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starvatio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8초

불포화도가 다른 유지가 단식과 정상식이 흰쥐의 체중 및 간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Fat and Oil Types on Weight Gain and Liver Metabolism in Fasting or Normal Diet Rats)

  • 서화중;박현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6
    • /
    • 1993
  • 단식 또는 기초사료를 투여한 성장기 rat 에 우지 또는 들깨유를 매일 일정량 투여하여 2일 간격으로 체중변화와 장기중량, 혈액의 생화학적검사 간조직검사를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완전 단식rat군(F)과 단식중 우지 (FT)와 들깨유(FP)를 투여한 rat군은 1일 평균 -6.2~-4.0%인 체중감소를 보이고 기초식이군 (B) 또는 기초식이에 우지 (BT)나 들깨유(BP)를 투여한 rat군은 1일 2.3~4.0%의 체중증가를 보였다. F군은 4일만에 모두 아사하였고, FT와 FP군은 6~10일 사이에 모두 아사하였다. 단식에 의한 영향으로 아사직전 이들 rat는 간중량(3.6~4.0g) serum cholesterol(70~73.2mg/㎗), serum triglyceride (6.5~7..5mg/㎗) blood glucose (76-91mg/㎗)의 현저한 감소와 GPT (117.5-186.5u), blood urea nitrogen (38~65mg/㎗)을 대폭 증가하는 특징을 가졌다. 유지시료 불포화도에 따른 영향에서 FP군은 FT군에 비해 약 2일 정도 생존일수의 감축과 serum cholesterol, serum triglyceride, blood urea nitrogen 감소를 보이나 GPT, blood glucose를 약간 증가하였다. BP군은 BT군에 비해 serum cholesterol, triglyceride를 상당히 감소하고 blood urea nitrogen의 근소한 감소와 GPT는 대폭 증가하였다. Blood glucose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간조직 검사 결과 F군은 아사직전 간실질내 염증 세포 침윤을 보이고 FT, FP군은 유지 시료의 불포화도 차이에 관계없이 아사직전 일부 rat가 염증세포 침윤, 간실질의 염증, 간세포의 손상된 모양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어떤 목적으로 단식 또는 유지만을 공급하는 무단백질 제한식이를 할 때 극심한 체중감소를 보이고 혈중 cholesterol과 trig1yceride는 크게 낮아지며 간을 포함한 모든 조직의 붕괴의 조짐으로 blood urea nitrogen이 크게 증가되고 그에 따른 간기능저하로 GPT도 크게 상승하고 rat의 경우 4~6일만에 사망하였다. 단식중이거나 혹은 정상식이내 고도 불포화 유지 (들깨유)의 섭취는 포화지방 (우지)에비해 혈중 cholesterol 과 triglyceride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GPT가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볼때 장기간 고도 불포화 유지를 다량 섭취함은 간기능을 저하 시킬 수 있음이 나타났다.

  • PDF

Ebb-and-Flow of Macroautophagy and Chaperone-Mediated Autophagy in Raji Cells Induced by Starvation and Arsenic Trioxide

  • Li, Cai-Li;Wei, Hu-Lai;Chen, Jing;Wang, Bei;Xie, Bei;Fan, Lin-Lan;Li, Lin-J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715-5719
    • /
    • 2014
  • Autophagy is crucial in the maintenance of homeostasis and regenerated energy of mammalian cells. Macroautophagy and chaperone-mediated autophagy(CMA) are the two best-identified pathways. Recent research has found that in normal cells, decline of macroautophagy is appropriately parallel with activation of CMA. However, whether it is also true in cancer cells has been poorly studied. Here we focused on cross-talk and conversion between macroautophagy and CMA in cultured Burkitt lymphoma Raji cells when facing serum deprivation and exposure to a toxic compound, arsenic trioxide.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macroautophagy and CMA were activated sequentially instead of simultaneously in starvation-induced Raji cells, and macroautophagy was quickly activated and peaked during the first hours of nutrition deprivation,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near baseline. With nutrient deprivation persisted, CMA progressively increased along with the decline of macroautophagy. On the other hand, in arsenic trioxide-treated Raji cells, macroautophagy activity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ut CMA activity was not rapidly enhanced until macroautophagy was inhibited by 3-methyladenine, an inhibitor. Together, we conclude that cancer cells exhibit differential responses to diverse stressor-induced damage by autophagy. The sequential switch of the first-aider macroautophagy to the homeostasis-stabilizer CMA, whether active or passive, might be conducive to the adaption of cancer cells to miscellaneous intracellular or extracellular stressors. These findings must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compensatory mechanisms and answer modes of different autophagic pathways in cancer cells, which might be very important and promising to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targeting interventions for cancer therapies via regulation of autophagic pathways.

