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ng practice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2초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sodium reduction practices by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the Republic of Korea

  • Youngmi Lee;Sooyoun Kwon;Meeyoung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4호
    • /
    • pp.812-825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sodium reduction practices in school meal service by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and compared them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placement of the school nutrition teacher. SUBJECTS/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608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schools in the Republic of Korea from September 28 to November 12, 2021 (response rate: 57%). The questionnaire comprised 11 items related to sodium reduction practices (purchasing, food preparation and serving, and educati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each item was rated on a 5-point scale. The mean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t-tests or one-way analyses of variance and Duncan's post-hoc tests.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performed on sodium reduction practices. RESULTS: Participating in sodium reduction education, sodium reduction education for cooks, and sodium reduction education for students were assessed to have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Overall, the higher the school level, the lower was the importance level of sodium reduction practices. The performance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was higher than that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importance in the purchasing category perceived by dietitians was lower as compared to nutrition teachers. In addition, the performance in the purchasing, food preparation and serving, and education categories perceived by dietitians was lower than those of nutrition teachers. CONCLUSION: Sodium reduction education for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cooks, and students should prioritize practicing sodium reduction in school meal service. Specific guidelines for managing sodium reduction at all stages-purchasing, food preparation, and serving-should also be developed. The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reduce the sodium content in school meals.

지역아동센터의 배식 실태 및 배식량 측정을 통한 영양적 질 평가 (Status of Meal Serving and Nutritional Quality of Foods Served for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 권수연;여윤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52-362
    • /
    • 2015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수행되고 있는 배식 실태 및 영양적 질을 평가하기 위해 2014년 7월에 설문조사 및 배식량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역아동센터 급식관리자 39명이 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15개소의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급식관리자가 배식량 측정 실험에 참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51.3%가 센터장이었고, 38.5%가 생활복지사였으며, 1년 이내에 급식과 관련한 교육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69.2%였다. 응답자의 영양 및 위생분야 지식 점수는 10.0점 만점에 5.59점이었다. 응답자 중 교육 수강자의 영양 및 위생분야 지식 점수의 평균은 6.04점, 교육 비수강자의 평균은 4.58점으로 교육 수강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지역아동센터에서는 절반 정도가 대면배식(51.3%)으로 배식하고 있었고, 자율배식(23.1%), 개별배식(20.5%) 순이었다. 지역아동센터의 급식관리자들은 센터의 배식량이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3.6점/5점 만점). 지역아동센터 배식 시 위생모 또는 배식용 앞치마를 착용하는 정도에서 교육 수강자와 교육 비수강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 수강자들의 수행도가 높았다. 또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에게 배식을 하는 상황'에 대한 배식량 측정 실험 결과, 메뉴로 제공되는 모든 음식은 배식량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였으며, 밥, 국, 주찬, 부찬, 김치는 배식량 기준 대비 각각 87.3%, 65.2%, 56.5%, 37.1%, 81.3%를 충족시켰다. 측정한 배식량에 대한 영양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에너지와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칼슘은 영양기준 대비 섭취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백질과 비타민C, 철은 영양기준 대비 100.0% 이상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의 에너지 비율은 권장비율에 해당하였으나, 탄수화물은 72.0%, 지방은 13.3%로 각각의 권장비율인 55~70%, 15~30%에 조금 넘거나,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지역아동센터의 급식 담당자의 교육 수강 여부는 영양 및 위생관련 지식 점수와 배식 서비스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급식관리자가 배식하는 배식량이 배식량 기준 및 영양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아동센터 급식관리자의 급식관리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관련한 교육 기회 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아동센터 급식에서 적절량 배식을 통해 아동의 영양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식량 기준으로 영양관리 지침을 마련하고, 배식의 중요성 및 아동 연령별 적절한 배식량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겠다. 아동의 배식량과 관련하여 정부차원에서 이루어진 연구 및 보고에 대해 충분한 홍보가 미흡했으며, 현장에서 활용 방법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아동센터의 급식관리자의 교육 자료 개발 및 취약 계층 영양 관련한 후속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배식관리 및 식사지도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Analysi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Related service management and feeding practices of teachers at mealtime in childcare centers)

