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ven unrecorded specie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4초

家住性 쥐의 Mites ( Mesostigmata ) 에 關한 硏究 ( 1 ) (Study of Mesostigmatid Mites Parastic from House-Mice)

  • Kim, Meung Hai;Hai Poong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2호
    • /
    • pp.75-79
    • /
    • 1985
  • 330 House-Mice (Rattus norvegicus; 288, Rattus rattus; 42) were captured in surveyed areas (Downtown Seoul, Yeom-gok dong, and Sung-nam city) from May 1st, 1983 to April 30, 1984. Total 6170 of their Mites were collected from the above-indicated House-Mice. The survey on the number of species, the average individual number, preference of host, infection rate, and monthly abundance of Mites reached the following results. Seven species of Mites in Rattus norvegicus, and 5 species of Mites in Rattus rattus were respectively found. Accordingly whole Mites were found in 4 families, 6 genera, 9 species including unrecorded Hirstionysssus apodemi and Roadfordia ensifera. The most common species among Mites were Laelaps nuttalli (70.6). In aspect of the average individualnumber of Mites by host, 19.9% of Rattus norvegicus is more excessive than 10.2% of Rattus rattus. Eulaelaps stabularis, Androlaelaps glasgowi, Hirstionys년 apodemi were shown in preference of host in Rattus norvegicus, while Laelaps jettmari and Rodfordia ensifera in Rattus rattus. Rattus norvegicus was much infected by Laelaps nuttalli, while Rattus rattus by Laelaps echidninus. The seasonal development of it in Rattus norvegicus and Rattus rattus was at peak in July and in September. And Ornithonyssu bacoti was at peak in June, while Laelaps echidninus and Laelaps nuttalli in July.

  • PDF

Isolation of four unrecorded yeasts in the family Filobasidiaceae from soil in Korea

  • Maeng, Soohyun;Park, Yuna;Srinivasan, Sathiyaraj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350-355
    • /
    • 2021
  • In 2020, 11 Basidiomycetous yeast strains were isolated from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he forests of Namhansanseong in Korea. Among them, seven species were reported, but four species were unreported in Korea. To identify wild yeasts, pairwise sequence comparisons of D1/D2 domain of the 26S rRNA were performed using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The cell morphologies and assimilation test are observ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e and API 20C AUX kit, respectively. The 11 strains were assigned to the genera Rhodotorula (4 strains) of the order Sporidiobolales of the class Microbotryomycetes; and Cryptococcus(2 strains), Goffeauzyma (1 strains), Naganishia (2 strains) of the order Filobasidiales and Saitozyma (2 strains) of the order Tremellales of the class Tremellomycetes in the phylum Basidiomycota. The unreported yeast strains Cryptococcus gastricus 20n5-2, Goffeauzyma gilvescens 20n2-7, Naganishia adeliensis 20n8-1, and Naganishia friedmannii 20n24-1 belong to the family Filobasidiaceae. All strains had oval shaped cells and cream-colored colonies cultured on on YM agar for 3 days.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description of four unreported yeast species in Korea.

한국 해산 중복족류 ( 체동물 문: 복족 강) 미기록 7종 - 총알고둥 상과 , 갑옷고둥 상과 , 루소고둥 상과 , 짜부락고둥 상과 - (Seven Unrecorded Mesogastropodous Species (Gastropoda : Mollusca) from Korean Waters - Superfamilies Littorinacea, Tornacea, Rissoinacea, and Cerithiacea -)

  • Choe, Byung-Lae;Park, Joong-Ki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26
    • /
    • 1993
  • 한국 해산 중복족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965년 5월 부터 1992년 5월까지 전국 해안 64개 지점으로부터 채집된 총알고둥 상과, 갑옷고둥 상과, 루소고둥 상과, 짜부락고둥 상과에 속하는 표본들을 동정, 분류한 결과 다음과 같은 7종의 한국 미기록종을 얻었기에 이들에 대한 도판과 함께 재기재를 하였다: Stenoris smithi(Pilsbry, 1895), Peasiella infracostata(Issel, 1869), Pseudoliotia micans A. Adams, 1850, Alvania concinna (A. Adams, 1861), Barleeia trifasciata(Habe, 1960), Cerithiopsis subreticulata(Dunker, 1861), Cerithiopsis spongicola Habe, 1960.