향어에서의 oxolinic acid 흡수와 배설속도 (The absorption and excretion times of carp, Cyprinus carpio, treatment with oxolinic acid)

  • 정현도;하재이;허민도;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5-142
    • /
    • 1992
  • 새로운 수산용 항생제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OX의 흡수 및 배설속도를 측정하고 수온, 급이등의 외적 환경이 이들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동시에 OTC에 대비한 OX의 항균성 그리고 어류 혈장내 단백질과의 결합도 비교검토하였다. OX는 조사된 13균주중 11균주에 대해 OTC보다 10배이하의 낮은 MIC치를 보였고 향어나 틸라피아의 혈장내 단백질과의 complex 형성에 의한 역가 감소도 OTC에 비교해서 나타나지 않아 일반적인 세균성어병의 치료제로서 OTC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어에의 OX 투여를 경구, 근육주사, 정맥주사, 약욕등의 방법으로 실시하여 혈중 농도를 비교 측정하였을 때, i.v와 약욕법은 높은 초기 혈중 농도와 빠른 배설 속도를 보였다. 경구 투여와 근육 주사시는 24~28시간 후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하고 이후 천천히 배설되었으며, 특히 i.m 투여에서의 OX bioavailability는 경구 투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약동력학적인 특성은 수온이 $30^{\circ}C$$20^{\circ}C$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주일 절식을 시킨 향어에 약욕방법으로 항생제 투여를 하면 절식어에서의 초기 혈중 농도가 정상급이어에 비해 훨씬 낮게 나타나 어류 표피나 아가미의 생리 활성도에 따른 항생제의 흡수율 변화를 추정케 해 주었다.

  • PDF

세포의 휴면처리가 소 태아섬유아세포 유래 핵이식란의 핵상변화와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iescent Treatment on Nuclear Remodeling and In Vitro Development of Nuclear Transfer Embryos Derived from Bovine Fetal Fibroblast Cells)

  • 최종엽;권대진;김정익;박춘근;양부근;정희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7-222
    • /
    • 2000
  • 본 연구는 세포의 휴면처리가 소 태아섬유아세포 유래 핵이식란의 핵형변화와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임신 3∼4 개월령 한우 웅성 태아의 피부세포를 채취하여 계대배양 후 동결하였다가 핵이식 전에 혈청기아처리 또는 confluency방법으로 휴면처리를 하여 미수정란의 탈핵세포질에 이식하였다. 전기융합과 활성화처리 후 7∼9 일간 체외배양하여 발육능을 검토하였으며, 일부는 whole-mount 법으로 고정하여 염색질 구조를 관찰하였다. 복제란의 극체방출율은 혈청기아처리구와 confluence 구에서 각각 24.5% 와 20.3% 로 무처리구(36.0%) 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활성화 후 1개의 염색질괴를 갖는 복제란은 혈청기아처리구(50.9%)와 confluence구 (49.2%)가 무처리구 (40.0%)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극체방출에 따른 염색질의 구조는 극체 미방출구에서 정상적인 1개의 염색질괴를 갖는 핵이식란이 60.5% 로, 극체 방출구 (4.7%) 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1). 배반포기 발육율은 혈청기아처리구 (21.7%) 와 confluence (20.9%) 가 무처리구 (14.1%) 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혈청기아처리나 confluency 방법에 의한 donor 세포의 휴면처리는 태아섬유아세포 유래 핵이식란의 비정상적인 핵형변화를 감소시켜 체외발육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선발달에 있어서 cAMP, EGF, IGF-I 및 단백질 인산화 작용의 역할 II. EGF, IGF-I 및 Photoreactive Cyclic AMP의 상호작용과 단백질 인산화 작용 (Role of cAMP, EGF, IGF-I and Protein Phosphorylation in Mammary Development II. Interaction Effects of EGF, IGF-I and Photoreactive Cyclic AMP on DNA Synthesis and Protein Phosphorylation)

  • 여인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5-104
    • /
    • 1995
  • Mouse mammary epithelial cells(NMuMG) were maintained onto 6-well plates (3$\times$105 cells/well) or chambered slide (1$\times$104 cells/well), in DMEM supplemented with 10% fetal calf serum. After serum starvation for 24 hours, DMNB (1$\mu$M) was added and exposed to UV light (300nm, 3 second pulse) after 2 hours from DMNB addition in order to activate DMNB which induces a rapid transient increase in intracellular cAMP upon UV irradiation. EGF (100ng/ml) and/or IGF-I (10ng/ml) were treated at the time of UV irradiation. Nuclear labeling index was estimated as percent of nuclear labeled cells(percent of S phase of cells) by incorporation of 3H-thymidine into DNA(1 hour pulse with 1$\mu$Ci/ml). DMNB(1$\mu$M), EGF (100ng/ml) and/or IGF-I (10ng/ml) signifciantly increased nuclear labeling index than those of control (P<0.05). Addition of DMNB+EGF or DMNB+EGF+IGF-I showed the interaction effect in nuclear labeling index (P<0.05). Protein kinase A activities by addition of EGF, IGF-I or EGF+IGF-I were 10.5, 9.8 or 9.4 unit/mg protein, respectively, and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in comparison with control (P>0.05). Additon of DMNB+EGF showed the moderate interaction effect on tyrosyl kinase activity (P<0.1). In the fluorography analysis, there were no specific protein phosphorylation patterns were found at 1 or 15 minute by addition of DMNB. EGF and/or IGF-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effect in nuclear labeling index by addition DMNB and EGF could be mediated through the modulation of tyrosyl kinase activity by cAMP.

