to modify the architecture of the gardens to enhance the soil regime without creating a deleterious aerial environment.

  • PDF

상이한 피음조건에서 자라는 3개 활엽수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Three Deciduous Hardwood Seedlings Growing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 Regimes)

  • 김길남;조민석;이수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6-4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자작나무, 개벚나무, 함박꽃나무를 대상으로 피음수준을 전광 처리구(상대투광율; 100%), 약피음 처리구(상대투광율; 64~73%), 보통피음 처리구 (상대투광율; 35~42%), 강피음 처리구(상대투광율; 9~16%)로 달리하여 이들의 내음성 및 광 요구도에 관한 광합성 특성과 엽록소 형광 반응, 엽록소 함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세 수종의 생육시기별 광합성 능력은 7월과 9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자작나무와 개벚나무에 비해 함박꽃나무의 광합성 능력이 매우 낮았다. 순양자수율 또한 광합성 능력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수목의내음성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광보상점은 함박꽃나무가 자작나무와 개벚나무에 비해 강한 내음성을 나타냈다. 피음 처리별 광합성 능력에서는 자작나무는 전광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개벚나무는 시기별 차이는 있지만 강피음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세 처리구에서 비슷한 광합성 능력을 보였다. 함박꽃나무는 보 통피음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광합성 능력을 나타냈다. 피음 처리별 엽록소 형광 반응 특성에서 광화학 반응에 대한 순양자수율의 최대치인 광화학효율($F_v/F_m$)은 자 작나무의 경우 전광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피음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개벚나무는 약피음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광화학효율을 보였으며, 함박꽃 나무는 보통피음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한 광화학효율을 나타냈다. 특히 함박꽃나무는 다른 두 수종과는 달리 전광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세 수종의 피음 수준별 광합성 능력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실험대상 수종들의 총 엽록소 함량은 세 수종 모두 피음 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전광 처리구에 비해서 강피음 처리구에서 총 엽록소 함량이 유의적 차이를 보이면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 a와 b 각각의 함량 변화도 총 엽록소 함량과 같은 경향이었다. 피음 수준이 높아지면서 엽록소 b의 함량 증가가 엽록소 a의 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 때문에 피음 강도가 강해지면서 엽록소 a/b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세 수종의 적정 생육 광도는 자작나무는 전광 처리구(상대투광율; 100%), 개 벚나무는 약피음 처리구(상대투광율; 64~73%), 함박꽃 나무는 보통피음 처리구(상대투광율; 35~42%)가 적합 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수목의 생육에 있어서 광도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토양환경, 경쟁식생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환경인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광도 변화와 연계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경제수종(主要經濟樹種)의 내음성(耐陰性) 및 광선요구도(光線要求度)와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연구(硏究)(II) -인공피음(人工被陰)이 활엽수(闊葉樹) 4종(種)의 수분(水分)포텐셜 및 기공증산저항(氣孔蒸散低抗)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Shade Tolerance, Light Requirement and Water Relations of Economic Tree Species(II) -Effects of Artificial Shade Treatment on the Water Potential and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 of Four Deciduous Hardwood Species-)

  • 권기원;최정호;정진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198-207
    • /
    • 2000
  • 전광처리구에서 2-6%의 상대투광량을 보이는 최강피음구까지 총 5수준의 인공피음 처리 하에서 자라는 자작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산벚나무 1년 생 묘목의 수분 특성을 밝히기 위해 기공증산저항과 수분포텐설의 일 변화와 계절 변화를 조사하였다. 활엽수 4종에 대해서 측정한 기공증산저항은 오전 9시에 1.7 ~25.1s/cm, 오후 1시 2.3~33.3s/cm, 오후 5시에 1.1~36.8s/cm의 범위 내에서 수종과 계절에 따라서 피음처리 수준별로 다양한 변화를 보였다. 기공증산저항은 조사된 대부분의 수종에서 피음도가 강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6월이나 7월에 비해 9월에 더 높았다. 느티나무, 산벚나무와 고로쇠나무에서는 전광처리구에 비해 최강피음구의 증산저항 측정치가 약 3~4배 높았다. 수분포텐셜 또한 오전 9시에 -0.17~-1.20MPa, 오후 1시 -0.30~-2.03MPa, 오후 5시에 -0.18~-1.34MPa의 범위 내에서 수종과 계절에 따라서 피음처리 수준별로 다양한 변화를 보였다. 수분포텐셜은 조사된 대부분의 수종에서 9월의 측정치가 6월이나 7월의 측정치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며 그 계절적인 차이는 다른 수종에 비해 느티나무에서 현저하게 커지고 있었다. 수분포텐셜은 전광처리구에 비해 최강피음구에서 약 2~3배 더 높았지만 그 차이는 기공증산저항에서 보이는 차이보다는 다소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수준의 피음도 구배에 따른 수분포텐셜의 차이는 자작나무의 경우에 다른 수종보다 상대적으로 작았다. 내음성이 다소 안정되는 고로쇠나무나 산벚나무에서는 전광처리구에서 상대투광량 22-28% 의 중피음구까지 피음도를 높이면서 한낮을 중심으로 수분포텐셜이 급속하게 증가되었으나 최강피음구에 접근하면서 수분포텐셜의 증가는 둔화되었다. 양수에 속하는 자작나무나 느티나무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피음수준이 높아지면서 수분포텐셜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폭은 자작나무보다는 느티나무에서 더 컸다.

  • PDF

매듭풀 ( Kummerowia striata ( Thunb. ) Schindl. ) 개체군의 질소고정활성과 생육특성의 계절변화 (Seasonal changes of nitrogen fix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ummerowia striata(thunb)schindl. populations)

  • Song, Seung-Dal;Bae, Sang-M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4호
    • /
    • pp.377-386
    • /
    • 1992
  • Seasonal changes of symbiotic nitrogen-fixation activit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four different natural populations of kummerowia striata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during the growing period. the nitrogen-fixation activity of root nodules attained the maximum rates of 148, 132, 102 and 100$\muM\;C_2H_4\;\cdot\;g\;fw\;nodule^{-1}\;\cdot\;hr^{-1}$, respectively for sunny, multibranched, shade and unibranched populations at the optimum growth conditions. and the seasonal changes showed fluctuations by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light, temperature, nutrient contents, water stress and plant ages, etc. The multibranched plant showed the greater amount of leaf and root nodule biomass, and the higher nitrogenase activity than the unibranched plant. the optimum conditions of leaf chloropht11 and water content of each organ indicated the active growth and the maximum fresh biomass of 4 different populations were 1.92, 1.85, 0.97 and 0.56 g $fw\cdotplant^{-1}$ for shade multibranched, sunny and unibranched populations,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