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Fe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8초

불임여성의 식생활 특성 (Dietary Behavior of Infertile Women In Korea)

  • 오지수;정혜자;권혁찬;박원일;궁미경;김화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4호
    • /
    • pp.341-350
    • /
    • 200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etary factors related to infertility in Korean women through a case-control study. Methods: The case group was composed of 236 women who had been diagnosed as infertility in hospital. The control group of 181 healthy women with children were recruited from local immunization centers. Socio-economic status, medical history, dietary intakes us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stress were surveyed by interview.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made and the causes of infertility were identified through medical records. Fasting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subgroup of the subjects. Results: The mean age of infertile and control groups was 31.1 and 32.4 years,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Body Mass Index of infertile wome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women, however, Waist/ Hip Ratio and Triceps Skinfolds Thicknes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infertile women than in control women. The dietary intake status was generally satisfactory in both groups. The intakes of energy, protein, fat, carbohydrate, retinol, vitamin B2 and niacin were lower in infertile women than in control women. The infertile women also showed lower intakes of animal foods.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in serum concentrations of albumin, hemoglobin, Fe, TIBC,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C3, IgA, IL-2, however, infertile women showed higher levels of Zn and IgG. The stress score was higher in infertile women.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dietary factors and nutritional status do not seem to be directly related to infertility. However, the intertile women have lower nutrient intake and lower body fat content than control women.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according to the causes of infertility for long term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factors and infertility.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의 항산화(抗酸化) 효능(效能)에 의한 간세포(肝細胞) 보호(保護) 효과(效果)에 관한 연구(硏究) (Effects of Taeumjowetang on Lipid Peroxidation by Free Radicals and Oxidative Damage of Hepatocytes by tert-Butyl Hydroperoxide)

  • 김만우;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60
    • /
    • 2001
  • Effects of Taeumjowetang on Lipid Peroxidation by Free Radicals and Oxidative Damage of Hepatocytes by tert-Butyl Hydroperoxide. 1.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Taeumjowetang in vitro. 2. Methods In this study, antioxidant effects of TJT on lipid peroxidation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BA. (Abbreviation) TJT : Taeumjowetang, TBA : 2-thiobarbituric acid. 3. Results : 1) TJT inhibited markedly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during the autoxidation. 2) TJT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hydroxyl radical derived from H2O2-Fe2+ in rat liver homogenate. 3) TJT showed 66%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4) TJT exhibited a 25% inhibitory effect on superoxide generation from xanthine-xan thine oxidase system. 5)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JT on the hepatocytes, cultured normal rat liver cells(Ac2F) were prepared and incubated with or without TJT. After 16~18hr, cells placed in DMEM medium without serum, and then incubated with 1mM t-BHP for 2hr. Viable cells were detected by MTT assay. In this test, TJT protected the cell death induced by t-BHP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in the normal rat liver cell. (Abbreviation) DPPH : ${\alpha},{\alpha}$-diphenyl-${\beta}$-picryl hydrazyl, DMEM :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t-BHP : terr-butyl hydroperoxide, 4.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JT might play a protective role in lipid peroxidation by free radicals.

  • PDF

전주지역 복지관 노인대상 영양교육 및 맞춤형 점심 급식 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sonalized Lunch Service Program for Elderly at Senior Welfare Center in Jeonju)

  • 배정숙;김미현;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5-7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and personalized lunch service program in a senior welfare center. A total of 30 elderly (14 males, 16 females) aged 62~8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Nutrition education lessons (2 hour/lesson/week) were provided for 4 weeks. Also, ten weeks from week 3rd to week 12th, personalized lunch providing 1/3 personal needed energy was served 5 times for a week. After the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we compared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bloo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intake using 24 hr recall with those before the intervention. The body weight (p < 0.001) and body mass index (BMI) (p < 0.001) were decreased.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p < 0.01) and consumption of milk & milk products for snacks.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fasting blood sugar (FBS) showing significant decreases in portion of impaired fasting glucose and diabetes mellitus (p < 0.05). Also, serum triglyceride (T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In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b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riboflavin (p < 0.01), vitamin C (p < 0.001), calcium (p < 0.05) were positively improved.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and intakes of vitamin C (p < 0.001), riboflavin (p < 0.05), Ca (p < 0.01) and Fe (p < 0.05) were increased. In conclusion, this nutrition education and lunch service program providing 1/3 personal needed energy can be us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tailored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s in the setting of a community senior welfare center to improv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Immunization of mice with chimeric protein-loaded aluminum hydroxide and selenium nanoparticles induces reduction of Brucella melitensis infection in mice

