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e flavor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8초

국산 참깨와 중국산 참깨로 제조한 참기름의 풍미 비교 (Comparison of flavor in Sesame Oil Prepared with Korean and Chinese sesame)

  • 오명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3-150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mpare flavor of sesame oils prepared with Korean and Chinese sesam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sesamin and tocopherol content of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s. The color of Korean sesame oil was darker than that of Chinese sesame oil. It seemed that of Chinese sesame oil by analysis of aroma characteristics.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acceptability of Korean sesame oil wa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sesame oil in ordor test,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cceptability of Korean sesame oil that of Chinese sesame oil in seasoned cucumber test.

  • PDF

해바라기박을 이용한 향미유의 변향특성 (Characteristics of Flavor Reversion in Seasoning Oil using Sunflowerseed Meal)

  • 구본순;서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08-812
    • /
    • 2007
  • 해바라기박을 이용하여 직화법과 autoclaving법에 의하여 2종의 향미유를 제조하고 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직화법으로 얻은 원액의 색상, 향미 등이 상대적으로 autoclaving법으로 얻은 원액에 비하여 강하였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참기름에 비하며 향미유의 향미는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산가는 0.452, 0.463으로 참기름의 1.987보다 월등히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고 Lovibond color는 3종의 시료유에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들 향미유와 대조군으로 직접 제조한 참기름을 대상으로 정유성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조성 및 함량을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 총 휘발성 성분 함량은 참기름이 1,300.6 ppm, 직화법으로 제조한 향미유(A type)가 697.8 ppm, autoclaving법으로 제조한 향미유(B type)는 648.2 ppm으로 참기름 의 약 53.65% 및 49.84% 수준의 휘발성 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휘발성 성분은 2-butanone, hexanal, methyl pyrazine 등이었으며, 참기름은 pyrazine류가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향미유에서는 이와 같은 특정성분에 의존하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분산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참깨 볶음조건이 참기름의 향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oasting conditions on the flavor quality of sesame seed oil)

  • 이영근;임선욱;김정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407-415
    • /
    • 1993
  • 참깨를 100, 200, $300^{\circ}C$에서 각각 30, 60, 90, 120분 동안 볶은 다음 짜낸 참기름의 수율과 갈색침전물의 생성량을 조사한 결과, $200^{\circ}C$에서 90분간 볶은 경우가 기름의 수율이 높고 갈색침전물함량이 낮았다. 관능검사에의한 참기름의 향과 맛을 평가하였을 때도 $200^{\circ}C$에서 90분간 처리구가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수의(31 화합물) 휘발성향기성분이 분리, 동정되었다. 이 시료에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furfurals(달콤한 사탕냄새)과 pyrazines(고소한 냄새)의 함량이 높은 반면, 기름의 산화취를 내는 화합물인 aldehydes$(C5{\sim}C10)$와 ketones의 함량이 낮았다. 따라서 향기와 냄새 좋은 참기름을 얻기 위해서는 참깨를 $200^{\circ}C$에서 90분간 볶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공공정에 따른 참기름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esame Oils during Industrial Process)

  • 김현위;최춘언;우순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39-744
    • /
    • 1998
  • 볶음장치(로타리킬른)를 사용하여 참깨볶음온도 $225{\pm}2^{\circ}C$, 볶음시간 15분으로 볶아서 나온 참깨를 착유하여 얻은 기름을 1차압착유, 1차착유하고 남은 참깨박을 재착유하여 얻은 기름을 2차압착유, 1차압착유와 2차압착유를 혼합해서 여과한 참기름을 1차여과유, 1차여과유의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정치시켜서 얻은 정치유, 정치유를 여과해서 얻은 참기름을 2차여과유로 구분하여 이들의 공정에 따른 참기름 향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전체향기성분량은 1차압착유 536.3 ppm, 2차압착유 266.8 ppm, 1차여과유 472.2 ppm, 정치유 472.4 ppm, 2차여과유 443.0 ppm으로 가공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특히 1차압착하고 남은 참깨박을 재착유할 경우 2차압착유에는 약 50%의 향기성분만이 잔존하여 향성분의 손실이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관능적으로 중요한 top note감소(초기함량치 70.67% 감소)가 현저함을 알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pyrazines의 손실이 초기함량의 66.9%로 가장 현저하였다.