  • 여윤재;권수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3호
    • /
    • pp.289-29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배식관리 및 식사지도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금천구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179명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한 어린이집의 유형은 가정 어린이집 (39.7%), 민간 어린이집 (31.8%), 국공립 어린이집 (28.5%) 순으로 많았다. 요인분석 결과, 보육교사가 수행하는 배식관리 및 식사지도는 '개인 위생관리 (요인 1)', '식사지도 (요인 2)', '식재료 위생관리 (요인 3)', '맞춤형 배식 서비스 (요인 4)'의 총 4개의 요인, 11개의 항목으로 추출되었다. 보육교사는 '배식 시 위생모를 착용한다', '배식 시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등의 요인 1 (개인위생관리)과 관련한 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가장 낮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수행도도 가장 낮았다, 반면 '영유아의 연령을 고려하여 음식을 잘라서 배식한다', '영유아의 연령별로 1인 분량을 달리하여 배식한다'의 요인 4 (맞춤형 배식서비스)와 관련된 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가장 높게 인지하고 있었고 수행도도 가장 높았다.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1사분면에는 '영유아의 식습관을 격려하고 칭찬한다', '식사 전 후 감사인사를 한다', '영유아와 함께 앉아 식사한다' 및 '영유아의 연령을 고려하여 음식을 잘라서 배식한다'의 4개 항목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비해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은 3사분면에는 '배식 시 위생모를 착용한다', '배식 시 일회용 장갑을 사용한다', '배식 시 배식용 앞치마를 착용한다', '영유아의 연령별로 1인 분량을 달리하여 배식한다'의 4개 항목이 포함되어 있었다. 중요도는 낮다고 인지하고 있으나 수행도는 높은 4사분면에는 '조리 완료 후 2시간 이내에 배식한다', '먹다 남은 우유 (분유)를 바로 버린다', '식사 중 영유아의 이름을 부르며 대화한다'가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보육교사는 배식과 관련한 정부 지침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 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보육교사는 배식 시의 개인 위생관리 및 식재료 위생관리에 대해서는 중요하다고 인지하는 정도가 맞춤형 배식 서비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 위생관리는 중요도뿐만 아니라 수행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개인 위생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 실시 되어야 하며, 특히 배식 시의 위생적인 복장 착용에 대한 주제로 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보육교사가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어린이집의 급식 환경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 정부 및 관련 기관에서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위생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교육 이론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고령자 대상 도서관 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도시 지역의 활동적인 이용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Libraries Serving Older Adults: Initial Findings from Active Older Adults of Urban Libraries)

  • 김소영;차미경;김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33-157
    • /
    • 2019
  • 본 연구는 도서관의 고령자서비스 가이드라인 수립에 필요한 내용과 고려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자 서비스 관련 국내 법 정책 및 국외 가이드라인과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수도권 사서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고령자서비스 가이드라인에는 정보자원, 인적자원, 시설 및 설비, 서비스 및 프로그램, 홍보 및 마케팅의 영역에 따라 세부 지침을 두고, 고령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하고 사서가 고령자 응대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Attitudes toward Food Hygiene Education and Hygiene Practices

  • Heo, Ja Gyung;Lee, Jee Hye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3-328
    • /
    • 2015
  • 본 연구는 학교급식위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리종사자의 위생관리수행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위생자료 제공을 위해 급식소의 일반사항, 위생교육에 대한 조리종사자의 태도, 그리고 위생관리수행수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경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 중 고등학교 급식소 23곳의 조리종사자 185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급식운영형태에서는 직영보다 위탁이 위생관리 수행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제공 끼니수 에서는 1식이 2식, 3식을 하는 집단보다 위생관리 수행수준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리종사자의 위생교육 태도에 따른 위생관리 수행수준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위생교육에 대한 태도가 좋을수록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급식소의 일반사항과 학교 조리종사자의 위생교육에 대한 태도는 위생관리 수행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대전 ${\cdot}$ 충남지역 단체급식소 조리종사자의 위생관리실태조사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ieon and Chungnam Areas)