  • PDF

Effects of Taurine on Lipid Metabolism and Protein Synthesis in Poultry and Mice

  • Shim, K.S.;Jung, H.J.;Na, C.S.;Yoon, C.;Park, Garng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6호
    • /
    • pp.865-870
    • /
    • 2009
  • In this study, we hav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aurine on serum and liver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in broiler chickens and mice in the post-absorptive state, and on in vitro protein synthesis in the livers of broiler chickens and laying hens, as well as the effects of taurine on in vivo protein synthesis in the liver of mice.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ubjected to 24 h of starvation in order to perpetuate a post-absorptive state. Serum concentrations of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taurine groups than in the controls in both the broilers and the mice. However, taurine resulted in a significant (p<0.05) reduction in liver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relative to what was seen in the control groups of both animals. Taurine stimulated the in vitro synthesis of 57-kDa, 40-kDa and 23-kDa proteins in the liver of broilers, but inhibited the in vitro synthesis of 54-kDa, 37-kDa and 24-kDa proteins. Taurine in the liver of laying hens exerted effects on in vitro protein synthesis, with the exception of the 26-kDa protein which was not detected in broiler liver, but was inhibited by taurine in the liver of laying hens. Unlike the findings regarding in vitro protein synthesis in the liver of broilers or laying hens, taurine appeared to stimulate the synthesis of only two proteins, a 47-kDa and a 40-kDa protein, in the liver of mice. Overall, theses findings indicate that taurine treatment results in a reduction 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and also affects protein synthesis in the livers of broilers, laying hens, and mice.

유선발달에 있어서 cAMP, EGF, IGF-I 및 단백질 인산화 작용의 역할 I. EGF, IGF-I 및 Photoreactive Cyclic AMP가 유선상피세포의 DNA합성에 미치는 효과 (Role of cAMP, EGF, IGF-I and Protein Phosphorylation in Mammary Development I. Effect of EGF, IGF-I and Photoreactive Cyclic AMP on DNA Synthesis of Mammary Epithelial Cell)

  • 여인서;박춘근;홍병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9-56
    • /
    • 1993
  • Mouse mammary epithelial cells(NMuMG) were plated onto 24 well phates(100,000 cells/well), in DMEM supplemented with 10% fetal calf serum. After serum starvation for 24 hours, EGF)0~100ng/ml) was added simultaneously with IGF-I(10ng/ml), 1$\mu$M photoreactive cAMP(4,5-dimethoxy-2-nitrobenzyl adenosine-3',5' cyclic monophosphate, DMNB) or IGF-I plus DMNB. After 2 hours, the cells were expposed to UV light(300nm, 3 second pulse0 in order to activate DMNB which induces a rapid transient increase in intracellular cAMP upon UV irradiation. DNA synthesis was estimated as incorporation of 3H-thymidine into DNA(1 hour pulse with 1$\mu$Ci/ml, 18~19 hours after UV exposure). Without IGF-I or DMNB, EGF(10 or 100ng/ml) increased DNA synthesis from 8,362 dpm/well in control to 16,345 or 18,684 dpm/well with EGF(pooled SE=1,239 dpm/well, P<0.05). IGF-I or IGF-I plus DMNB alone increased DNA synthesis from 8,362 dpm/well in control to 17,307 or 20,427 dpm/well, respectively(P<0.05). Addition of IGF-I, DMNB or IGF-I plus DMNB into 0~100ng/ml EGF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shape of dose response curve of EGF alone. In other experiment, EGF or IGF-I plus DMNB into 10ng/ml EGF group exhibited interaction effect in DNAsynthesis [EGF(10ng/ml)=18,497; IGF-I+EGF=22,837; DMNB+EGF=20,658 ; IGF-I+DMNB+EGF=29,658, pooled SE=1,055,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imultaneous activation of EGF, IGF-I and intracellular cAMP interact in DNA synthesis of mouse mammary epithelial cells.