  • PDF

세종특별자치시 주변의 금강 중류 물과 토양에서 야생 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의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from the Water and Riverside Soil of Geumgang Midstream in Sejong City,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Wild Yeasts)

  • 한상민;김지윤;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1-61
    • /
    • 2019
  • 우리나라 금강의 물과 주변 토양에 분포하는 야생 효모들의 종 다양성을 확립하고자 세종특별자치시 불티교와 햇무리교를 흐르는 금강 중류의 물과 주변 토양에서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세종시 불티교 밑의 물과 주변 토양들로부터 32종, 37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중 Holtermanniella takashimae SW048 (NNIBRFG9314), Cystofilobasidium infirmominiatum SW013 (NNIBRFG9310), Mrakia cryoconite SW015(NNIBRFG9316), Pichia sporocuriosa SW085(NNIBRFG9326)와 Cryptococcus aspenensis SW008 (NNIBRFG9309) 5균주들을 국내 미기록 효모 균주들로 최종 선별하였고, 이들은 구형-난형으로 출아에 의해 영양증식을 하였다. M. cryoconite SW015 외 모두 자낭포자를 형성하였고, P. sporocuriosa SW085 와 C. aspenensis SW008 균주는 20% 포도당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도 생육하는 내당성 야생 효모들이었다. 또한, 세종시 햇무리교의 물과 주변 토양시료에서 모두 8종 26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야생 효모들 중 Occultifur kilbournensis HB060 (NNIBRFG9317), Sampaiozyma vanillica HB014 (NNIBRFG9332), Xenoramularia neerlandica HB039 (NNIBRFG9335), Candida norvegica HB315 (NNIBRFG9306), C. melibiosicaHB316 (NNIBRFG9305), C. quercuum GB014 (NNIBRFG9307)와 C. succiphila GB015 (NNIBRFG9308) 7균주 국내 미기록 효모들로 분류되었다. O. kilbournensis HB060와 X. neerlandica HB039는 자낭포자와 의균사를 형성하지 못하였고 C. norvegica HB315는 5 % NaCl를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내염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금강의 야생 효모 종 다양성 확립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한반도 풍혈지의 선태식물상 (Bryophyte flora of algific slopes in the Korean Peninsula)

  • 김중현;안지홍;이병윤;김진석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508-525
    • /
    • 2019
  • 풍혈지는 특수한 국소적인 저온 환경으로 인해 북방계 식물들이 온대지역의 해발고도가 낮은 지대에서도 분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한반도 주요 풍혈지 15개소에 대한 선태식물 종조성을 밝히고, 종다양성의 패턴분석 및 식물지리학적 중요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풍혈지의 선태식물상 조사결과, 59과 138속 226종 2아종 5변종의 총 23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가운데 북방계 선태식물은 검정이끼, 담뱃대이끼, 된서리이끼, 수풀이끼, 겉창발이끼 등이 풍혈지에서 생육하고 있었다. 국내(남한)에서 발견된 미기록종은 14분류군, 한반도에서 발견된 미기록종은 7분류군이었다. 지소별 유사도 분석결과, 환경 특성이 유사한 지소끼리 유사도 지수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각 풍혈지별 선태식물의 종조성은 지형과 미소 기후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풍혈지는 최후빙하기의 한반도의 기후, 식생 환경을 이해할 수 있는 직접적인 증거를 보유한 서식지(피난처)이지만 풍혈지의 식생은 어떠한 보호조치도 없이 인위적으로 훼손되고 있다. 풍혈지의 생물학적인 가치와 보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Diversity of Nigrospora (Xylariales, Apiosporaceae) Species Identified in Korean Macroalgae Including Five Unrecorded Species

  • Wonjun Lee;Dong-Geon Kim;Rekhani H. Perera;Ji Seon Kim;Yoonhee Cho;Jun Won Lee;Chang Wan Seo;Young Woon Lim
    • Mycobiology
    • /
    • 제51권6호
    • /
    • pp.401-409
    • /
    • 2023
  • Nigrospora (Xylariales, Apiosporaceae) consists of species of terrestrial plant endophytes and pathogens. Nigrospora has also been reported in marine environments such as mangroves, sea fans, and macroalgae. However, limi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Nigrospora associated with macroalgae. Here, we isolated Nigrospora species from three types of algae (brown, green, and red algae) from Korean islands (Chuja, Jeju, and Ulleung) based on phylogenetic analyses of multigenetic markers: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beta-tubulin (BenA),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TEF1-α). A total of 17 Nigrospora strains were isolated from macroalgae and identified as nine distinct species. The majority of Nigrospora species (seven) were found on brown algae, followed by red algae (three), and then green algae (two). To our understanding, this study represents the first account of N. cooperae, N. covidalis, N. guilinensis, N. lacticolonia, N. osmanthi, N. pyriformis, and N. rubi occurring in marine environments. Additionally,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report of the occurrence of N. cooperae, N. covidalis, N. guilinensis, N. lacticolonia, and N. osmanthi in South Korea.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exploring the functions of fungi in macroalgal communities.

