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e seeds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3초

가공공정에 따른 참기름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esame Oils during Industrial Process)

  • 김현위;최춘언;우순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39-744
    • /
    • 1998
  • 볶음장치(로타리킬른)를 사용하여 참깨볶음온도 $225{\pm}2^{\circ}C$, 볶음시간 15분으로 볶아서 나온 참깨를 착유하여 얻은 기름을 1차압착유, 1차착유하고 남은 참깨박을 재착유하여 얻은 기름을 2차압착유, 1차압착유와 2차압착유를 혼합해서 여과한 참기름을 1차여과유, 1차여과유의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정치시켜서 얻은 정치유, 정치유를 여과해서 얻은 참기름을 2차여과유로 구분하여 이들의 공정에 따른 참기름 향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전체향기성분량은 1차압착유 536.3 ppm, 2차압착유 266.8 ppm, 1차여과유 472.2 ppm, 정치유 472.4 ppm, 2차여과유 443.0 ppm으로 가공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특히 1차압착하고 남은 참깨박을 재착유할 경우 2차압착유에는 약 50%의 향기성분만이 잔존하여 향성분의 손실이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관능적으로 중요한 top note감소(초기함량치 70.67% 감소)가 현저함을 알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pyrazines의 손실이 초기함량의 66.9%로 가장 현저하였다.

  • PDF

Performance of Heritabilities, Genetic Correlations and Path Coefficients of Some Agronomic Traits at Different Cultural Environment in Sesame

  • Shim, Kang-Bo;Kang, Chul-Whan;Lee, Sung-Woo;Kim, Dong-Hee;Lee, Bong-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45-250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ponses of some agronomic traits to the different cultural environments and relations among the agronomic traits for selecting sesame varieties with higher cultural stabilities. The indexes for stability parameters measured were coefficient of variability, heritabilities, genetic correlations and path coefficients of agronomic traits according to locations and years in Korea. The heritabilities of agronomic traits showed different by locations and years. Number of seeds per capsule and 1000 seeds weight showed higher heritabilities, but stem length and seed weight per plant showed relatively lower heritabilities. Average heritabilities of some agronomic traits in 1998 were comparatively higher than those of 1999. Of six areas, Jinju area showed biggest coefficient of yield variability in 1998-1999. Iksan and Taegu areas showed higher heritabilities in 1998, but Iksan and Jinju areas showed lower heritabilities in 1999. Genetic correlations were slightly higher than corresponding phenotypic correlations. Stem length showed positive genetic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nd seed weight per plant and the number of capsule per plant showed positive genetic correlation with seed weight per plant. On the analysis of path coefficients, stem length and number of capsules effected highly on grain yield. Great regional variations were observed on the effects of agronomic traits on grain yield. Higher direct effects of stem length on grain yield were observed at Suwon, Chungwon, Taegu, Jinju and Naju areas, but in Iksan area was observed higher direct effect of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on grain yield in 1998. In 1999, higher direct effect of stem length on grain yield was observed at Chungwon and Suwon areas. Iksan and Taegu areas were also observed higher direct effect of the number of capsule per plant on grain yield.

  • PDF

발아의 경과에 따른 참깨 종실내 주요성분의 변화 (Changes of Major Componets During Germination of Sesame (Sesamum indicum L.) Seeds)