  • 임영희;곽현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1-387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anitary managment practic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s, and to suggest a guideline for an effective safety & sanitary managment of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The subjects consist of 782 employees in 80 institutional foodservice,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the SPSS V.10.0 package for descrip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mployees were female(97.2%), over 41 age(68.1%), high school(51.0%), less than 1-5 years(52.8%) of total career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Employment status was contract(64.2%) and cook's certification w3s not applicable(80.1%).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was over 1,000 number(65.0%) of average serving per day and operations format was direct(69.6%) management and 11-20 number of employees for cooking were 58.2%. Employees(96.0%) were received sanitation training and 82.4% of them have been monthly educated. Sanitation training instructor was dietitian 91.6%. The rating of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was food handling 4.36/5.00, food products management 4.32/5.00, personal hygiene 4.31/5.00, equipments and tools handing 4.18/5.00. The employees, who were educated in the sanitation training,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the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than of the uneducated employess. Therefore,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operations will have to pay special attention to sanitation training program of the employees. The suitable methods of sanitation training must be developed to improve the practical use of sanitary management by employees and institutional foodservice. Also, to enhance these practi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 to care for safety & sanitary management of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관악구 보육교사의 배식서비스 참여 및 식사지도 실태 : 영아반과 유아반의 비교 (Teachers' Participation and Mealtime Instruction in the Food Service at the Kwanak-gu Child-care Centers: Comparis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Caring Different Age Groups, Children Younger than Three Years and Those Three Years or Older)

  • 여윤재;권수연;윤지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2-124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e, practice mealtime instruction, and perceive difficulties in food service,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he teachers caring two different age groups: children younger than three years (Younger Group) and those three years or older (Older Group).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1 child-care centers in Kwanak-gu, Seoul, Korea during December, 2011. Only the data from 25 child-care centers, where two respective teachers in charge of Younger Group and Older Group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rms of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on in food service practice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for serving method; 'Pre-plated' serving was used significantly more often in Younger Group, whereas 'Line-up' serving was used in Older Group. Approximately, three quarters of the child-care centers had policies or guidelines on mealtime instruction. During mealtime, child-care teachers tended to use frequently verbal instructions such as "sit up straight when you eat" about eating manner, "don't be picky with your food" about eating habit, and "wash your hands before eating" about eating procedure in both the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in food service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on and mealtime instruction in food service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age groups, although children's development of digestion and eating skill differed by age. Therefor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child-care teachers about food service practices and mealtime instruction appropriate to children's age.

보육시설의 영양사 배치를 통한 영양교육 및 효과 평가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Provided by Dietitians in Child Care Centers)

  • 장혜자;고은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9-30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with nutrition services provided by dietitians who were placed in child care facilities from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For this, we investigated the levels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intakes of children who attended child-care centers as well as dietary practices of children assessed by their parents. The treatment for children consisted of nutrition education and food service activities that are provided by the dietitian who have 3 to 5 years experience. Nutrition education was implemented during 10 weeks, 20 times, and a total 400 min and it's effectiveness was evaluated by questionnaire. Data were obtained for 123 children aged 4 to 5 years old who attended four child-care centers, one for a control group and 3 for intervention groups. Dietary intake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one-serving size and plate waste a of child for one-day dietary records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levels of nutrition knowledge of children improved showing 70.80 points before to 83.45 points after nutrition education (p<0.001). Dietary intakes of the children after nutrition service increased significantly on cooked rice (133.66 g), Kimchi (19.41 g), side dish of meat/fish (48.40 g), and side dish of vegetables (24.88 g). Dietary practices of children after treatment also improved especially 'eat diverse meat, fish, egg, and bean' and 'never leave plate waste'. To summarize, this study pointed out that nutrition service and nutrition education provided by dietitians had influences on increases of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intake, and dietary practices. Therefore, placement of dietitians needs to extend to child care facilities from the 100 persons-over-capacity facility to the 50 persons-over-capacity facility, for providing professional service such as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서울 시내 요식 업소의 위생 상태 및 급식되는 음식의 미생물적 품질 개선을 위한 연구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Sanitary Condition as well as Quality of Foods Served in Various Types of Restaurants in Seoul City Area)