  • Tahereh Goudarzi;Morteza Abkar;Zahra Zamanzadeh;Mahdi Fasihi-Ramandi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304-312
    • /
    • 2023
  • Purpose: Due to the many problems with commercially available vaccines, the production of effective vaccines against brucellosis is a necess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mune responses caused by the chimeric protein consisting of trigger factor, Bp26, and Omp31 (TBO) along with aluminum hydroxide (AH/TBO) and selenium (Se/TBO) nanoparticles (NPs) as adjuvants in mous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Recombinant antigen expression was induced in Escherichia coli BL21 (DE3) bacteria using IPTG (isopropyl-d-1-thiogalactopyranosid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protein was conducted through NiFe3O4 NPs,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Western blot. NP characteristics, including morphology and particle size, were measured in vitro. The recombinant TBO was loaded on to AH and Se NPs and were administered subcutaneously. After mice immunization, measurement of antibody titter and protection assay was performed. Results: The average sizes of AH and Se NPs were about 60 nm and 150 nm, respectively.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showed that the serum of mice immunized by subcutaneous injection with both nanovaccines produced significant immunoglobulin G (IgG) responses against the chimeric antigen. The results of TBO-specific IgG isotype (IgG2a/IgG1) analysis showed that both AH and Se NPs induced a type to T-helper immune respons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challenge with the pathogenic strain of Brucella melitensis 16M showed that vaccinated mice with AH/TBO NPs indicated a higher reduction of bacterial culture than immunized mice with Se/TBO NPs and TBO alone.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AH NPs carrying chimeric antigen can be a promising vaccine candidate against brucellosis by producing protective immunity.