  • 김현경;정대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7-144
    • /
    • 1998
  • These studies were undertaken to investigate changes of major components occuring during germination of sesame (Sesamum indicum L.) seeds, Changes of total lipid and protein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determined. Also, the correponding values of various components in cotyledons, hypocotyls and roots were measured according to germination stag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During germination, total lipid and protein contents decreased. In particular, protein contents rapidly decreased to the 3 days after gemination(DAG), and then total lipid contents rapidly decreased. In changes of total lipid and protein of cotyledons, hypocotyles and roots detected at the 10, 15 and 20 DAG, some variations were determined. The contents of lipid and protein in hypocotyls rapidly decreased, but since than no changes were observed. In contract, in roots similar changes patterns were observed, while since 15 DAG a rapidly increase was wxamined.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saturatedmfatty acids such as palmitic acid in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On the other hand, unsaturated fatty acid such as olic acid and linoleic acid de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s. In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of cotyledons, hypocotlys and roots,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in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However, linoleic acid decreased during the same germination suggesting that this may be due to the rapid degradation. However, linoleic acid de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s. According to SDS-PAGE analysis, there was no detectible polypeptide bands on the gel before seed germination suggesting that this may be due to the rapid degradation of the storage peotein in the mature seed by hydrolytic enzymes during the stag. As germination continued polypeptide bands, one with 40KD, two with 32∼34Kd and one with 24KD, were detected on the gel.

  • PDF

참깨에서 분리된 세사몰린의 백혈병 세포주 HL-60 생장억제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Sesamolin from Sesame Seeds on Human Leukemia HL-60 Cells)

  • 김관수;강삼식;류수노
    • 생약학회지
    • /
    • 제34권3호통권134호
    • /
    • pp.237-241
    • /
    • 2003
  • 본 연구는 참깨 종자로부터 추출, 분리된 세사몰린의 백혈병 HL-60 세포의 생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사몰린은 농도와 시간 의존적으로 HL-60 세포의 생합성을 억제하였다. $60{\sim}100\;{\mu}g/ml$ 농도의 세사몰린 범위에서 사포증식이 억제적이었다. $200\;{\mu}g/ml$ 이상의 세사몰린 농도에서 HL-60 세포에 세포파괴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60\;{\mu}g/ml$에서 HL-60 세포의 DNA, RNA, 단백질의 합성억제 정도는 35.1%, 6.1% 5.3%였다. 반면에 $200\;{\mu}g/ml$에서의 억제 정도는 각각 86.8%, 81.5%, 96.7%였다. DNA 합성에 대한 세사몰린의 억제효과는 비가역적이었다.

Microwaving을 이용한 참기름의 Benzo(a)pyrene 저감화 (Benzo(a)pyrene Reduction in Sesame Oil Using Microwaving Method)

  • 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23-329
    • /
    • 2012
  • 참기름은 고소한 고유의 향미와 우수한 산화안정성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우리 민족이 즐겨온 식용유 및 조미료의 일종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참기름은 다른 식용유지와 달리 화학적 정제공정을 거치지 않는 압착식용유로 이의 제조공정 중 볶음-압착공정에서 발암물질인 benzo(a)pyrene[B(a)P]이 다량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참기름에서 B(a)P가 검출되는 이유는 원료 참깨에 근본적으로 소량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볶음공정에서 가장 많은 양이 생성되었고, 압착공정에서도 일부 생성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참깨를 볶는 과정에서 기존의 볶음기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가정용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microwaving 볶음을 적용해 본 결과 확연한 차이를 발견 하였다. 상대적으로 microwaving 볶음은 5~10분이 적합하였으며, 참기름 제품에서의 B(a)P 함량은 0.53~0.79 ${\mu}g/kg$으로 볶음기를 이용한 직화법에 비하여 그 함유량이 1/2 이하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참깨의 볶음조건에 따라 참기름에서의 B(a)P 함량은 약 2배 이상의 차이를 나타내어 microwaving을 이용한 참깨의 볶음-착유공정이 참기름에서의 B(a)P 생성량 극소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길항세균 Bacillus subtilis YBL-7 건조포자체의 종자피막화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 (Seed Coating for the Application of Biocontrol Agent Bacillus subtilis YBL-7 against Phytopathogens)

  • 장종원;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43-248
    • /
    • 1995
  • Agrochemicals for the plant-disease control are criticized severely for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idual problems, and consequently microbial disease control agents are expected to be safer and more economical for sustainable agriculture. Treatment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to seed requires the use of effective delivery systems that allow full expression of the benefical qualities of the bioprotectant. For the activation and establishment of bioprotectant around the plant seed which are able protect the seeds and seedlings from pathogen attack, the optimal liquid coating formulation was obtained using 2%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binder), 20% sesame dregs (solid particulate material), and dried spore of Bacillus subtilis YBL-7 (bioprotectants, 10 mg/g of seed). Suppressive of root rot was demonstrated in pot trials with coated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L.) seeds. Coated seeds with B. subtilis YBL-7 spore in F. solani-infested soil reduced disease incidence by 85% to 90% after 30 days.