국내 연안에서 바다뱀 관찰과 포획의 제보 및 오제보 분석 (Analysis of the Correct and Incorrect Reports on the Observation and Capture of Sea Snakes in the Coasts of South Korea)

  • 김일훈;박재진;최우진;구교성;박대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55-460
    • /
    • 2017
  • 2016년에 1종이 추가로 보고되어, 현재 한국 연안에는 총 4종의 바다뱀이 분포하고 있다. 기후변화 등으로 한국 연안에 바다뱀의 년 중 서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인적, 물적 한계로 인하여 관련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다. 국내 연안 내 바다뱀 분포에 대한 정보 및 샘플을 시민의 활동을 통해 확보하기 위하여 한반도의 해안지역과 제주도에 제보를 권하는 바다뱀 포스터와 현수막을 게시하고 제보를 접수하였다. 연구수행결과 2013년 3월부터 2016년 12월 사이 45건의 신뢰성 있는 제보가 접수되었다. 바다뱀 제보는 18건으로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에서 접수되었으며, 시기적으로는 8-11월 사이가 많았다. 총 3종 18건의 바다뱀 분포정보와 2종 13개체의 포획이 가능하였다. 바다뱀의 오제보는 27건이었는데, 육지뱀이 7건, 어류가 18건, 무척추동물과 사물이 각 1건이었다. 자료를 바탕으로 시민을 활용한 효율적 바다뱀 조사방법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I) -수종 미기록속과 종에 대하여-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 - on some unrecorded genera and species -)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266-274
    • /
    • 1995
  • 1994년 5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도합 11차례에 걸쳐 우리나라 전역의 11개 지역을 탐색하여 290점의 목재부후균류의 표본을 확보하고 최근의 분류체계를 따라 자실체의 형태학적인 관찰을 통하여 분류 동정한 결과 도합 15과 54속 70종으로 확인되었다. 그중 가장 많은 종류를 차지하는 종류는 민주름버섯목 균류로서 7과 42속 57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들 중 고약버섯과에 속하는 융단고약버섯속(신칭(新稱), Botryohypochnus)의 융단고약버섯(신칭(新稱), Botryohypochnus isabellinus), 균열유색고약버섯(신칭(新稱), Phanerochaete laevis), 및 레몬고약버섯속(신칭(新稱), Vesiculomyces)의 레몬고약버섯(신칭(新稱), Vesiculomyces citrinus),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는 검무른구멍장이버섯(신칭(新稱), Gloeoporus Pannocinctus)과 누런살색구멍버섯(신칭(新稱), Junghuhynia luteoalba), 소나무비늘버섯과에 속하는 배착시루뻔버섯(신칭(新稱), Inonotus andersonii)과 시루뻔버섯(신칭(新稱), Inonotus hispidus), 도합 2속 7종이 국내 미기록으로 판명되었다. 최근 정(1994)은 한국산 목재부후균류의 분포상에 대한 연구 제 2보를 통하여 국내의 15개 국립공원과 7개 일반 지역 및 2개 도서지역을 탐색한 결과 국내 목재부후균류의 민주름버섯류를 217종과 1변종으로 확인한바 있으며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추가하면 한국산 목재부후 민주름버섯류는 도합 17과 100속 224종 1변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 미기록종 균류는 관악산, 천마산, 지장봉, 소백산, 덕유산, 그리고 설악산에서 채집되었으며, 검무른구멍장이버섯, 배착시루뻔버섯, 및 시루뻔버섯은 모두 참나무, 레몬고약버섯은 단풍나무, 융단고약버섯은 미확인 활엽수, 균열유색고약버섯은 향나무, 누런살색구멍버섯은 소나무에서 발견되었다. 그중 시루뻔버섯은 소백산과 설악산의 살아있는 또는 죽은 참나무의 높은 둥치나 쓰러진 둥치에서 다수 발견되어 우리나라 산악의 특정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종으로 판단되었고, 균열유색고약버섯은 원래 활엽수에 자생하며 간혹 전나무나 소나무에도 부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본 조사에서는 드물게 향나무의 죽은 가지에서 발견되어 본 종이 활엽수뿐만 아니라 침엽수에도 널리 분포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