치어기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사료내 생균제 첨가효과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Supplementation on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승형;유광열;최세민;김강웅;강용진;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2-88
    • /
    • 2008
  • 본 연구는 치어기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사료내 생균제 첨가가 넙치의 성장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사료는 주 단백질원으로 북양어분(white fish meal), 콘글루텐밀(corn gluten meal), 탈피대두박(dehulled soybean meal)을 사용하였으며, 탄수화물원으로는 밀가루(wheat flour)를, 지질원으로는 고도불포화지방산(n-3 HUFA)이 다량 함유된 오징어간유(squid liver oil)를 사용하였다. 생균제의 첨가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 polyfermenticus(BP), Bacillus licheniformis(BL) 및 복합종균(B. polyfermenticus+Saccharomyces cerevisiae; BP+SC)을 실험사료 내에 각각 $1.0{\times}10^7$ CFU/kg diet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2주간의 예비사육 후, 평균무게 $12.0{\pm}0.1g(mean{\pm}SD)$인 조피볼락을 500 L 원형수조에 각 실험구 당 각각 20마리씩 3반복으로 무작위로 배치하였고, 실험사료는 1일 2회 어체중의 $1.7{\pm}0.6%$(오전 10시, 오후 4시)씩 12주간 공급 하였다. 증체율, 사료효율, 일간성장율 및 단백질 전환효율에 있어서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control)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지만(P<0.05), BP, BL 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생존율에 있어서는 모든 실험구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어체 지방함량에 있어서 대조구가 다른 모든 실험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전어체 단백질, 회분 및 수분함량에 있어서는 모든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액분석에 있어서 혈장내 glucose의 함량은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BP, BL 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Respiratory burst activity(NBT assay)에 있어서 BP+SC와 BL을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P, BL 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lysozyme 활성에 있어서는 BP와 BL을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BP, BL 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격실험 결과, 폐사는 Edwardsiella tarda를 접종한지 1일 후부터 시작하여 11일째 종료 하였다. 생균제를 투여한 모든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초기폐사율이 낮게 나타났다. 공격실험 후 8일째부터 종료시 까지는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P, BL및 BP+SC를 공급한 실험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조피볼락 사료내 B. polyfermenticus, B. licheniformis 및 B. polyfermenticus 와 S. cerevisiae의 혼합첨가는 조피볼락의 성장 및 사료효율 증진과 항산화능 및 특정질병저항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침처리가 밀기울의 피틴태 인 함량과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ydrothermal Treatment of Wheat Bran on Phytate-P Content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 김병한;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29-240
    • /
    • 2003
  • 밀기울의 수침처리가 밀기울 내 phytase에 의한 피틴태 인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in vitro 실험을 실시하였고, 육계사료에 밀기울을 첨가 하였을 때 밀기울에 들어 있는 phytase가 육계 생산성 및 P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5주간의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침처리는 배양온도 55$^{\circ}C$와pH 5.5 완충용액에서 배양액과 밀기울의 비율 및 배양 시간을 달리하고, 배양 후 55, 65와 75$^{\circ}C$에서 건조 시켰다. 피틴태 인 함량 감소(phytic acid 분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밀기울과 완충용액의 비율로 밀기울:완충용액 비율이 증가할수록 곡선적(quadratic)으로 피틴태 인 함량이 감소 하였으며 1:5 전후가 효율적이었고 배양시간은 10분 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건조온도(55$^{\circ}C$, 65$^{\circ}C$와 75$^{\circ}C$)와 완충용액의 pH(5.5 및 7.0)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양 실험은 갓 부화한 240수의 병아리(Ross®)를 24 cage에 10수씩 공시하여 4처리 6반복(처리별 암수 각 3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처리구 들은 대조구; 정상수준의 nonphytate-P(NPP)구, LP구; 저 NPP구로 대조구보다 0.1% 낮음, LPWB구; 저 NPP구(LP)에+밀기울로 475IU phytase 공급, LPHWB구; LP+수침 후 건조 처리한 밀기울을 LPWB와 동량 공급한 구 등이었다. 실험 결과 증체량에 있어서 전기(1~21일)의 경우 타 처리구들에 비해 LP구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육성기(22-5일)와 전 기간에 있어서는 LP구의 웅추만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전 기간동안 LPWB구와 LPHWB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전 기간동안 사료 섭취량은 LPWB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LP구는 LPHWB보다 그리고 LPHWB구는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사료 요구률은 LPHWB와 LP구가 대조구와 LPWB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폐사율은 LPHWB구에서 가장 높았다. 영양소 이용률에 있어서 LP구가 조지방, 조회분과 Ca 이용률이 타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Fe이용률 만은 가장 높았다. P, Mg 및 Zn의 이용률은 LPWB 및 LPHWB구가 대조구나 LP구 보다 높았다. P 배설량은 대조구에 비해 저 NPP구들이 낮았으나 저 NPP구들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 내 Ca 함량은 LP구가 가장 높았고 P 함량은 LP구가 가장 낮았다. 경골 내 조회분 함량은 밀기울 처리들에서 높았지만 Ca 함량은 대조와 LP구가 높았다. P 함량에선 LP가 LPWB보다 낮았다. Fe 함량은 LP구가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밀기울의 피틴태 인 감소에 수침처리 조건으로 밀기울과 완충용액의 비율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데 밀기울에 대한 완충용액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피틴태 인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1:5 전후가 효율적이었고 저 NPP사료에 밀기울을 phytase 공급원으로 사용 시 육계의 생산성 감소를 방지하고 P의 배설량을 줄일 수 있다. 밀기울의 수침처리는 광물질 이용률 향상에 다소 도움이 되나 생산성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무지개송어 사료에 있어 산화크롬의 첨가효과와 축산 가공 부산혼합물의 어분대체 가능성 (Effects of dietary Chromic Oxide and Possible Use of the Animal By-product Mixture as a Dietary Fish meal Replacer)