  • PDF

경기도 내 유통 견과종실류의 잔류농약 실태 모니터링 (Monitoring Pesticide Residues in Nuts and Seeds in Gyeonggi-do)

  • 이유나;문수경;이정희;김애란 ;문경은;강충원;이진희;박명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2-15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 유통 중인 견과 종실류의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고자 온라인 또는 유통매장을 통해 131건을 수거하여 조사하였다. 총 14품목의 견과종실류를 수거하였으며 339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한 결과 131건 중 총 8건에서 검출되었으며 범위는 0.01 mg/kg-0.07 mg/kg 수준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시료 8건 중 7건이 잔류농약 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으로 판정되었으며 부적합 7건 중 6건은 수입농산물에서 판정되었다. 중국산 호박씨의 경우 PLS가 적용된 피라클로스트로빈이 5건 검출되었으며 범위는 0.02 mg/kg-0.04 mg/kg 수준으로 나타났다. 인도산 참깨와 국내산 참깨에서도 펜디메탈린, 보스칼리드, 비펜트린이 각각 0.04 mg/kg, 0.05 mg/kg, 0.06 mg/kg으로 검출되어 부적합 수치를 보였다. 또한 검출된 8종의 농약에서 EDI/ADI (%) 값이 0.002%-0.372%으로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참깨의 발아특성(發芽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esame (Sesamum indicum L.))