  • 곽동경;박경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1-131
    • /
    • 1986
  • 우리나라 요식업소의 작업 환경 및 급식되는 음식의 위생 상태를 위생 점검표 및 미생물 검사 결과를 기초로 분석,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방 및 객실의 위생 상태와 음식점 종사자의 위생 습관은 잠재적 위험성이 존재하는 불량 상태로 평가되어 요식업소 경영자와 종업원의 위생 개념에 대한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2) 음식에 대한 미생물 분석 결과, 요식업소의 업종 및 규모에 관계없이 탕류와 같은 높은 온도에서 조리되는 음식의 미생물적 품질은 비교적 좋았으나, 여러 단계의 생산 과정을 거치거나 실온에서 장시간 방치되는 음식 및 차게 급식되는 음식은 미생물적 품질이 낮게 나타났다. 3) 음식의 준비와 조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구 및 용기, 배선시 사용되는 식기의 위생 상태는 미생물 검사 결과, 매우 심각한 상태로 즉각적인 시정이 요구된다. 4) 식품 취급습관 및 주방의 위생환경, 음식의 조리 온도 등은 급식되는 음식의 위생 상태와 유의적인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병원급식의 적온관리 실태조사 -배선방법별 비교 연구- (A survey of the serving temperature control practices in hospital dietetics -Comparison between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tray assembly systems)

  • 남순란;류경;곽동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7-99
    • /
    • 1987
  • 병원급식의 관능적인 품질, 특히 적온 관리 실태를 평가하기 위해, 서울시내 소재한 종합병원 20개 병원의 급식제도, 식품운반체계 조사 및 식품생산과정 중 소요시간-온도상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병원들이 중앙배선화 되어가는 현시점에서 중앙 및 병동 배선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두 가지 배선방법을 함께 실시하는 H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H병원의 특수한 상황을 배제한 보편적인 실태 비교를 위해 H병원과 병상규모가 유사한(360~520병상) 7개 병원(병동배선 : 4, 중앙배선 : 3)의 배선방법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 20개 병원의 노동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병상당 종업원 수를 외국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적었으며, 주당노동시간은 미국의 경우보다 2배 많았다. 또한 사용하는 급식제도는 모두 전통적인 급식제도를 이용했고, 식품운반체계는 최근 1~2년 내에 대부분의 병원들이 중앙배선화 되어 현재 중앙배선 실시 병원은 60%에 달하였으며, 35%가 중앙배선으로 이행해 가는 과도기에 있었고, 단지 5%만이 병동배선을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급식제도와 중앙배선체계의 단점인 적온관리를 위한 기기 도입을 통해 특별한 배려를 하는 병원은 단지 3개 병원에서 일부 음식에 제한되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2. 서울시내에 소재한 20개 종합병원에서 제공되는 밥, 국, 육찬(또는 어찬)의 소요시간-온도상태를 조사한 결과, 병동배선 실시 병원의 I, II group의 국과 III group의 밥만이 미각기준온도를 만족시키며, 나머지는 모두 미달하는 수준이었다. 특히 조리후 급식까지 장시간 동안 방치되는 육찬 또는 어찬의 경우는 최저 99.1분에서 최고 199.1분까지 소요되어 급식온도 는 $20.6^{\circ}C$에서 $25.7 ^{\circ}C$로 미각 만족 온도에 크게 미달하는 온도로 급식되고 있었다. 또한 중앙배선방법을 이용하는 병원은 밥의 경우 $^45.3{\circ}C$~52.9$^{\circ}C$, 국의 경우 $43.1^{\circ}C$~ $54.0^{\circ}C$의 범위로 급식되었고, 병동배선을 이용하는 병원도 특별한 적온관리의 배려가 없는 III group 은 55.8$^{\circ}C$로 미각기준온도인 밥 : $65^{\circ}C$, 국 : $70^{\circ}C$에 미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급식당시의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중앙 배선시 정량후 급식까지 소요시간이 -.78로 가장 높게, 병동배선의 경우는 정량시 온도가 .6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중앙배선 및 병동배선 비교연구 결과 중 소요시간-온도상태의 비교연구 결과, 병동배선이 유의적으로 높은 온도를 나타냈으나, 두 배선방법 모두 미각 만족온도에는 미달되는 수준이었다. H병원에서 조사한 환자수응도 비교연구 결과는 배선방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노동가 연구 결과 H병원의 경우 중앙배선시 병동배선에 비해 노동시간이 21.0% 절약되었고, 노동임금도 17.9%가 낮았으며, 서울시내 7개 병원의 조사결과는 중앙배선시 병동배선보다 노동시간이 38.4%, 노동임금이 21.35%가 절약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즉 중앙배선을 실시하는 경우 노동임금이 절약되는 잇점이 있으나, 급식되는 온도는 병동배선시보다 유의적으로(P<.01) 낮게 나타나 효과적인 적온관리를 위한 적절한 배려가 절실히 요청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