  • 장혜경;옥임호;배승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0-475
    • /
    • 1999
  • 본 연구는 무지개송어 사료의 어분 대체사료원으로서 육골분(MBM), 우모분(FM), 오징어내장분 (SLP), 가금부산물 (PBP) 및 혈분 (BM)을 특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어분대체품(ABPM)을 제작하여 사료내 어분의 대체가능성을 조사하고 사료내 소화율 측정에 이용하는 지표물질인 $Cr_2O_3$ 첨가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사료의 주단백질원으로는 동물성단백 질원으로 북양어분 (White fish meal, WFM)과 축산가공부 산혼합물 (ABPM)을 식물성으로 대두박과 콘글루텐밀을 사용하였다. 사료 1과 사료 2의 사료는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1993)자료에 근거하여 조단백질 함량은 $46.5\%$, 가용성 에너지는 16.7 KJ/g (protein, carbohydrate and lipid: 16.7, 16.7 and 37.7 KJ/g)으로 동일하게 맞추어 주었다. 실험사료는 사료 1 (WFM 100), 사료2(ABPM 40), 사료3(상업사료(-Cr)), 사료 4(상업사료+$0.5\%$ $Cr_2O_3$(+Cr))로 4가지를 사용하였다. 일주일간의 예비사육 후 평균무게 2.1g$\pm$0.2인 치어를 30마리씩 3반복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4주간 사육한후, 성장속도가 비슷한 평균무게 6.8$\pm$0.3g의 어류를 동일한 사료군내에서 선택하여 20마리씩 2 반복 재배치하여 4주간 사육하였다. 8 주간 사료 공급후 사료 2는 다른 모든 사료구에 비해 증체율 (WG, $\%$)과 사료효율 (FE, $\%$)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어체의 혈액분석결과 헤마토크리트t는 전사료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P>0.05). 전어체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및 조단백질 함량은 모든 사료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P>0.05), 사료 1의 조지방 함량은 다른 사료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어체의 비만도는 사료 2가 다른 사료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혈액, 뼈 및 전어체의 인 함량 및 뼈의 회분 함량은 모든 사료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상업사료내 산화크롬을 첨가하거나 혹은 첨가하지 않고 8주간 사육한 결과 산화크롬 $0.5\%$의 8주간 첨가는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 뿐 아니라 전어체의 일반성분, 혈장 및 뼈 조직 중의 인과 회분 함량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무지개 송어 사료내 어분단백질 대체원으로 본축산가공부산혼합물의 이용은 $40\%$ 수준 이하에서 가능하다고 판단되고 산화크롬은 성장 및 전어체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사료내 영양소의 소화율 측정에 $0.5\%$ 의 산화크롬 첨가는 별다른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 PDF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함초 식이의 피부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Diet on the Acne Skin)

