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tence classification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7초

ELMo 임베딩 기반 문장 중요도를 고려한 중심 문장 추출 방법 (Method of Extracting the Topic Sentence Considering Sentence Importance based on ELMo Embedding)

  • 김은희;임명진;신주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1호
    • /
    • pp.39-46
    • /
    • 2021
  • 본 연구는 뉴스 기사에서 기사문을 구성하는 문장별 중요도를 고려하여 요약문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장 중요도에 영향을 주는 특성으로 중심 문장(Topic Sentence)일 확률, 기사 제목 및 다른 문장과의 유사도, 문장 위치에 따른 가중치를 추출하여 문장 중요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중심 문장(Topic Sentence)은 일반 문장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딥러닝 기반 분류 모델을 학습시켜 입력 문장에 대한 중심 문장 확률값을 구한다. 또한 사전학습된 ELMo 언어 모델을 활용하여 문맥 정보를 반영한 문장 벡터값을 기준으로 문장간 유사도를 계산하여 문장 특성으로 추출한다. LSTM 및 BERT 모델의 중심 문장 분류성능은 정확도 93%, 재현율 96.22%, 정밀도 89.5%로 높은 분석 결과가 나왔으며, 이렇게 추출된 문장 특성을 결합하여 문장별 중요도를 계산한 결과, 기존 TextRank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중심 문장 추출 성능이 10% 정도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dality-Based Sentence-Final Intonation Prediction for Korean Conversational-Style Text-to-Speech Systems

  • Oh, Seung-Shin;Kim, Sang-Hun
    • ETRI Journal
    • /
    • 제28권6호
    • /
    • pp.807-810
    • /
    • 2006
  • This letter presents a prediction model for sentence-final intonations for Korean conversational-style text-to-speech systems in which we introduce the linguistic feature of 'modality' as a new parameter. Based on their function and meaning, we classify tonal forms in speech data into tone types meaningful for speech synthesis and use the result of this classification to build our prediction model using a tree structured classification algorithm. In order to show that modality is more effective for the prediction model than features such as sentence type or speech act, an experiment is performed on a test set of 970 utterances with a training set of 3,883 utterances. The results show that modality makes a higher contribution to the determination of sentence-final intonation than sentence type or speech act, and that prediction accuracy improves up to 25% when the feature of modality is introduced.

  • PDF

예제 기반 대화 시스템을 위한 양태 분류 (Modality Classification for an Example-Based Dialogue System)

  • 김민정;홍금원;송영인;이연수;이도길;임해창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68권
    • /
    • pp.75-93
    • /
    • 2008
  • An example-based dialogue system tries to utilize many pairs which are stored in a dialogue databas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example-based dialogue system is to find the most similar utterance to user's input utterance. Modality, which is characterized as conveying the speaker's involvement in the propositional content of a given utterance, is one of the core sentence features. For example, the sentence "I want to go to school." has a modality of hope.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modality classification system which can predict sentence modality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xample-based dialogue systems. We also define a modality tag set for a dialogue system, and validate this tag set using a rule-based modality classification syste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modality tag set and modality classification system improve the performance of an example-based dialogue system.

  • PDF

쉼표의 자동분류에 따른 중국에 장문분할 (Segmentation of Long Chinese Sentences using Comma Classification)

  • 김미훈;김미영;이종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5호
    • /
    • pp.470-480
    • /
    • 2006
  • 입력문장이 길어질수록 구문분석의 정확률은 크게 낮아진다. 따라서 긴 문장의 구문분석 정확률을 높이기 위해 장문분할 방법들이 많이 연구되었다. 중국어는 고립어로서 자연언어처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굴절이나 어미정보가 없는 대신 쉼표를 비교적 많이, 또 정확히 사용하고 있어서 이러한 쉼표사용이 장문분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어 문장에서 쉼표 주변의 문맥을 파악하여 해당 쉼표위치에 문장분할이 가능한지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해 판단하고자 한다. 쉼표의 분류의 정확률이 87.1%에 이르고, 이 분할모델을 적용한 후 구문분석한 결과, 의존트리의 정확률이 5.6% 증가했다.

수학 수업 발문유형 분석 및 대안 탐색 - 신임 교사 사례 연구 - (An Analysis on the pattern of questioning sentence - A case study for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

  • 강완;장윤영;정선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3호
    • /
    • pp.293-302
    • /
    • 2011
  • 이 연구는 2년차 신임 교사의 사례 연구를 통해 수학수업에 대한 신임교사의 발문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확인을 위한 발문이 가장 많았으며(69%), 이해를 위한 발문(25%), 성찰을 위한 발문(6%) 순이었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은 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신임교사의 발문과 관련된 대안적인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을 제안해 보았다.