  • PDF

Purge-and-Trap법에 의해 추출한 참기름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esame Oil Extracted by Purge-and-Trap Method)

  • 이상화;주광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0-265
    • /
    • 1998
  • 참깨를 170, 200, $230^{\circ}C$로 열풍순환식과 전기팬에서 볶아서 참유한 기름의 향기 성분을 GC와 GC-MS로 분석하여 동정 확인하고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33개의 향기성분이 확인 되어졌으며 pyrazine류 14종, thiazole류 7종, pyridine류 4종, oxazole류 2종 및 기타 6종 이였다. 전기팬에서 170, 200, $230^{\circ}C$에서 처리된 시료의 총 향기성분의 함량은 각각 145.29, 334.65, 313.04 ppm 이였고 열풍순환식에서는 각각 28.86, 81.20, 313.28 ppm이 였다. 그리고 개별향기 성분중에서는 pyrazine류의 함량비가 가장 높았다. 6개의 시료에 대한 관능 검사의 결과는 $200^{\circ}C$에서 배전식 방법으로 볶은 참깨로부터 제조된 참기름이 가장 바람직한 향기를 가진것으로 판단되어졌다. 이런 현상은 GC 분석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 PDF

수입 참깨로 착유된 브랜드별 참기름의 전자코를 이용한 향 구분 및 혼합참기름의 판별연구 (Discrimination of Sesame Oils from Imported Seeds and Their Blended Ones Using Electronic-Nose System)

  • 신정아;이기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56-860
    • /
    • 2005
  • Electronic-nose system was used to discriminate commercial sesame oils (A-F) extracted from imported seeds. Response (delta $R_{gas}/R_{air}$) of sensors gained from electronic nose was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lavor pattern of sesame oil A was similar to those of sesame oils B, C, and D. Sesame oils blended with corn oil at the ratio of 95:5, 90:10 and 80:20% (sesame oil/corn oil, w/w) could be discriminated from ouch genuine sesame oil.

Generation of Sesame Flavor by the Thermal Reaction Technique

  • Yoo, Seung-Se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110-115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olatile compounds that are generated in sesame and contribute to its characteristic flavor. Different reaction systems were used to examine how certain amino acids influenced flavor profiles, and also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gar types on the distribution of those volatile compounds. The volatiles that were generated in each reaction system were selectively isolated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respectively. Among the 20 identified compounds, nitrogen-containing alkylpyrazines were found to be the predominant volatiles. The alkylpyrazine amounts varied across the different model systems, with the total yield being highest in the arginine reaction mixture, followed by the alanine, serine, and lysine mixtures. In general, fructose generated the most extensive amount of volatiles compared to glucose and sucrose. However, the yield of specific flavor compounds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ugar used. Finally,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a reaction temperature of $135^{\circ}C$ and a reaction time of 20 min generated the highest amount of volatile compounds.

식물성유를 첨가한 참기름 혼합유의 산화 안정성과 향기 성분 (Oxidative Stability and Flavor Compounds of Sesame Oils Blended with Vegetable Oils)

  • 주광지;김진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84-991
    • /
    • 2002
  • 순수 참기름과 채종유, 옥수수유, 대두유를 10%, 30%, 50%씩 첨가한 참기름 혼합유를 제조하여 $60^{\circ}C$의 incubator에서 8주간 저장하면서 혼합유의 산화 안정성과 향기 성분의 변화 그리고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시료의 POV는 저장 6주에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채종유와 옥수수유 10%, 30%, 50%씩 그리고 대두유 10%를 첨가한 참기름 혼합유는 순수 참기름 보다 저장 기간 동안 과산화물 생성이 억제되어지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났다. 산패 유도기간도 채종유와 옥수수유 10%, 30%, 50%씩 그리도 대두유 10%를 첨가한 참기름 혼합유에서는 대조구인 참기름 보다 그 기간이 더 연장되었다. 상대적 항산화 효과(Rel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 RAE)는 10% 채종유를 첨가한 혼합유가 순수한 참기름 보다 6배의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산가는 모든 혼합유 시료가 참기름 보다 더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단일 식물성유 보다는 그 수치가 높았다. 혼합유의 향기 성분은 참기름에서 확인된 참기름의 독특한 방향을 나타내는 pyrazine류가 참기름 혼합유에서도 확인되었으며 저장 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산패의 지표가 되는 aldehyde, ketone, acid등의 carbonyl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관능평가에서는 10%의 채종유, 옥수수유, 대두유를 첨가한 참기름 혼합유 시료는 대조구인 순수 참기름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참기름과 식물성유의 혼합은 매우 바람직하며 단일 식물성유보다 산화 안정성이 크게 증대되었을 뿐 아니라 관능적인 품질에도 차이가 없으므로 경제적인 면에서도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깨의 볶음조건이 참깨박 정유성분의 휘발성 성분 패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same Seed Roasting Conditions on Volatile Component Patterns of Essential Oils Obtained from Sesame Meals)