  • 임미라;강상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50-76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여드름이 있는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의 함초 섭취 유무에 따른 혈청 지질, testosteron, DHT, 미네랄, WBC 및 SOD 등을 측정하고 피부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함초에 포함된 생리 활성 물질들의 항산화, 항균, 항균 및 항염 작용, 체내 남성 호르몬 간섭에 의한 피지 분비 저하 작용 등을 확인하여 함초가 여드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혈액 지표 검사 결과, 혈청 total cholesterol 및 triglyceride 농도 측정 결과 대조군에서는 시험 전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시험 전후 total cholesterol 및 triglyceride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WBC가 유의하게 감소 하였으며, 항산화 지표인 SOD는 유의하게 증가하여 함초의 지질 감소에 의한 피지 감소 작용, 염증 반응 감소에 의한 항염 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혈중 미네랄 농도의 경우 함초환 복용군에서 함초 식이 후 Ca, K, Fe 및 Zn이 함초 식이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여 이들 미네랄의 증가로 인한 항산화 작용에 의해 여드름 피부가 개선될 수 있음 역시 확인하였다. 피부 상태 측정 결과의 경우, 블랙헤드 모공수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시험 전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시험 전에 비해 시험 후 얼굴 중앙 및 우측면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피부 유분량은 대조군에서의 변화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이마 및 볼, 코, 턱 및 눈 밑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피부 각질 상태 역시 대조군에서는 시험 전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함초 식이 후 이마, 볼, 코 및 눈 밑에서의 시험 후 pH가 5.12~5.36으로 유의하게 낮아져 정상 피부 상태인 약산성 pH에 가까워진 반면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함초 식이 시 피부에서의 미생물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함초의 여드름 균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여드름 단계 역시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가던 반면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시험 후 여드름 등급이 유의하게 낮아져 여드름 피부의 개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함초는 함초 내에 포함된 미네랄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의 항염, 항균 및 항산화작용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피부 유분, 각질 및 블랙헤드를 감소시키고 피부의 pH를 저하시켜 여드름 등급이 낮아지는 종합적인 여드름 피부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산 5종 해조류의 항산화효과와 총 폴리페놀 함량과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5 Korean Common Edible Seawee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 곽충실;김성애;이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43-1150
    • /
    • 2005
  • 한국에서 널리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미역, 다시마, 톳(갈조류), 파래(녹조류), 김(홍조류)의 항산화효과와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건조 상태의 시판 해조류로부터 에탄올 추출시료를 얻은 후 $Fe^{2+}$로 유도된 지질과산화 억제율, DPPH 라디칼 소거율 및 MDA-BSA 결합 저해율을 측정하는 3가지 방법으로 항산화효과를 검정 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조류인 파래의 항산화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는데, 특히 지질과산화물이 단백질과 결합하는 반응을 매우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그 다음 김과 다시마의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였으며, 미 역과 톳은 항산화효과가 거의 없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미역이 11.63 mg/g 건조무게로 가장 높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파래가 8.97 mg/g 건조무게로 가장 높았다. 한편, 3가지 방법에 의해 측정된 해조류의 항산화효과 모두가 총 폴리페놀 함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지질과산화억제율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r=0.9351, p<0.0001), 해조류에서의 항산화효과에 폴리페놀 성분이 크게 기여할 가능성을 보였다.

인진쑥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피로회복 물질과 심박수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verage Including Extracts of Artemisia capillaris on Fatigue-Recovery Materials, Heart Rate and Serum Lipids in University Male Athletes)

  • 박성혜;곽준수;박성진;한종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39-846
    • /
    • 2004
  • 본 연구는 한방자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인진쑥을 음료 제조에 적용하여 음료를 개발하고 음료의 영양성 분과 그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계획하였다. 이에 따라 개발된 음료의 일반성분, 무기질,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고 인진쑥의 scopoletin 함유에 따른 혈행개선효과 및 피로회복능력을 평가하고자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음료섭 취 전과 6주간 음료를 섭취한 후에 각각 운동시작 전 안정상태 및 운동을 멈춘 직후의 심박수와 혈액성 분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심박수, 혈중 젖산농도, 혈청의 포도당, creatinine, LBH, GOT, GPT 및 혈청의 지질농도가 6주간 규칙적으로 음료를 섭취한 후의 안정시나 운동직후에 모두 유의하게 낮아진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에서 연구대상자들이 꾸준한 유산소 운동을 하고 있는 운동선수들이었으므로 단지 유산소 운동에 의한 결과는 아닐 것이며 6주간 섭취한 인진쑥의 작용이었으리라 판단된다 인진쑥에 함유된 구연산, 원활한 혈행을 돕는 scopoletin 및 6,7-dimethoxy-coumarin의 기능에 의한 결과로 사료되며 인진쑥 음료는 피로물질 감소에 의한 피로방지에 효과적이고 운동능력항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제언할 수 있겠다. 운동선수뿐 아니라 특히 평소 운동시에도 꾸준히 섭취함으로써 근본적인 체내의 혈액순환이 원활해지므로 경기력 향상과 국민건강증진에 일익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보다 많은 대상자들, 다양한 운동부하조건, 다른 음료와의 비교 등으로 다양한 임상 분석이 이루어지면 그 기전이나 효능을 명확히 할 수 있겠으나 본 결과가 향후 인진쑥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개발과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