Opinion Extraction based on Syntactic Pieces

  • Aoki, Suguru;Yamamoto, Kazuhide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76-85
    • /
    • 2007
  • This paper addresses a task of opinion extraction from given documents and its positive/negative classification. We propose a sentence classification method using a notion of syntactic piece. Syntactic piece is a minimum unit of structure, and is used as an alternative processing unit of n-gram and whole tree structure. We compute its semantic orientation, and classify opinion sentences into positive or negative. We have conducted an experiment on more than 5000 opinion sentences of multiple domains, and have proven that our approach attains high performance at 91% precision.

  • PDF

감정 자질을 이용한 한국어 문장 및 문서 감정 분류 시스템 (A Korean Sentence and Document Sentiment Classification System Using Sentiment Features)

  • 황재원;고영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3호
    • /
    • pp.336-340
    • /
    • 2008
  • 최근 감정 분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문서 전체에 관한 감정의 분류도 중요하지만, 문서를 이루고 있는 문장에 관한 분류도 점차 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감정 분류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추출된 한국어 감정 자질을 이용한 한국어 문장 및 문서 감정 분류에 관해 연구한다. 한국어 감정 분류의 시작은 감정을 내포한 대표적인 어휘로부터 시작하며, 이와 같은 감정 자질들은 문장 및 문서의 감정을 분류하는데 결정적인 관여를 한다. 한국어 감정 자질의 추출을 위하여 영어 단어 시소러스 정보를 이용하여 자질들을 확장하고, 영한사전을 통해 확장된 자질들을 번역함으로써 감정 자질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감정 자질들을 사용하여, 단어 벡터로 표현된 입력문서를 이진 분류기인 지지벡터 기계(SVM: Support Vector Machine)를 이용하여 문장과 문서에 내포된 감정을 판단하고 평가하였다.

Information Extraction and Sentence Classification applied to Clinical Trial MEDLINE Abstracts

  • Hara, Kazuo;Matsumoto, Yuji
    • 한국생물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5년도 BIOINFO 2005
    • /
    • pp.85-90
    • /
    • 2005
  • In this paper, firstly we report experimental results on applying information extraction (IE) methodology to the task of summarizing clinical trial design information in focus on ‘Compared Treatment’, ‘Endpoint’ and ‘Patient Population’ from clinical trial MEDLINE abstracts. From these results, we have come to see this problem as one that can be decomposed into a sentence classification subtask and an IE subtask. By classifying sentences from clinical trial abstracts and only performing IE on sentences that are most likely to contain relevant information, we hypothesize that the accuracy of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abstracts can be increased. As preparation for testing this theory in the next stage, we conducted an experiment applying state-of-the-art sentence classification techniques to the clinical trial abstracts and evaluated its potential in the original task of the summarization of clinical trial design information.

  • PDF

The Effect of the Sentence Location on Arabic Sentiment Analysis

  • Alotaibi, Saud 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317-319
    • /
    • 2022
  • Rich morphology language such as Arabic needs more investigation and method to improve the sentiment analysis task. Using all document parts in the process of the sentiment analysis may add some unnecessary information to the classifier. Therefore, this paper shows the ongoing work to use sentence location as a feature with Arabic sentiment analysis. Our proposed method employs a supervised sentiment classification method by enriching the feature space model with some information from the document. The experiments and evaluations that were conducted in this work show that our proposed feature in the sentiment analysis for Arabic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classifier compared to the baseline model.

감정 표현구 단위 분류기와 문장 단위 분류기의 결합을 통한 주관적 문장 분류의 성능 향상 (Combining Sentimental Expression-level and Sentence-level Classifiers to Improve Subjective Sentence Classification)

  • 강인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4B권7호
    • /
    • pp.559-566
    • /
    • 2007
  • 주관적 문장이란 주관적인 내용을 포함한 문장으로써 저자의 제품이나 사건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다. 주관적 내용임을 나타내는 주관적인 표현은 문장 전반적으로 골고루 나타날 수도 있지만 일부 한정된 영역에서만 발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분류를 위해서는, 문장 전체를 고려하는 정보 외에 사실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주관적 혹은 객관적 표현구 정보의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장 전체를 이용한 분류 결과와 감정 표현구를 이용한 분류 결과를 결합하여 주/객관적 문장 분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 문장은 여러 개의 표현구를 가질 수 있어 복수개의 표현구 단위 결과를 얻게 되며 기계 학습을 응용하여 문장 단위 결과와 결합한다. 실험을 통한 결과, 표현구 단위 결과물 중 최대값을 가지는 두 가지 결과와 문장 전체를 이용한 결과를 합침으로써 2.5% 성능 향상된 79.7%의 정확률을 얻을 수 있었다.