  • 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28-60
    • /
    • 1983
  • 본(本) 연구(硏究)는 참깨종자(種子)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온도(溫度), 수분(水分), 산소(酸素) 및 관(光) 등(等)의 외적(外的) 조건(條件)의 영향(影響) 발아진행중(發芽進行中)의 종자내(種子內) 물질변화(物質變化)를 구명(究明)하고져 수행(遂行) 되었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35^{\circ}C$부터 $5^{\circ}C$ 간격(間隔)으로 $20^{\circ}C$까지는 평균(平均) 95.8~97.2%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고 이들 온도간(溫度間)에는 평균발아율(平均發芽率)의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15^{\circ}C$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의 급격(急激)한 감소(減少)를 보여 평균(平均) 32.2% 발아(發芽)되었고 이때 변이계수(變異係數)는 77%였다. 2. 온도(溫度)에 따르는 발아소요일수(發芽所要日數)는 $35{\sim}25^{\circ}C$에서 평균(平均) 1.16~1.64일(日)이었으며 $20^{\circ}C$에서는 3.07일(日)이었고 $15^{\circ}C$에서는 10.40일(日)이었다. 3. 발아율(發芽率) 및 발아소요일수(發芽所要日數)를 감안(勘案)할때 $15^{\circ}C$가 참깨종자(種子)의 발아한계온도(發芽限界溫度)였으며 참깨 종자(種子)의 저온발아성(低溫發牙性) 검정(檢定)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온도(溫度)로 고려(考慮)되었다. 4. Shirogoma, Turkey등(等)이 가장 저온발아성(低溫發牙性)이 높았고 수원(水原)29호(號), 내복, IS58이 그 다음이었으며, 70~80%의 비교적(比較的)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이는 품종(品種)들이 매포, 수원(水原)14호(號), 김포, 문덕, 해남이었는데, 이들 저온발아성(低溫發牙性)이 비교적(比較的) 높은 품종(品種)은 전공시품종(全供試品種)(90품종(品種))의 10%였으며 이들중 70%는 국내품종(國內品種)이었다. 5. $12^{\circ}C$에서 Shirogoma만 50% 이상(以上)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으며 대부분(大部分) 20%미만(未滿)의 낮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는데 파종후(播種後) 18일(日)에 온도(溫度)를 $27^{\circ}C$로 상승(上昇)시켰던바 2일이내(日以內)에 전품종(全品種)에서 90% 이하(以上)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으며 변온처리(變溫處理)에 따르는 품종간(品種間) 발아율간(發芽率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고 발아소요일수(發芽所要日數) 간(間)에는 청송, 의상천, 산동, 마산 등은 현저(顯著)히 소요일수(所要日數)가 길었다. 6. 발아(發芽)에 필요한 흡수율(吸水率)은 $25^{\circ}C$적습하(適濕下)에서 48%내지 62%로서 품종간(品種間)에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또한 치상후(置床後), 2시간에 발아(發芽)에 소요(所要)되는 전체 수분(水分)의 63% 정도가 흡수(吸收)되었다. 7. 포화수분하(飽和水分下)에서는 전공시품종(全供試品種)에서 평균발아율(平均發芽率)이 0.42%였고 -0.4bar에서는 64.8%였으며 -0.4~-5.5bar에서 가장 발아율(發芽率)이 높았고 이보다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부족(不足)할 경우 발아율(發芽率)은 거의 직선적(直線的)인 감소(減少)를 보였다. 8. 10개(個) 공시품종중(供試品種中) 6개공시품종(個供試品種)에서는 5%의 산소하(酸素下)에서 발아(發芽)에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으나 예천, PI158073, IS103, 의상천의 4품종(品種)은 산소농도(酸素濃度) 5%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64~91%로 저하(低下)되었다. 또한 무산소하(無酸素下)에서는 하배축(下胚軸)만 출현(出現)하였을뿐 자엽(子葉)의 출현(出現)은 없었으며 하배축(下胚軸) 출현(出現)은 IS103이 현저(顯著)히 낮았다. 9. 청송, Early Russian 및 수원(水原)9호(號)는 12시간(時間) 흡습(吸濕)시킨 후(後) 24시간(時間) 건조(乾燥)시킬때 청송만 27.5%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고 수원(水原)9호(號) 및 Early Russian은 전혀 발아(發芽)되지 않았으며 IS103은 4시간 흡습후(吸濕後) 24시간(時間) 건조시(乾燥時) 발아율(發芽率)이 감소(減少)되었는데 24시간(時間) 흡습후(吸濕後) 24시간(時間) 건조시(乾燥時)에도 32.5%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10. 발아(發芽)의 진행(進行)에 따라 종자내(種子內) 당함량(糖含量)은 급격(急激)한 증가(增加)를 보였으나 전분함량(澱粉含量)은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으며 ${\alpha}$-amylase의 활성도(活性度)는 점증(漸增)되었는데 이들 증감정도(增減程度)는 $25^{\circ}C$에 비해 $15^{\circ}C$에서는 현저(顯著)히 낮았다. 11. 발아(發芽)가 진전(進展)됨에 따라 종자(種子)의 지질함량(脂質含量)은 급격(急激)한 감소(減少)를 보였고 alkaline lipase의 활성도(活性度)는 특히 발아초기(發芽初期)에 더욱 급격(急激)한 증가(增加)를 보였는데 지질(脂質)의 감소정도(減少程度)와 alkaline lipase의 활성도(活性度) 증가정도(增加程度)는 $25^{\circ}C$에 비해 $15^{\circ}C$에서 현저(顯著)히 낮았다. 12. 6개공시품종중(個供試品種中) 4개공시품종(個供試品種)의 발아(發芽)에는 광파장(光波長)의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으나 수원(水原)8호(號)는 600~650nm에서 IS103은 600~650nm, 500~550nn에서 현저(顯著)히 발아율(發芽率)이 저하(低下)되었으며 수원(水原)8호(號)는 600~760nm 및 500~560nm에서, IS103은 400~470nm 및 암흑상태(暗黑狀態)에서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13. 100입중(粒重)이 무거운 종자(種子)에서 각(各) 품종(品種)의 발아율(發芽率)이 현저(顯著)히 높았으며 파종심도(播種深度) 4 cm 하(下)에서는 청송 및 Early Russian은 전혀 자엽(子葉)이 출현(出現)되지 않았던 반면(反面), 수원(水原)9호(號) 및 IS103은 각각(各各) 32.5 및 50%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또한 참깨의 지상부(地上部), 지하부(地下部) 및 재배지토양(栽培地土壤) 추출물(抽出物)은 발아(發芽)에 전혀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14. 무피복구(無被覆區)에 비해 흑색(黑色) 및 투명(透明) polyethylene film 피복구(被覆區)에서 발아율(發芽率)이 현저(顯著)히 높았고, 발아소요일수(發芽所要日數)는 현저(顯著)이 단축(短縮)되었으며 또한 초기생육(初期生育) 및 주당삭수와 주당수량(株當收量)이 현저(顯著)히 증가(增加)되었는데 polyethylene film의 종류간(種類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흑색(黑色)polyethylene film보다는 투명(透明) polyethylene film이 약간(若干) 더 효과적(效果的)인 경향(傾向)이었다. 15. 심천, 청송, 수원(水原)9호(號), PI158073 및 IS103은 수분흡수율(水分吸收率)이 현저(顯著)히 낮았고 흡습후(吸濕後) 종자중(種子重)의 증가(增加)는 수원(水原)8호(號), 수원(水原)26호(號), Orotall 및 의상천이 현저(顯著)히 컸다.