  • 이장우;윤여철;전남규;김선호;박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13
    • /
    • 2007
  • 참깨로부터 참기름을 채유하고 부산물로 얻어진 참깨박을 이용하여 천연 향료의 원료를 얻기 위하여 참깨의 전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각각 2종의 참기름과 참깨박을 얻었다. 참깨의 볶음온도를 200$^{\circ}C$, 220$^{\circ}C$로 차등화하여 얻어진 참기름 A, B는 각각 1,397.1 ppm, 1,518.8 ppm이었고, 참깨박 A, B는 각각 663.2 ppm, 775.3 ppm 및 참기름향은 16,507.9 ppm으로 차이를 보였다. 2종의 참기름에서 공통적으로 주요 휘발성 성분은 pentane, 2-butanone, pyrazine, methyl pyrazine, 2,5- 및 2,6-dimethyl pyrazine, furfuryl alcohol, guaiacol, 4-vinylguaiacol 이었다. 총 26종의 성분 중 pyrazine류는 각각 834.4 ppm, 816.4 ppm으로 전체의 59.72%, 53.75%를 차지하여 이 성분이 참기름의 향기를 결정해 주는 가장 큰 영향인자로 판단된다. 2종의 참깨박 A, B시료에서 주요 휘발성 성분은 2-butanone, hexanal, pyrazine, methyl pyrazine, 2,6-dimethyl pyrazine, furfuryl alcohol로 참기름과는 차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참기름 향료에서는 총 16,507.9 ppm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고, 주요 성분은 2-butanone, guaiacol, 4-vinylguaiacol이 각각 1,000 ppm 이상으로 전체의 35.02%를 차지하였다.

한국음식에서 참깨와 참기름의 전통적 이용 (A Study of Use of Sesame and Sesame Oil in Traditional Korean Cuisine)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7-151
    • /
    • 2005
  • It is estimated that sesame spread to Korea about B.C.1000 years and people cultivated sesame and ate sesame-oil age of three-nations. In the Koryo dynasty, sesame was cultivated as the major crop and there were specialists for making sesame oil. The sesame oil was enough for the both upper and lower classes. In the Chosun dynasty, it was introduced widely the method of sesame and deul-sesame (Perilla japonica) cultivation, the way of keeping sesame oil, and how to make sesame oil. Also, there were several ways of making sesame oil; press oil from raw sesame, or from roasting, boiling, and steaming sesame and etc. Even though sesame-oil and sesames were consumed in large quantities to cook Chan (찬 side dishes) and Byung-gwa (병과 Korean traditional dessert), most of common people could not use freely because it was expensive. You-mil-gwa (유밀과) took always a major dishes in the ceremony or party of the royal classes to the ordinary classes in the Chosun dynasty. Sesames and Sesame-oil made a major role in adding flavor to Chan-mul and Coookies in the Korean traditional cuisine. Especially, sesame-oil was consumed a lot to cook You-mil-gwa, You-kwa (유과), You-jeon-byung (유전병 fried rice cake) and Yak-bab (약밥). Roasted sesame and black sesame were used to cook Da-sik (다식), Gang-jung, and rice cake. Sesame oil and sesame was the major part of vegetable dishes such as Na-mul and it was used to add flavor to steamed, roasted and, pan-fried dishes and to roast, fry, and stew food. Heuk-im-ja-jook(black sesame porridge) and Im-ja-su-soup(임자수탕).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