  • PDF

Developmental Efficiency of Bovine Embryos Cloned with Fetal Fibroblast Arrested at G0/G1 Phase

  • Cho, S.R.;Son, W.J.;Park, C.S.;Park, G.J.;S.Y. Choe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40-140
    • /
    • 2003
  • The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donor cell treatments for G0/Gl synchronization and the donor ceil type on development and incidence of apoptosis in cloned cattle embryos. Primary cultures were established from a female fetus on day 50 of gestation and adult ear skin biopsies. Cell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3 experimental treatment groups after 6~8 passages. Group 1 (Confluent), cells were cultured in DMEM supplemented with 10% FBS until 90% confluent. Group 2 (Serum-starvation), cells were cultured in DMEM Supplemented With 0.5% FBS for 5 days. Group 3 (Roscovitine), Cells were cultured in DMEM supplemented with 10% FBS and 30 $\mu$M Roscovitine for 12 h. Cell cycle and apoptosis were analyzed using flow cytometry after labelling with DAPI and YO-PRO-1. At 19 h post-maturation (hpm), enucleated oocytes were reconstructed with donor cells and fused by a single DC pulse (1.6 kV/cm, 60 $\mu$sec). (중략)

  • PDF

Edwardsiella tarda의 비배양성 생존상태(VBNC) 유도 및 소생 특성 (Induction and resuscitation of viable but nonculturable Edwardsiella tarda)

  • 강남이;김은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13-318
    • /
    • 2016
  • Viable but nonculturable (VBNC) 상태에 들어간 세균은 일반적인 증균 배지에서는 집락을 형성하지 않지만, 죽은 것이 아니라 낮은 대사활성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circ}C$의 저온 빈영양 해수에서 Edwardsiella tarda를 VBNC 상태로 유도한 후, 해수 온도를 10에서 $25^{\circ}C$로 상승시킬 때 첨가된 유기물의 종류에 따라 VBNC 상태인 균의 소생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E. tarda가 접종된 빈영양 해수 microcosm을 $10^{\circ}C$에 유지하였을 때 VBNC 유도 기간은 42-84일까지 다양하였다. 유도 기간 동안 acridine orange direct counting법으로 계수한 총 균수는 초기 접종 농도인 약 $10^8cells/ml$로 일정하였으며, direct viable counting법으로 계수한 생존 균수는 약 $10^4cells/ml$로 감소되었다. VBNC E. tarda에 효모추출물, 넙치근육추출물 그리고 혈청을 첨가하여 $25^{\circ}C$에서 소생을 유도한 결과 전체 시료 개수의 37%, 23%, 37%에서 각각 소생이 확인되었으며 소생된 E. tarda의 특성은 VBNC 유도 전 원래의 세균과 일치하였다. 소생된 E. tarda를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 복강 주사 하였을 때 접종 후 5일 이내에 시험어가 모두 사망함으로써 VBNC 상태의 E. tarda가 독력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므로 E. tarda는 우리나라 남해 연안 겨울의 저온 빈영양 해수에서 VBNC 상태로 유도되었다가 여름과 가을 시기에 수온 상승과 더불어 소생되어 양식 넙치에 지속적인 발병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 태아섬유아세포 유래 복제란의 발육능에 관한 연구 (Developmental Potentials of Clone Embryos Derived from Bovine Fetal Fibroblast Cells)

  • 정희태;권대진;박연수;황환섭;박춘근;양부근;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9-57
    • /
    • 2000
  • 본 연구는 소 태아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핵이식 후 세포의 휴면처리, 세포의 passage 수 및 세포의 기원이 복제란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3.57개 월령 한우 수컷 태아의 피부 및 간 조직에서 세포를 채취하여 체외에서 4∼6 회 계대배양 후 동결하였다가 핵이식에 사용하였다. 세포는 핵이식 전에 혈청기아처리를 하였으며, 대조구로는 활발히 분열 중의 무처리 세포를 사용하였다. Donor 세포는 미수정란의 탈핵세포질에 이식 후 전기융합 및 활성화를 실시하였고, 재구축배는 7∼9 일간 체외배양하여 발육농을 검토하였다. 배반포로 발육된 일부 복제란은 발정 7∼8 일째의 수란우에 이식하였다. 복제란의 배반포 발육율은 혈청기아 처리구 (25.3%)가 무처리구 (15.9%)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0.05), 세포의 passage 수 (4∼6회) 에 관계없이 23.1∼25.0%로 나타났고, 피부 및 간유래 복제란의 배반포 발육율도 23.8∼25.2% 로 두 조직세포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복제란의 이식 후 60일 및 120일에 수란우의 34.4% 및 15.6%가 각각 임신이 확인되었으며, 초자화동결된 태아 피부세포 복제란으로부터 1두의 수컷 송아지가 생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제란의 체외발육능이 세포의 휴면처리에 의하여 향상되었으나, 세포의 passage 수 (4∼6 회) 및 세포의 두 기원 (피부 및 간) 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태아 피부세포 유래 복제란으로부터 산자가 생산될 수 있음을 확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