  • PDF

여과 및 원심 분리가 참기름의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ltration or Centrifugation on the Oxidative Stabilities of Sesame Oil)

  • 최은옥;문수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3호
    • /
    • pp.168-174
    • /
    • 1994
  • 여과 및 원심 분리가 $70^{\circ}C$ 저장 중 참기름의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headspace gas chromatography법에 의한 헥산알 생성과 기름의 과산화물가 및 공액 이중 결합 측정에 의해 살펴보았다. 볶은 참깨로부터 얻은 조참기름은 유리지방산, 공액 이중결합과 금속(철, 구리, 마그네슘 및 아연)을 더욱 많이 함유한 반면 수분과 ${\gamma}-tochopherol$은 여과 참기름 또는 원심분리 참기름에 더 많이 함유되었다. 여과 참기름은 세 종류의 기름 중 가장 큰 L과 b값의 우수한 색도에도 불구하고 조참기름보다 많은 과산화물을 함유하였다. 모든 참기름이 $70^{\circ}C$ 저장 중 색차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과 참기름에서의 리놀렌산 감소 경향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일정한 지방산 조성을 보였다. 산화 안정성에 있어서 원심분리 참기름과 조참기름은 a=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여과 참기름은 이들보다 산화안정성이 떨어졌다. 원심분리 참기름이 산화안정성과 유지의 색도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통되는 참기름의 진위여부 판별을 위한 분석 연구 (Discrimination of Genuine Sesame Oil from Imitations in the Consumer Market)

  • 배상균;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94-598
    • /
    • 2009
  • 본 실험은 재래시장, 식당, 일반소매업체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순수 참기름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자 하였다. 대기업 브랜드별 참기름을 6종을 구입하고 채취한 참기름 시료는 54종을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4종의 볶음참깨를 직접 추출하여 지방산을 분석함으로써 진위여부 판단에 사용하였다. 채취한 참기름 시료 54개 중 지방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33개 시료에서 C18:3 함량이 0.5% 이상이었다. 또한 참기름에서 가장 많은 지방산 함량을 차지하는 C18:1과 C18:2의 비율(C18:2/C18:1)을 이용하여 검사한 결과, 브랜드 참기름의 C18:2/C18:1 비율은 $1.05{\sim}1.12$였으며, 직접 볶음참깨로부터 추출한 $G{\sim}J$의 경우 $1.96{\sim}1.19$로 유사하였으나, 채취한 54종 참기름 시료는 C18:2/C18:1 비율이 $0.92{\sim}2.21$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